김이원 (155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김이원이라는 이름을 가진 여러 인물이 있습니다. 질문하신 1553년에 해당하는 인물은 조선 중기의 문신 김이원(金履元)입니다.
김이원(金履元, 1553년 ~ 1614년)
- 본관: 선산(善山)
- 호: 소암(素菴)
- 자: 수백(守伯)
- 초명: 신원(信元)
- 주요 관직: 병조판서, 판중추부사
- 생애:
- 1576년(선조 9) 사마시 합격
- 1583년(선조 16) 알성 문과 병과 급제, 호조좌랑, 수찬, 교리, 정언 등 역임
- 1593년 의주목사 재임 시 명나라 곡식을 들여와 굶주린 백성 구제
- 1597년 정유재란 때 경기도관찰사로 명나라 병사들을 잘 다루어 도내 행정 안정
- 1609년 임해군(臨海君) 사사에 관여
- 1612년 계축옥사 처리 공로로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훈, 숭양부원군(嵩陽府院君)에 봉해짐
- 1623년 인조반정으로 훈작 추탈
- 1752년(영조 28) 신도비 건립 (경기도 양평군 양백산)
김이원은 대북(大北)에 속했으며, 인조반정 이후 삭탈관직되었습니다. 그의 신도비는 1752년에 세워졌으며, 이현석(李玄錫)이 글을 짓고 이광사(李匡師)가 글씨를 썼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