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비 (슈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비》는 1829년부터 1832년 사이에 작곡된 로베르트 슈만의 피아노 곡이다. 6마디의 서주와 12개의 독립된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악장에는 슈만이 직접 붙인 표제가 있고 연주 시간은 약 14분이다. 슈만의 다른 작품인 《사육제》에 일부 주제가 인용되었으며, 요르크 비트만의 현악 사중주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베르트 슈만의 작품 - 크라이슬레리아나
    크라이슬레리아나는 로베르트 슈만이 작곡한 8곡의 피아노 작품으로, 그의 내면세계와 낭만주의적 감성을 담아 격정적인 감정 변화와 대조적인 분위기를 보여주며, 8번 곡의 주제는 교향곡 1번 "봄" 4악장에도 사용되었다.
  • 로베르트 슈만의 작품 - 교향곡 3번 (슈만)
    로베르트 슈만이 라인 강변 여행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교향곡 3번은 "라인 교향곡"이라고도 불리며, 쾰른 대성당의 웅장함에서 영감을 얻은 4악장을 포함하여 총 5악장으로 구성되었다.
  • 피아노 곡 - 밤의 가스파르
    모리스 라벨이 알로이지우스 베르트랑의 시집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밤의 가스파르》는 세 악장으로 구성된 피아노 모음곡으로, 시의 이미지를 섬세하게 표현하면서도 극도의 연주 난이도를 자랑하며 라벨의 독창적인 음악적 개성을 드러낸다.
  • 피아노 곡 - 쿠프랭의 무덤
    모리스 라벨의 《쿠프랭의 무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사한 친구들을 기리기 위해 바로크 시대 춤곡 형식을 바탕으로 작곡된 6악장 피아노 모음곡으로, 전쟁의 참상과 상실감을 표현하며 인상주의 음악과 20세기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나비 (슈만)
작품 정보
제목파필리옹 (Papillons), 나비
원제 (프랑스어)Papillons
원제 (독일어)Flegeljahre
작곡가로베르트 슈만
작품 번호Op. 2
조성B♭ 장조
작곡 시기1829년 ~ 1831년
헌정테오도르 툰 남작 (Theodor Tundt)
초판 출판1832년
출판사프리드리히 호프마이스터 (Friedrich Hofmeister)
구성12곡의 피아노 소품 모음곡
구성 세부 정보
제1곡Moderato
제2곡Prestissimo
제3곡Semplice
B♭ 장조
제4곡Vivace
제5곡Agitato
b단조
제6곡con delicatezza
G장조
제7곡Semplice
E♭장조
제8곡Sempre stringendo al fine
c단조
제9곡Presto
D장조
제10곡Vivo
B♭단조
제11곡Allegro
G장조
제12곡종결부 (피날레)
배경
영감장 파울의 소설 《페겔야레 (미숙한 시절)》
작품의 의미가면 무도회의 장면 묘사
참고 문헌Schumann
참고 문헌 저자에릭 프레데릭 옌센

2. 구성

1829년부터 1831년에 걸쳐 작곡된 곡으로, 슈만이 피아니스트로서 활동을 시작한 직후의 작품이다. 슈만이 애독했던 장 파울의 미완성 장편 소설 『잘난 척하는 아이』(Flegeljahrede)의 마지막 장면인 「가면 무도회」(Larventanz)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전에 작곡했던 피아노 소품 선율이 작품 속에 인용되기도 했다.

이 곡은 슈만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기교적으로나 음악적으로 쉬운 편에 속하여, 중급 수준의 피아노 학습자도 연주하기에 용이하다. 전체적으로 6마디의 짧은 서주와 12개의 소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소곡에는 슈만이 직접 붙인 표제가 있다.

2. 1. 악장 목록

이 곡은 6마디의 서주와 12개의 소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곡에는 작곡가 자신이 붙인 표제가 있다. 전체 연주 시간은 약 14분이다.

곡 번호표제형식/빠르기/조성설명
서주Moderato (라장조)6마디로 구성됨.
1「가면 무도회」왈츠 (라장조)돌체로 제시되는 가면 무도회의 선율은, 후의 작품 『사육제』의 제6곡 「플로레스탄」에 인용되어 있다.
2「발트」왈츠 – Prestissimo (내림마장조)발트는 소설에 등장하는 쌍둥이 형제 중 한 명으로 몽상가이다.
3「뷜트」왈츠 – Pomposo (올림바단조)뷜트는 소설에 등장하는 쌍둥이 형제 중 다른 한 명으로 행동가이다.
4「가면」왈츠 – Allegretto vivace (가장조)
5「비나」폴로네이즈 – Allegretto cantabile (내림나장조)비나는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의 이름이다.
6「뷜트의 춤」왈츠 – Allegro molto (라단조)
7「가면의 교환」왈츠 – Semplice (바단조)
8「고백」왈츠 – Allegro con brio (올림다단조)
9「분노」왈츠 – Prestissimo (내림나단조)
10「가면을 벗다」왈츠 – Vivo (다장조)
11「서두름」폴로네이즈 – Allegro con spirito (라장조)
12「종경과 돌아가는 형제들」피날레 (라장조)17세기경의 「할아버지 춤」 선율 (『사육제』의 종곡에도 사용되고 있다)과 제1곡의 가면 무도회 선율이 얽혀, 아침 6시의 종이 울리면 음악은 데크레센도하여 pp로 끝난다.


3. 다른 작품과의 관계

슈만은 후기 작품인 《사육제》, 작품 9에서 《나비》의 일부 주제를 인용했다. 그러나 《사육제》의 9번 곡인 "나비"에는 《나비》의 주제가 직접 나타나지는 않는다.

《나비》의 제1곡 "가면 무도회"의 선율은 《사육제》의 제6곡 "플로레스탄" 부분에서 악보에 명시적으로 언급되며 인용되었다. 또한 《사육제》의 마지막 부분인 "필리스틴에 맞서는 다비드 동맹의 행진"에서도 별다른 언급 없이 다시 등장한다. 《나비》의 제12곡 "종경과 돌아가는 형제들"에 사용된 17세기경의 "할아버지 춤" 선율 역시 《사육제》의 종곡(마지막 부분)에 "17세기 주제"라는 설명과 함께 나타난다.

현대 작곡가 요르크 비트만은 그의 세 번째 현악 사중주 '사냥'의 시작 부분에서 《나비》의 마지막 곡(피날레) 첫 여덟 마디를 인용했다.[3] 이 부분은 "할아버지 춤" 선율이 등장하는 부분이다.

참조

[1] 간행물 Explicating Jean Paul: Robert Schumann's Program for Papillons, Op. 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Autumn
[2] 서적 Schumann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Hunting Quartet https://en.schott-mu[...] 2020-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