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동선은 평안남도 평남온천역과 남동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총 11개의 역이 있으며, 표준궤를 사용하고 전철화 구간과 복선 구간은 없다. 주로 화물 운송, 특히 석탄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북한의 경제난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의 철도 교통 - 평남선
평남선은 평양역과 평남온천역을 잇는 총 89.3km의 북한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개통되어 해방 후 평안선과 통합되었으며 남포항을 통한 화물 및 여객 운송을 담당하고, 러시아의 지원으로 현대화 사업이 추진되었으나 대북 제재와 경제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평안남도의 철도 교통 - 평의선
평의선은 평양역과 신의주청년역을 연결하는 225.1km의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와 전철화, 일부 복선 구간을 갖추고 있으며, 일제강점기 경의선의 일부였으나 한반도 분단 후 평의선으로 변경, 한국 전쟁 후 재건 및 현대화되어 북한의 주요 경제 동맥 역할을 수행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동해북부선
동해북부선은 일제강점기 동해선 계획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나 남북 분단으로 단절, 폐지되었고 현재 강릉~제진 간 연결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청년이천선
청년이천선은 북한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동서 횡단 철도 노선으로, 평산역과 세포청년역을 연결하며 평부선과 강원선을 이어주고, 건설에는 청년돌격대와 정치범 수용소 수용자들이 동원되었으며 1962년부터 198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통 및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운흥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평양역
평양역은 1906년 경의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1958년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며, 북한 철도의 중심지로서 여러 노선이 지나고 베이징행 국제 열차도 운행하며, 남북통일 이후 한반도 북부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남동선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남동선 (南洞線)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로마자 표기 | Namdong-seon |
노선 종류 | 중량 철도 여객, 화물 철도 |
노선 상태 | 폐쇄됨 |
위치 | 평안남도 |
기점 | 평남온천 |
종점 | 남동 |
역 수 | 11개 |
노선 길이 | 77.3km |
선로 수 | 단선 |
운영 주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노선 연혁 | |
개통 | 알 수 없음 |
폐선 | 2000년대 추정 |
노선 정보 (상세) | |
전철화 여부 | 알 수 없음 |
최고 속도 | 알 수 없음 |
최대 경사 | 알 수 없음 |
노선도 | |
![]() |
2. 노선 정보
(남동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