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납작도마뱀붙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납작도마뱀붙이속(Afroedura)은 도마뱀붙이과의 한 속으로, 34종의 유효한 종이 포함되어 있다. 이 속에는 아프리카나 종군을 포함한 다양한 종들이 있으며, 각 종은 고유한 특징과 분포 지역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납작도마뱀붙이속 - 트란스발납작도마뱀붙이
    트란스발납작도마뱀붙이(림포포 납작도마뱀붙이, 짐바브웨 납작도마뱀붙이)는 짐바브웨가 주요 서식지인 야행성 도마뱀의 일종으로, 1925년 존 휴이트에 의해 새로운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중습성 사바나 지역에서 발견되고, 사회적인 습성을 보이며, 곤충을 먹고, 암컷은 껍질이 단단한 한 쌍의 알을 낳는다.
  • 아서 러브리지가 명명한 분류군 - 파커낮도마뱀붙이
    파커낮도마뱀붙이는 펨바 섬 고유종으로, 밝은 연두색 몸과 검은 점박이 무늬를 가진 중형 도마뱀붙이류이며, 곤충, 무척추동물, 과일을 먹고, 군집 둥지를 틀어 알을 낳는다.
납작도마뱀붙이속
납작도마뱀붙이속
트란스발납작도마뱀붙이 (A. transvaalica)
분류학적 정보
학명Afroedura
명명자러브리지, 1944
납작도마뱀붙이속
종 수34종

2. 종

납작도마뱀붙이속에는 초기에 28개 종이 등록되었으나,[6] 이후 34개의 유효한 종이 등록되었다.[3][2]

하위 분류는 여기를 참고.

주의사항: 삽입어구의 이명 명명자는 원래 해당 종을 납작도마뱀붙이속(''Afroedura'')과는 다른 속에 속한 것으로 기술했을지도 모른다.

2. 1. 분류

납작도마뱀붙이속에는 34종의 유효한 종이 등록되어 있다.[3][2]

학명우리말 이름명명자 및 명명년도
Afroedura africanaBoulenger, 1888
Afroedura amatolica아마톨라 바위 도마뱀붙이Hewitt, 1925
Afroedura bogerti보거트 바위 도마뱀붙이Loveridge, 1944[4]
Afroedura broadleyi브로드리 바위 도마뱀붙이Jacobsen, Kuhn, Jackman & Bauer, 2014
Afroedura donveae이오나 납작 도마뱀붙이Branch, Schmitz, Lobón-Rovira, Baptista, António & Conradie, 2021
Afroedura gorongosaBranch, Guyton, Schmitz, Barej, Naskrecki, Farooq, Verburgt & Rödel, 2017
Afroedura granitica화강암 바위 도마뱀붙이Jacobsen, Kuhn, Jackman & Bauer, 2014
Afroedura haackeiHaacke 바위 도마뱀붙이Onderstall, 1984
Afroedura halliHewitt, 1935
Afroedura hawequensis케이프 바위 도마뱀붙이, 하웨콰 납작 도마뱀붙이Mouton & Mostert, 1985
Afroedura karroicaHewitt, 1925
Afroedura langiV. Fitzsimons, 1930
Afroedura leoloensis레올로 바위 도마뱀붙이Jacobsen, Kuhn, Jackman & Bauer, 2014
Afroedura loveridgeiLoveridge 바위 도마뱀붙이Broadley, 1963[4]
Afroedura majorOnderstall, 1984
Afroedura maripi마리피 바위 도마뱀붙이Jacobsen, Kuhn, Jackman & Bauer, 2014
Afroedura marleyi말리 바위 도마뱀붙이, 말리 납작 도마뱀붙이V. Fitzsimons, 1930
Afroedura multiporis다공성 바위 도마뱀붙이, 우드부시 납작 도마뱀붙이Hewitt, 1925
Afroedura namaquensis나마콰 바위 도마뱀붙이, 나마콰 납작 도마뱀붙이V. Fitzsimons, 1938
Afroedura nivaria드라켄스버그 바위 도마뱀붙이, 드라켄스버그 납작 도마뱀붙이Boulenger, 1894
Afroedura otjihipa오치히파 납작 도마뱀붙이Conradie, Schmitz, Lobón-Rovira, Becker, Vaz Pinto & Hauptfleisch, 2022
Afroedura pienaari피에나르 바위 도마뱀붙이Jacobsen, Kuhn, Jackman & Bauer, 2014
Afroedura pondolia폰도 바위 도마뱀붙이, 폰도 납작 도마뱀붙이Hewitt, 1925
Afroedura pongola퐁골라 바위 도마뱀붙이Jacobsen, Kuhn, Jackman & Bauer, 2014
Afroedura praedicta세라 다 네베 납작 도마뱀붙이Branch, Schmitz, Lobón-Rovira, Becker, António & Conradie, 2021
Afroedura pundomontana보코이 납작 도마뱀붙이Conradie, Schmitz, Lobón-Rovira, Becker, Vaz Pinto & Hauptfleisch, 2022
Afroedura rondavelica론다벨스 바위 도마뱀붙이Jacobsen, Kuhn, Jackman & Bauer, 2014
Afroedura rupestrisJacobsen, Kuhn, Jackman & Bauer, 2014
Afroedura tembulica퀸스타운 바위 도마뱀붙이, 템부 납작 도마뱀붙이Hewitt, 1926
Afroedura tirasensisHaacke, 1965
Afroedura transvaalica트란스발 바위 도마뱀붙이, 트란스발 납작 도마뱀붙이Hewitt, 1925
Afroedura vazpintorum해안 납작 도마뱀붙이Branch, Schmitz, Lobón-Rovira, Baptista, António & Conradie, 2021
Afroedura waterbergensis워터버그 바위 도마뱀붙이Jacobsen, Kuhn, Jackman & Bauer, 2014
Afroedura wulfhaackei앙골라 납작 도마뱀붙이Branch, Schmitz, Lobón-Rovira, Baptista, António & Conradie, 2021



'''참고:''' 학명 뒤 괄호 안에 이명 명명자가 있는 경우는 해당 종이 원래 납작도마뱀붙이속(''Afroedura'')이 아닌 다른 속에 속한 것으로 기술되었음을 의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froedura www.dahmstierleben.d[...]
[2] 논문 Rock island melody: A revision of the ''Afroedura bogerti'' Loveridge, 1944 group, with descriptions of four new endemic species from Angola https://zse.pensoft.[...] 2021
[3] 웹사이트 Afroedura www.reptile-database[...]
[4]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5] 웹사이트 Afroedura www.dahmstierleben.d[...]
[6] 웹사이트 Afroedura www.reptile-database[...]
[7]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