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현이와 덕이의 노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는 장덕이 오빠 장현과 함께 결성한 듀엣 현이와 덕이의 노래이다. 장덕이 솔로 활동의 어려움을 겪던 중, 장현의 제안으로 '현이와 덕이' 재결성을 통해 발표되었다. 이 곡은 장덕이 가장 듣고 싶었던 말을 제목으로 하여, 흥겹고 발랄한 분위기로 제작되었으며 음반의 타이틀곡으로 사용되었다. EXID, 엠블랙, 김연숙 등 여러 가수가 이 곡을 리메이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덕의 노래 - 소녀와 가로등
소녀와 가로등은 현이와 덕이를 비롯한 다양한 가수들이 여러 버전으로 발표했으며, 특히 현이와 덕이는 소프트 록과 록 스타일 두 가지 버전으로, 장덕은 솔로 버전으로 이 곡을 발표했다. - 1985년 노래 - We Are the World
We Are the World는 1985년 에티오피아 기근 난민을 돕기 위해 발매된 자선 싱글로, 퀸시 존스 프로듀싱, 마이클 잭슨과 라이오넬 리치 작곡, 당대 최고 팝 스타 45명이 참여하여 상업적 성공과 함께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자선 음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1985년 노래 - 보이의 계절
마츠다 세이코가 1980년에 발표한 싱글 음반 보이의 계절은 오자키 아미가 작사, 작곡한 곡으로, 칸다 마사키와의 결혼 기념곡이 B side에 수록되어 있고, 영화 주제가로도 사용되었다. - 대한민국의 노래 - 아침 이슬
1970년에 발표된 아침 이슬은 억압적인 정치 상황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젊은이들에게 인기를 얻었으나 금지곡으로 지정되었고, 민주화를 염원하는 이들에게 불리며 민중 가요의 대표곡이 되었다. - 대한민국의 노래 - 아모르 파티 (노래)
김연자의 노래 〈아모르 파티〉는 트로트와 EDM을 결합한 신스팝 장르 곡으로, 프리드리히 니체의 운명애를 뜻하는 "아모르 파티"를 제목으로 사용했으며, 2017년 SNS에서 화제가 되면서 역주행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현이와 덕이의 노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곡 정보 | |
곡명 |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
음악가 | 현이와 덕이 |
음반 |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 |
A 사이드 | 해당사항 없음 |
B 사이드 | 해당사항 없음 |
발매일 | 1985년 6월 30일 |
포맷 | LP |
녹음 | 해당사항 없음 |
장르 | 팝 |
언어 | 한국어 |
길이 | 02:40 |
레이블 | 서라벌레코드 |
작사가 | 장현 |
작곡가 | 장덕 |
편곡가 | 장덕 |
프로듀서 | 해당사항 없음 |
곡 정보 (장덕 솔로 버전 1) | |
음악가 | 장덕 |
음반 | 이런게 아니었는데 (골든앨범 Vo.1) |
A 사이드 | 해당사항 없음 |
B 사이드 | 해당사항 없음 |
발매일 | 1987년 8월 1일 |
포맷 | TAPE |
녹음 | 해당사항 없음 |
장르 | 팝 |
언어 | 한국어 |
길이 | 02:26 |
레이블 | 두봉엔터프라이즈 |
작사가 | 장현 |
작곡가 | 장덕 |
편곡가 | 장덕 |
프로듀서 | 해당사항 없음 |
곡 정보 (장덕 솔로 버전 2) | |
음악가 | 장덕 |
음반 | 그녀의 모든 것 |
A 사이드 | 해당사항 없음 |
B 사이드 | 해당사항 없음 |
발매일 | 1988년 |
포맷 | LP |
녹음 | 해당사항 없음 |
장르 | 팝 |
언어 | 한국어 |
길이 | 02:26 |
레이블 | 서라벌레코드 |
작사가 | 장현 |
작곡가 | 장덕 |
편곡가 | 장덕 |
프로듀서 | 해당사항 없음 |
2. 배경
《사랑하지 않을래》 음반이 큰 반응을 얻지 못하면서 장덕은 솔로 활동의 어려움을 느끼게 되었고, 대부분의 시간을 방 안에만 틀어박혀 우울하게 보냈다. 그리고 어릴 적 오빠 장현과 함께 현이와 덕이로 활동했던 화려한 순간들을 그리워했다. 하지만 장현은 이미 결혼하여 아이도 낳고 울산에서 밤무대 생활을 하며 가정을 꾸려가고 있었기에 부탁할 수도 없었고, 혼자 끙끙 앓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장현은 장덕의 딱한 처지를 알게 되자 서울로 올라와 장덕에게 '현이와 덕이'의 재결성과 음반 발매를 제안하였고, 곧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라는 제목의 가사를 짓게 된다. 이 제목은 아마도 당시의 장덕이 가장 말하고 싶었고 또 듣고 싶어 했던 말인지도 모른다. 장현의 이 애틋한 가사에 곡을 붙인 건 장덕이었다. 장덕의 의도였는지 이 가사는 흥겹고 발랄한 분위기의 곡으로 만들어졌고 결국에는 음반의 타이틀로 사용되었다.
2000년대 이후 여러 가수들이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를 리메이크했다. 이엑스아이디(EXID), 엠블랙, 김연숙, 박강수 등 다양한 장르의 가수들이 자신만의 스타일로 이 곡을 재해석했다.
3. 커버 버전
3. 1. 주요 커버 버전
연도 | 가수 | 앨범/방송 | 비고 |
---|---|---|---|
1997 | 김연숙 | 정규 2집 《디스코 클럽》 | |
2002 | 김연숙 | 정규 4집 《댄스믹스 3040》 | |
2005 | 박강수 | 정규 2.5집 《Ond&New》 | |
2005 | 김연숙 | 《김연숙과 함께 떠나는 댄스여행》 | |
2008 | 유상록 | 《푸른시절 - 논스톱 통기타 베스트 모음집》 | |
2011 | 퍼스트(FIRST) | 디지털 싱글 1집 《FIRST》 | |
2012 | 한영주 | 《우리사랑 부라보》 | |
2013 | 엠블랙 | KBS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 장덕 편' | |
2015 | 이엑스아이디(EXID) | KBS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 가족은 즐겁다 편'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