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허라이즌스 2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 허라이즌스 2호는 뉴 프런티어 계획의 차기 후보로 고려되었으나 최종 선출에서 탈락한 카이퍼 벨트 탐사선 계획이다. 2004년 미국 상원 세출 위원회의 추가 자금 지원을 받았으며, NASA와 JPL의 지원을 받아 개발될 예정이었다. 렘포, 트리톤, 2002 UX25 등 다양한 천체를 탐사 대상으로 고려했으며, 2002년 발사 계획이 있었으나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왕성 탐사선 - 보이저 2호
보이저 2호는 NASA의 그랜드 투어 계획으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탐사하기 위해 발사되어 중력도움 기술로 외행성들을 탐사하고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매질에서 탐사를 진행 중인 무인 우주 탐사선이다. - 천왕성 탐사선 - ODINUS
ODINUS는 유럽 우주국(ESA)의 지원을 받아 2034년 발사 예정인 우주 탐사 프로젝트로, 해왕성의 자기장 연구와 행성 내부 구조 및 대기 현상에 대한 단서 제공을 목표로 다양한 과학 장비가 탑재될 예정이다. - 소행성 탐사선 - 니어 슈메이커
존스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최초의 로봇 소행성 탐사선인 NEAR 슈메이커는 지구 근접 소행성 433 에로스를 탐사하며 크기, 형태, 질량, 밀도, 구성, 지표 및 내부 구조, 자기장 정보를 수집하고 소행성 마틸다에 대한 근접 통과 관측을 수행하여 16만 장 이상의 이미지와 과학 데이터를 얻었으며, 소행성 궤도를 도는 최초의 탐사선이 되어 태양계 형성 연구에 기여했다. - 소행성 탐사선 - 뉴 허라이즌스
뉴 허라이즌스는 NASA의 뉴 프런티어 계획 탐사선으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며 명왕성의 표면, 지형, 대기 등을 조사하고 카이퍼 벨트 천체 아로코스의 근접 관측을 통해 초기 태양계 형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했으며, 플루토늄-238을 동력원으로 2030년대까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목성 탐사선 -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는 1977년 발사된 미국의 무인 탐사선으로 목성, 토성 탐사 후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공간을 탐험 중이며, 이오 화산 활동 발견 등의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고,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 물체로서 외계 생명체와의 소통을 위한 황금 레코드를 싣고 있다. - 목성 탐사선 - 뉴 허라이즌스
뉴 허라이즌스는 NASA의 뉴 프런티어 계획 탐사선으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며 명왕성의 표면, 지형, 대기 등을 조사하고 카이퍼 벨트 천체 아로코스의 근접 관측을 통해 초기 태양계 형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했으며, 플루토늄-238을 동력원으로 2030년대까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뉴 허라이즌스 2호 | |
---|---|
미션 개요 | |
임무 유형 | 근접 통과 |
관리 기관 | NASA |
목표 천체 | TNO(해왕성 횡단 천체), 천왕성, 해왕성, 카이퍼 벨트 |
발사 정보 | |
발사일 | 2002년 (제안) |
발사 장소 | 미정 |
우주선 정보 | |
승무원 | 무인 |
이전 임무 | 없음 |
이후 임무 | 없음 |
기술 정보 | |
접근 천체 | TNO(해왕성 횡단 천체), 천왕성, 해왕성, 카이퍼 벨트 |
기타 | |
다른 이름 | NHII, NH2 |
2. 역사와 제작 배경
''뉴 허라이즌스 2호''는 뉴 프론티어 계획의 일환으로 제안된 카이퍼 벨트 탐사선 계획이었다.[15][5] 초기 단계에서 연구 및 예산 지원이 이루어졌으나,[17][13][7] 최종적으로는 계획이 무산되었다.[16]
2. 1. 초기 계획
뉴 프론티어 계획에 제출되어[15] 연구비도 배정받고 발사일과 주요 계획까지 모두 세워졌으나,[17][13] 최종 선출에서는 탈락했다.[16] 그럼에도 ''뉴 허라이즌스 2호''는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 임무의 잠정 예산에는 포함되어 있었다.[7] 2004년, 미국 상원 세출 위원회는 새로운 카이퍼 벨트 탐사선인 ''뉴 허라이즌스 2호''를 위해 추가 자금을 지원했다.[5] 같은 해 초에는 ''뉴 허라이즌스 2호''의 천왕성 근접 비행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6]탐사 후보 목표 중 하나는 47171 렘포였다. 이 천체는 명왕성-카론처럼 여러 개의 천체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다.[7] 렘포 탐사 계획에는 목성과 천왕성 근접 비행, 그리고 네 개의 카이퍼 벨트 천체(KBO) 탐사도 포함되었다.[2] 이 계획은 유연성이 높아, 중력 보조 없이도 50 AU 이내에 있고 비행 시간이 20년 미만인 모든 KBO를 탐사 목표로 삼을 수 있었다.[3] 해왕성의 위성 트리톤 근접 비행도 고려되었으며, 66652 보라시시가 후속 탐사 대상으로 검토되었다.[3] 렘포와 비슷한 궤도를 가진 55637 2002 UX25 역시 방문 대상으로 고려되었다.[8]
2. 2. 무산된 계획
뉴 프론티어 계획에 제출되어[15] 연구비도 배정받았으며, 2002년 발사를 목표로 주요 계획까지 모두 수립된 상태였다.[17][13] 이로 인해 차기 후보작으로 유력하게 여겨졌으나,[16] 최종 선출 과정에서는 선택받지 못했다. 결국 계획은 취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될 발사체와 발사 장소는 정해지지 않았다.3. 탐사 대상 및 궤도 (계획)
''뉴 허라이즌스 2호''는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계획되었으며, 카이퍼 벨트 탐사를 목표로 했다.[7][5] 초기 계획 단계에서는 천왕성 근접 비행을 포함한 다양한 시나리오가 검토되었다.[6]
임무 계획은 목성이나 천왕성과 같은 외행성의 중력 보조를 활용하거나, 또는 중력 보조 없이 직접 카이퍼 벨트로 향하는 다양한 궤도를 포괄했다.[2] 특히 중력 보조 없이도 50 AU 이내에 있고 비행 시간이 20년 미만인 다양한 카이퍼 벨트 천체(KBO)를 탐사 목표로 삼을 수 있도록 궤도 설계에 상당한 유연성을 두는 방안이 고려되었다.[3] 해왕성의 위성 트리톤 역시 잠재적인 탐사 목표 중 하나로 검토되었다.[3]
3. 1. 고려된 탐사 대상
''뉴 허라이즌스 2호''는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 임무의 잠정 예산에 포함되었다.[7] 2004년, 미국 상원 세출 위원회는 새로운 카이퍼 벨트 탐사선인 ''뉴 허라이즌스 2호''에 대한 추가 자금을 지원했다.[5] 같은 해 초에는 천왕성 근접 비행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회의가 열렸다.[6]탐사선의 후보 목표로는 여러 천체가 고려되었다. 대표적으로 47171 렘포가 있었는데, 이 시스템은 명왕성-카론과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천체를 포함하고 있다.[7] 렘포를 목표로 하는 임무 계획에는 목성과 천왕성 근접 비행, 그리고 네 개의 카이퍼 벨트 천체(KBO) 탐사도 포함되었다.[2] 이 계획은 유연성이 높아, 중력 보조 없이도 50 AU 이내에 있고 비행 시간이 20년 미만인 모든 KBO를 탐사 대상으로 삼을 수 있었다.[3]
또한 해왕성의 위성인 트리톤 근접 비행도 검토되었으며, 66652 보라시시가 잠재적인 후속 탐사 대상으로 고려되었다.[3] 렘포와 비슷한 궤도를 가진 55637 2002 UX25 역시 방문 대상으로 고려되었다.[8]
4. 지원, 개발, 투자
''뉴 허라이즌스 2호''는 NASA와 JPL이 관련된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 임무의 잠정 예산에 포함되었다.[7] 2004년, 미국 상원 세출 위원회는 새로운 카이퍼 벨트 탐사선인 ''뉴 허라이즌스 2호''에 대한 추가 자금을 지원했다.[5] 같은 해 초, ''뉴 허라이즌스 2호''의 천왕성 근접 비행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가 열렸다.[6]
탐사 후보 목표에는 명왕성-카론처럼 여러 천체로 이루어진 47171 렘포 시스템이 포함되었다.[7] 렘포 탐사 임무 계획에는 목성과 천왕성 근접 비행, 그리고 네 개의 카이퍼 벨트 천체(KBO) 방문도 포함되었다.[2] 이 계획은 유연성이 높아, 중력 보조 없이도 20년 비행 시간 내에 50 AU 이내의 모든 KBO에 도달할 수 있었다.[3] 해왕성의 위성 트리톤 근접 비행도 고려되었으며, 후속 탐사 대상으로는 66652 보라시시가 검토되었다.[3] 렘포와 비슷한 궤도를 가진 2002 UX25 역시 방문 대상으로 고려되었다.[8]
5. 발사 (계획)
참조
[1]
웹사이트
New Horizons II (2004-2005)
https://www.wired.co[...]
2012-05-22
[2]
웹사이트
New Horizons 2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13-08-02
[3]
간행물
Final report of the New Horizons II review panel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05-05-31
[4]
웹사이트
Presentation: SSE Decadal Survey and New Horizons: A Rough Start
http://www.lpi.usra.[...]
2005-06
[5]
웹사이트
New Horizons For Planetary Exploration
http://www.spacedail[...]
2004-10-05
[6]
웹사이트
Revolution Afoot– Cheaper, More Frequent Outer Planets Missions – New Horizons II Workshop
https://spacenews.co[...]
2004-06-05
[7]
서적
Future spacecraft propulsion systems: enabling technologies for space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Publishing
2009
[8]
웹사이트
No Shortage of Dreams: New Horizons II (2004-2005)
http://spaceflighthi[...]
2015-07-14
[9]
문서
New Horizons II Final Report - March 2005
http://www.lpi.usra.[...]
[10]
웹인용
Presentation: SSE Decadal Survey and New Horizons: A Rough Start
http://www.lpi.usra.[...]
2005-06
[11]
뉴스
Revolution Afoot-- Cheaper, More Frequent Outer Planets Missions - New Horizons II Workshop
http://www.spaceref.[...]
[12]
웹인용
New Horizons For Planetary Exploration
http://www.spacedail[...]
2004-10-05
[13]
웹인용
New Horizons 2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14]
웹인용
Presentation: SSE Decadal Survey and New Horizons: A Rough Start
http://www.lpi.usra.[...]
2005-06
[15]
웹인용
Future Spacecraft Propulsion Systems: Enabling Technologies for Space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2009-03-20
[16]
웹인용
Presentation: SSE Decadal Survey and New Horizons: A Rough Start
http://www.lpi.usra.[...]
2005-06
[17]
웹인용
New Horizons II (2004-2005)
https://www.wired.co[...]
2012-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