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준 (158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김준(金浚, 1582년 ~ 162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입니다. 본관은 언양(彦陽)이며, 자는 징언(澄彦)입니다.
생애 및 활동:


  • 1582년(선조 15년) 고부군(古阜郡) 금정리(현 전라북도 정읍시 농소동)에서 태어났습니다.
  • 1605년(선조 38년) 무과에 합격하여 부장, 선전관, 교동현감 등을 역임했습니다.
  •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도총부도사, 경력(經歷), 죽산부사 등을 지냈습니다.
  • 1624년 이괄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웠습니다.
  • 1625년 안주목사 겸 방어사가 되었습니다.
  •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안주성에서 절제사 남이흥(男以興)과 함께 후금군에 맞서 싸우다가 아들 김유성과 함께 전사하였습니다.

사후:

  • 사망 후 인조는 좌찬성을 추증하고 장무(壯武)라는 시호를 내렸습니다.
  • 1632년 지역민들이 사당을 세우고 김준을 배향하였으며, 1657년(효종 8)에 '정충사(旌忠祠)'라는 편액이 하사되었습니다. 정충사는 전라북도 정읍시 흑암신흥길 67-2 (흑암동 597)에 위치해 있습니다.
  • 안주의 충민사(忠愍祠)에도 제향되었습니다.

가족 관계:

  • 본관: 언양(彦陽)
  • 아버지: 김광필(金匡弼)
  • 어머니: 함양 박씨(咸陽 朴氏)
  • 부인: 의령 남씨(宜寧 南氏) - 임실현감 남철(南澈)의 딸
  • 아들: 김진성(金振聲), 김유성(金有聲), 김계성(金啓聲), 김태성(金泰聲)
  • 사위: 목사 민도(閔燾), 나수소(羅守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