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녹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녹조는 영양염류, 수온, 햇볕의 조건이 갖춰지고 유속이 느리거나 물이 정체된 곳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녹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햇볕을 제외한 영양염류, 수온 조절이 필요하며, 영양염류 유입을 막거나 유속을 늘려야 한다. 녹조 발생 시 황산구리(CuSO₄)를 사용하거나 황토를 살포하여 조류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추가적인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질 지표 - 마이크로시스틴
    마이크로시스틴은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로, 간독성을 유발하여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식수 오염과 농작물 전이 등을 통해 노출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 수질 지표 - 질산염
    질산염은 질산의 짝염기로, 중심 질소 원자가 세 개의 산소 원자에 둘러싸인 삼각 평면 구조의 분자 이온이며, 자연계 질소 순환의 중요 부분으로 비료나 폭발물 제조에 사용되지만 과도하면 수질 오염과 인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 상하수도 공학 - 저수지
    저수지는 수력 발전, 수자원 관리,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공 시설로,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다양한 수위 기준과 용량 산정 방법을 가지고 건설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환경영향, 댐 붕괴 위험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운영 및 관리된다.
  • 상하수도 공학 - 펌프
    펌프는 공기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기계이며, 진공과 고압을 이용해 작동하고, 원심 펌프, 기어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효율, 양정, 유량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여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 조류 - 스토레아툴라속
    스토레아툴라속은 세균에 속하는 속이다.
  • 조류 - 규조토
    규조토는 규조류의 화석 잔해로 구성된 퇴적암으로, 여과 보조제, 연마재, 단열재, 살충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녹조
녹조 현상
녹조 현상
녹조 현상
개요
정의부영양화된 호수나 저수지, 하천 등에서 플랑크톤인 녹조류와 남조류가 대량으로 번식하여 물 색깔을 짙은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현상이다.
원인수온 상승
일조량 증가
영양염류 과다 (질소, 인 등)
물 흐름 정체
발생 시기주로 여름철에 발생하며, 장마 이후 수온이 높아지고 일사량이 풍부해질 때, 강우량이 적어 물 흐름이 정체될 때 발생하기 쉽다.
영향물의 pH 상승
용존 산소 감소 (호기성 세균에 의한 유기물 분해 심화)
악취 발생
정수 비용 증가
어패류 폐사
독성 물질 생성 (일부 남조류)
수질 지표클로로필-a 농도를 활용하여 녹조 발생 정도를 판단한다. 클로로필-a 농도가 높을수록 녹조 발생 가능성이 높다.
녹조 발생 메커니즘
단계1단계: 부영양화 (영양염류 증가)
2단계: 조류 성장 (수온, 일조량 증가)
3단계: 녹조 발생 (조류 과다 번식)
4단계: 녹조 소멸 (영양염류 고갈, 수온 하강)
남조류의 번성 요인높은 수온
정체된 물 흐름
풍부한 영양염류
낮은 광량 조건에서도 생존 가능
독성 물질 생성으로 경쟁 우위 확보
녹조 발생 시 문제점
상수원정수장의 여과 기능 저하
소독 부산물 생성 가능성 증가
이취미 유발
생태계수생 생물의 서식 환경 파괴
먹이 사슬 교란
생물 다양성 감소
경제적 영향어업 피해
관광 산업 피해
정수 비용 증가
녹조 방지 및 관리 대책
발생 원인 제거하수 처리장 처리 효율 향상
비료 사용량 감축
가축 분뇨 관리 강화
발생 후 대책물 순환 장치 설치
황토 살포
조류 제거선 운영
인공 강우
모니터링 강화녹조 발생 감시 시스템 구축
조류 농도 측정 및 예측
정보 제공 및 홍보 강화
같이 보기

2. 예방

녹조는 영양염류, 수온, 햇볕이라는 세 가지 조건이 모두 갖춰져야 발생하며, 유속이 느리거나 물이 정체된 곳에서 잘 일어난다.[1] 이러한 조건을 제어하면 예방이 가능하지만, 햇볕은 제어가 거의 불가능하다.[1] 수온의 경우, 수량을 늘리거나 대규모 댐을 건설하면 수온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1]

2. 1. 영양염류 관리

질소(N)와 인(P) 등의 영양염류는 주로 공장 폐수나 가정 하수에 많이 들어 있어, 이러한 영양염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1] 물이 고여 있으면 질소나 인 등의 성분이 플랑크톤을 불러 모으기 때문에 녹조 현상이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1] 따라서 영양염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거나 유속을 늘려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가 쌓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1]

2. 2. 수온 및 유속 조절

녹조 발생의 3대 조건은 영양염류, 수온, 햇볕이다. 이 조건들이 모두 갖춰지면 녹조가 발생하며, 유속이 느리거나 물이 정체된 곳에서 잘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1]

수온의 경우, 수량을 늘리거나 대규모 댐을 건설하는 것이 수온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1] 또한, 질소(N), (P) 등의 영양염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야 하는데, 이러한 물질은 주로 공장폐수나 가정하수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1]

물이 고여 있으면 질소나 인 등의 성분이 플랑크톤을 불러 모아 녹조 현상이 더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영양염류가 하천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거나 유속을 늘려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가 쌓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1]

3. 대처

녹조 현상이 발생했을 때 긴급하게 대처하는 방법으로 황산구리를 사용하거나,[2][3] 황토를 뿌려 조류를 뭉치게 하여 가라앉히는 방법이 있다.[4] 그러나 황산구리를 사용하는 것은 추가적인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고, 황토를 사용하는 것은 가라앉은 조류가 썩으면서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3. 1. 황산구리 살포

CuSO4를 써서 녹조 현상을 응급처치할 수 있다.[2][3] 그러나 추가적인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3. 2. 황토 살포

황토를 살포하여 조류를 응집시켜 제거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의 단점은 응집되어 가라앉은 조류가 부패하면서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4]

참조

[1] 서적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2017-09-11
[2] 서적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2016-01-01
[3] 서적 상하수도 공학 구미서관
[4] 특허 녹조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https://patents.goog[...] 201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