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달걀버섯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걀버섯은 자실체가 초기에는 백색의 난형을 띠다가 성장하면서 갓과 대가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갓은 적황색 또는 등황색이며, 주름살은 등황색을 띤다. 대는 등황색 또는 황색이며 뱀껍질 모양의 인편을 이루고, 턱받이와 대주머니를 갖는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혼합림에서 발생하며,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 식용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맹독성 버섯인 독우산광대버섯과 혼동될 수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2년 기재된 균류 - 큰갓버섯
    큰갓버섯은 여름에서 가을 사이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는 식용 버섯으로, 큰 갓과 자루, 갈라진 갈색 인편, 뱀 껍질 같은 얼룩무늬가 특징이지만, 독버섯과 혼동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달걀버섯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달걀버섯
달걀버섯
학명Amanita hemibapha
학명 명명자(Berk. & Broome) Sacc.
이명Agaricus hemibaphus Berk. & Broome
균학적 분류
광대버섯속
광대버섯과
주름버섯목
담자균강
아문담자균아문
담자균문
균계
형태적 특징
갓 모양볼록형, 평평형
갓 주름살자유형
자루 특징턱받이와 볼보 존재
포자 문양 색흰색
생태적 유형균근 형성
식용 여부
식용 가능 여부좋은 식용 버섯

2. 특징

달걀버섯은 자실체, 갓, 주름살, 대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자실체는 초기에 백색의 난형이나, 성장하면서 갓과 대가 나타난다. 갓은 크기가 50mm-150mm이며, 초기에는 반구형이나 성장 후에는 편평해지고 중앙에 돌기가 있기도 하다. 갓 표면은 적황색-등황색이며 방사상의 선이 있다. 주름살은 떨어진 주름살로 등황색을 띠며, 끝에 노란 분질물이 있다. 대는 100mm-170mm × 6mm-20mm 크기로, 원통형이며 위쪽이 가늘고, 성숙하면 속이 빈다. 대 표면은 등황색-황색이며, 성장하면서 뱀껍질 모양의 인편이 생긴다. 상부에는 등황색 턱받이가, 기부에는 백색의 막질 대주머니가 있다.[1]

2. 1. 자실체

자실체는 초기에 백색이고 난형이나, 성장하면 정단부위의 외피막이 파열되어 갓과 대가 나타난다. 갓 크기는 50-150mm로 초기에는 반구형-반반구형이나 성장 후에는 편평하게 퍼지며 종종 중앙 부위가 볼록한 돌기로 된다. 갓 표면은 적황색-등황색이고 주변에는 방사상의 선이 있다. 주름살은 떨어진 주름살이며 다소 빽빽하고 등황색을 띠고, 주름살끝에는 내피막 잔유물인 노란 분질물이 보인다. 대는 크기가 100mm-170mm × 6mm-20mm이고, 원통형으로 다소 위쪽이 가늘고, 성숙하면 속이 비어 있다. 대 표면은 등황색-황색을 띠며 성장하면 표면이 갈라져 섬유상의 인편이 뱀껍질 모양을 이룬다. 상부에는 등황색의 턱받이가 있으며 기부에는 영구성인 두꺼운 백색의 막질 대주머니가 있다.

2. 2. 갓

갓의 크기는 50-150mm로, 초기에는 반구형이나 반반구형을 띠지만 성장하면서 편평하게 퍼진다. 종종 중앙 부위가 볼록한 돌기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갓 표면은 적황색 또는 등황색을 띠며, 주변부에는 방사상의 선이 나타난다. 주름살은 떨어진 주름살 형태로 다소 빽빽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등황색이다. 주름살 끝부분에는 내피막 잔유물인 노란 분질물이 관찰된다.[1]

2. 3. 주름살

주름살은 떨어진 주름살이며 다소 빽빽하고 등황색을 띠고, 주름살끝에는 내피막 잔유물인 노란 분질물이 보인다.[1]

2. 4. 대

대는 크기가 100-170×6-20mm이고, 원통형으로 다소 위쪽이 가늘며, 성숙하면 속이 비어 있다.[1] 표면은 등황색-황색을 띠며 성장하면 표면이 갈라져 섬유상의 인편이 뱀껍질 모양을 이룬다.[1] 상부에는 등황색의 턱받이가 있으며 기부에는 영구성인 두꺼운 백색의 막질 대주머니가 있다.[1]

3. 발생 시기

여름에서 가을까지 혼합림 내 지상에 단생 또는 산생하는 외생균근균이다.[1]

4. 분포

달걀버섯은 한국(전국적),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구소련, 중국, 세일론, 북미 등에도 분포한다.[1]

5. 독성

중국에서 발견되는 변종인 ''Amanita hemibapha var. ochracea''는 다량 섭취 시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섭취는 권장되지 않는다.[3] 이 종은 맹독성 버섯인 독우산광대버섯과 혼동될 수 있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참조

[1] 논문 Occurrence of a lesser known edible ''Amanita'' in the western ghats of Kerala
[2] 웹사이트 "''Amanita hemibapha'' (Berk. & Broome) Sacc." http://eticomm.net/~[...] 2010-02-12
[3] 기타 云南野生蘑菇中毒防治手册 2011.05 http://www.kib.cas.c[...]
[4] 서적 한국의 버섯 동방미디어 2004-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