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농서 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농서 이씨(隴西 李氏)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입니다. 다음은 농서 이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 기원 및 본관: 농서 이씨는 중국에서 유래한 성씨로, 농서(隴西)는 중국 감숙성(甘肅省) 임조부(臨洮府)와 공창부(鞏昌府) 서쪽에 위치했던 진한시대의 군(郡) 이름이라는 설이 유력합니다.
  • 시조: 농서 이씨는 성주 이씨(星州 李氏)의 중흥조인 이장경(李長庚)을 시조로 합니다. 그의 손자 이승경(李承慶)이 원나라에서 참지정사(參知政事) 벼슬을 지냈고, 원나라 왕이 그와 그의 조부 이장경을 농서군(隴西君)에 봉하면서 후손들이 농서를 관향으로 삼게 되었습니다.
  • 성주 이씨와의 관계: 농서 이씨는 성주 이씨와 뿌리를 같이 하고 있습니다. 성주 이씨를 농서 이씨라고도 합니다.
  • 분파:
  • 이여송(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군 총지휘관)의 5대손으로, 그의 손자 이응조와 이여매의 손자 이명조는 조선으로 귀화하여 정착, 성주 이씨의 중시조 이장경을 시조로 세계를 이었습니다.
  • 이여송의 셋째 아들 이천충은 거제도 아주로 옮겨가 살아 농서 이씨 거제도 입조 중시조가 되었습니다.
  • 인구: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3,136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별칭: 성주 이씨는 농서 이씨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 참고:
  • 중국에서는 "천하의 이씨는 모두 농서를 본으로 한다"고 하며, 농서 이씨의 시조는 노자(老子)라고 합니다. 노자는 주하사(柱下史)라는 관직에 있었습니다.
  • 당나라 황실의 국성이 농서 이씨였으며, 시인 이태백도 농서 이씨 출신으로 당 황실의 먼 친척입니다.
  • 상산 이씨(尙州 李氏)의 시조 이민도(李敏道)는 본래 중국의 농서 이씨였는데, 고려 공민왕 때 귀화하여, 왕명으로 본관을 상주 이씨로 개칭하였습니다.


농서 이씨
농서 이씨 (陇西 李氏)
이한준 일가 사진
이한준 일가 사진
기원
시조이숭덕(李崇德)
중시조이장경(李長庚)
분파사직공파
부사공파
판서공파
낭장공파
대호군공파
군수공파
진사공파
생원공파
참봉공파
교위공파
현감공파
역사
농서 이씨농서 이씨(陇西 李氏)는 중국 농서(陇西)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시조는 당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온 이숭덕(李崇德)이다. 그는 고려 태조를 도와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워 농서군(陇西君)에 봉해졌다.
중시조이숭덕의 9세손인 이장경(李長庚)을 중시조로 한다. 이장경은 고려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이르렀다.
본관
본관농서(陇西)는 중국 간쑤성(甘肅省)에 있는 지명이다.
항렬자
항렬자28세: 상(相), 재(宰)
29세: 묵(默), 윤(潤)
30세: 중(重), 근(根)
31세: 병(炳), 형(炯)
32세: 규(奎), 배(培)
33세: 종(鍾), 균(鈞)
34세: 순(淳), 택(澤)
35세: 치(致), 식(植)
36세: 희(熙), 환(煥)
37세: 돈(墩), 재(在)
38세: 명(銘), 진(鎭)
39세: 연(淵), 홍(洪)
40세: 권(權), 귤(橘)
인구
2015년 인구 조사4,388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