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장애인 태권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장애인 태권도는 장애인 태권도 행정을 담당하는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KTAD)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겨루기, 품새, 격파, 발차기, 태권체조, 태권경연 등 다양한 종목에서 대회가 개최되며,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장애인태권도국가대표선수선발대회 등이 주요 대회이다. 선수 등록 통계 및 선수단 등록 통계를 통해 장애인 태권도 규모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애인 태권도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대한민국의 태권도에 관한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대한민국의 태권도에 관한 - 한국여성태권도연맹
- 대한민국의 태권도 - 태권도원
태권도원은 태권도 진흥을 위해 전라북도 무주군에 조성된 태권도 관련 시설이며, 1997년 건립 건의를 시작으로 2014년 개관하여 체험, 수련, 상징 공간과 조경 공간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태권도 - 전국태권도연합회
| 대한민국의 장애인 태권도 | |
|---|---|
| 스포츠 정보 | |
![]() | |
| 국가 | 대한민국 |
| 종목 | 태권도 |
| 총괄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 체육회 | 대한장애인체육회 정회원 종목 |
| 국제 연맹 | 세계 태권도 연맹 회원국 |
| 대륙 연맹 | 아시아 태권도 연맹 회원국 |
| 선수 | 372 |
| 남자 선수 | 271 |
| 여자 선수 | 101 |
| 선수 통계 연도 | 2022 |
2. 행정 기구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는 대한민국의 장애인 태권도 행정을 총괄하는 기구이다.[1] 2009년에 설립되어 대한장애인체육회의 정회원 단체가 되었다.
| 행정 기구 | 설립 | 비고 |
|---|---|---|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2009년 | 대한장애인체육회 정회원 |
2. 1.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는 2009년에 설립되어 대한장애인체육회의 정회원 단체로, 대한민국의 장애인 태권도를 총괄한다.3. 대회
대한민국의 장애인 태권도 대회는 장애 유형 및 종목에 따라 다양하게 개최된다. 장애인 태권도 종목은 크게 겨루기, 품새, 격파로 나눌 수 있다.
겨루기는 지체, 청각 장애 유형으로 구분되며,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장애인태권도국가대표선수선발대회 등에서 경기가 열린다.[1][2]
품새는 청각, 지적 장애 유형으로 구분되며, 개인전 및 단체전 경기가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등에서 진행된다.[5]
격파는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가 주최하는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에서 찾아볼 수 있다.[9]
3. 1. 겨루기
겨루기는 장애인 태권도의 한 종목으로, 지체, 청각 장애 유형으로 구분된다.[1][2]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장애인태권도국가대표선수선발대회 등의 대회가 개최된다.3. 1. 1. 남자 겨루기
남자 겨루기는 장애 유형(K40, K41, K44, K60) 및 체급별로 세분화되어 진행된다.[1]| 구분 | 대회 | 주최 | 세부 종목 |
|---|---|---|---|
| K40 | 장애인태권도국가대표선수선발대회, 전국한마음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58kg, -63kg, -70kg, -80kg, +80kg |
| K41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대한장애인체육회 | -58kg, -63kg, -70kg, -80kg, +80kg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61kg, -75kg, +75kg | |
| K41 (U-18)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61kg, -75kg, +75kg |
| K44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대한장애인체육회 | -58kg, -63kg, -70kg, -80kg, +80kg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61kg, -75kg, +75kg | |
| K44 (U-18)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61kg, -75kg, +75kg |
| K60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대한장애인체육회 | -58kg, -68kg, -80kg, +80kg, 단체 겨루기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장애인태권도국가대표선수선발대회, 전국한마음태권도대회,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58kg, -68kg, -80kg, +80kg | |
| K60 (U-18)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58kg, -68kg, -80kg, +80kg |
3. 1. 2. 여자 겨루기
여자 겨루기는 장애 유형(K40, K41, K44, K60) 및 체급별로 세분화되어 진행된다.[2]| 구분 | 대회 | 주최 | 세부 종목 |
|---|---|---|---|
| 지체 (K40) | 장애인태권도국가대표선수선발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7kg, -52kg, -57kg, -65kg, +65kg |
| 전국한마음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7kg, -52kg, -57kg, -65kg, +65kg | |
| 지체 (K41)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대한장애인체육회 | -47kg, -52kg, -57kg, -65kg, +65kg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9kg, -58kg, +58kg | |
|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7kg, -52kg, -57kg, -65kg, +65kg |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U-18)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9kg, -58kg, +58kg | |
| 지체 (K44)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대한장애인체육회 | -47kg, -52kg, -57kg, -65kg, +65kg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9kg, -58kg, +58kg | |
|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7kg, -52kg, -57kg, -65kg, +65kg |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U-18)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9kg, -58kg, +58kg | |
| 청각 (K60)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대한장애인체육회 | -49kg, -57kg, -67kg, +67kg, 단체 겨루기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9kg, -57kg, -67kg, +67kg | |
| 장애인태권도국가대표선수선발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9kg, -57kg, -67kg, +67kg | |
| 전국한마음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9kg, -57kg, -67kg, +67kg | |
|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9kg, -57kg, -67kg, +67kg, 단체 겨루기 |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U-18)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49kg, -57kg, -67kg, +67kg |
3. 2. 품새
품새는 장애인 태권도에서 사용되는 기술 형식 중 하나로, 청각, 지적 장애 유형으로 구분된다.[5] 개인전 및 단체전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된다.| 구분 | 대회 | 주최 | 세부 종목 |
|---|---|---|---|
| 시각 (P10)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통합부, 유단자부, 유급자부 (일반) 유단자부, 유급자부 (U-18) 유품자부, 유급자부 (U-15) |
| 청각 (P60)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복식 (일반) 통합부, 유급자부, 유단자부 (일반) 유급자부, 유단자부 (U-18) 유급자부, 유품자부 (U-15) 복식 (일반) |
| 지적 (경증, 중증)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개인, 복식 (일반, 경증) 개인 (U-18, 경증) 개인 (U-15, 경증) 단체 (일반, 경증) 개인 (일반, 중증) 개인 (U-18, 중증) 개인 (U-15, 중증) 단체 (일반, 중증) |
3. 2. 1. 남자 품새
남자 품새는 청각(P60) 및 지적(경증, 중증) 장애 유형별로 대회가 개최된다.[6]3. 2. 2. 여자 품새
여자 품새는 지적 장애 유형별로 대회가 개최된다.[7][8]3. 2. 3. 혼합 품새
혼합 품새는 시각, 청각, 지적 장애 유형으로 구분되며, 연령대별(일반, U-18, U-15)로 다양한 종목이 진행된다.[5]| 구분 | 대회 | 주최 | 세부 종목 |
|---|---|---|---|
| 시각 (P10)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통합부: 복식 품새, 유단자부: 개인 품새, 유급자부: 개인 품새 (일반) 유단자부: 개인 품새, 유급자부: 개인 품새 (U-18) 유품자부: 개인 품새, 유급자부: 개인 품새 (U-15) |
| 청각 (P60) |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대한장애인체육회 | 복식 품새 (일반) |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통합부: 복식 품새, 유급자부: 개인 품새, 유단자부: 개인 품새 (일반) 유급자부: 개인 품새, 유단자부: 개인 품새 (U-18) 유급자부: 개인 품새, 유품자부: 개인 품새 (U-15) | |
|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복식 품새 (일반) | |
| 지적 (경증)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개인 품새, 복식 품새 (일반) 개인 품새 (U-18) 개인 품새 (U-15) |
|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단체 품새 (일반) | |
| 지적 (중증) | 경기도지사배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개인 품새 (일반) 개인 품새 (U-18) 개인 품새 (U-15) |
|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단체 품새 (일반) |
3. 3. 혼합 격파
혼합 격파는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가 주최하는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에서 찾아볼 수 있다.[9]| 구분 | 대회 | 주최 | 세부 종목 | 비고 |
|---|---|---|---|---|
| 지적 | KPTA 전국장애인태권도대회 |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 단체 태권경연 |
4. 통계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는 대한민국의 장애인 태권도 선수 및 선수단 등록 통계를 제공한다. 선수 등록 통계는 2011년부터, 선수단 등록 통계는 2010년부터 확인할 수 있다.
4. 1. 선수
| 연도 | 전체 | 12세 이하 | 15세 이하 | 18세 이하 | 대학 | 일반 | 비고 | ||||||||||||
|---|---|---|---|---|---|---|---|---|---|---|---|---|---|---|---|---|---|---|---|
| 남자 | 여자 | 총계 | 남자 | 여자 | 소계 | 남자 | 여자 | 소계 | 남자 | 여자 | 소계 | 남자 | 여자 | 소계 | 남자 | 여자 | 소계 | ||
| 2011 | 71 | 27 | 98 | [10] | |||||||||||||||
| 2012 | 65 | 27 | 92 | [11] | |||||||||||||||
| 2013 | 82 | 32 | 114 | [12] | |||||||||||||||
| 2014 | 136 | 55 | 191 | [13] | |||||||||||||||
| 2015 | 183 | 90 | 273 | [14] | |||||||||||||||
| 2016 | 214 | 75 | 289 | [15] | |||||||||||||||
| 2017 | 74 | 33 | 107 | [16] | |||||||||||||||
| 2018 | 96 | 43 | 139 | [17] | |||||||||||||||
| 2019 | 176 | 61 | 237 | [18] | |||||||||||||||
| 2020 | 142 | 53 | 195 | [19] | |||||||||||||||
| 2021 | 259 | 102 | 361 | [20] | |||||||||||||||
| 2022 | 271 | 101 | 372 | [21] | |||||||||||||||
4. 2. 선수단
참조
[1]
문서
2023년 기준
[2]
문서
2023년 기준
[3]
문서
2023년 기준
[4]
문서
2023년 기준
[5]
문서
2023년 기준
[6]
문서
2023년 기준
[7]
문서
2023년 기준
[8]
문서
2023년 기준
[9]
문서
2023년 기준
[10]
서적
2011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1]
서적
2012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2]
서적
2016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3]
서적
2014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4]
서적
2016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5]
서적
2016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6]
서적
2017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7]
서적
2018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8]
서적
2019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19]
서적
2020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
서적
2021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1]
서적
2022 체육백서
https://www.mcst.go.[...]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2]
서적
2010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3]
서적
2011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4]
서적
2012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5]
서적
2013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6]
서적
2014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7]
서적
2015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8]
서적
2016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9]
서적
2017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30]
서적
2018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31]
서적
2019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32]
서적
2020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33]
서적
2021 체육백서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34]
서적
2022 체육백서
https://www.mcst.go.[...]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