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린 첨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블린 첨탑은 아일랜드 더블린 오코넬 거리에 위치한 121.2미터 높이의 원뿔형 스테인리스 스틸 구조물이다. 1990년대 후반 오코넬 거리 재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넬슨 기념비를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2003년 1월 21일 완공되었다. 설계는 이안 리치 아키텍츠가 맡았고, 건설 과정에서 설계 및 비용 관련 논란이 있었지만, 현재는 더블린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2024년 5월에는 뉴욕과 연결되는 "포털"의 일부가 되어 두 도시 간의 문화적 교류를 증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블린의 관광지 - 더블린성
더블린성은 1204년 잉글랜드 왕 존의 명령으로 건설되어 요새, 행정 중심지, 대통령 취임식 장소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공공사업청에서 관리하는 아일랜드 더블린의 주요 건축물이다. - 더블린의 관광지 - 글래스네빈 묘지
아일랜드 더블린의 글래스네빈 묘지는 1832년 가톨릭 신자 묘지 부족 해결을 위해 다니엘 오코넬이 설립한 곳으로, 대기근 희생자 안장, 저명 인사 안치, 화장 시설 및 박물관을 갖춘 아일랜드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 강철 조소 - 클라우드 게이트
클라우드 게이트는 시카고 밀레니엄 공원에 설치된 아니쉬 카푸어의 공공 조형물로, 스테인리스강 패널을 용접하여 제작되었으며 시카고 스카이라인을 반사하는 거울 효과를 통해 관람객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 강철 조소 - 토끼 (쿤스)
제프 쿤스가 1986년에 제작한 스테인리스 스틸 조각 작품 《토끼》는 단순한 형태와 현대적인 재료로 다양한 해석을 낳으며 미술계에 영향을 주었고, 생존 예술가 작품 최고 경매 기록을 경신하며 시카고 현대 미술관과 더 브로드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더블린의 건축물 - 더블린성
더블린성은 1204년 잉글랜드 왕 존의 명령으로 건설되어 요새, 행정 중심지, 대통령 취임식 장소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공공사업청에서 관리하는 아일랜드 더블린의 주요 건축물이다. - 더블린의 건축물 - 아비바 스타디움
아일랜드 더블린에 위치한 아비바 스타디움은 럭비 및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2010년 개장 이후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4층 보울 형태의 건축 구조와 물결 모양 지붕, 용이한 대중교통 접근성을 특징으로 한다.
더블린 첨탑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더블린 첨탑 |
다른 이름 | 빛의 기념비 |
아일랜드어 명칭 | An Túr Solais (안 투르 솔라이스) |
위치 | 아일랜드, 더블린 |
건축 | |
종류 | 기념비, 조각 |
높이 | 120 m |
착공 | 2002년 |
완공 | 2003년 1월 21일 |
건축가 | 이안 리치 건축가 |
의뢰인 | 더블린 시 의회 |
비용 | €4,600,000 |
재료 | 스테인리스 강 |
엔지니어 | 아럽 그룹 |
2. 역사적 배경
더블린 첨탑(스파이어)이 세워진 오코넬 스트리트의 중심부는 원래 넬슨 기둥이 있던 자리였다. 그러나 1966년 옛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관련 인물들의 폭탄 공격으로 넬슨 기둥이 파괴된 후,[5] 적절한 대체물을 찾지 못해 수년간 빈터로 남아 있었다.[6] 이 시기 오코넬 거리는 패스트푸드점과 값싼 상점들이 늘어나고 관리가 소홀해지면서 점차 쇠퇴하였다.[6]
1988년 더블린 밀레니엄을 기념하여 임시로 ''안나 리비아'' 조형물이 설치되었으나,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거리 전체를 재정비하고 새로운 상징물을 세우려는 계획이 본격화되었다. 이는 당시 켈트 호랑이로 불리던 아일랜드 경제 호황 속에서 수도 더블린의 중심 거리를 되살리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6]
1998년, 넬슨 기둥을 대체할 기념물을 찾기 위한 국제 공모전이 열렸고, 더블린 시장 조 도일이 위원장을 맡은 위원회는 여러 작품 중 이안 리치 건축가의 이안 리치가 설계한[9] '빛의 첨탑'(스파이어)을 최종 선정했다.[6] 하지만 일부 반대와 법적 문제로 인해[8] 건설은 지연되어 2000년 밀레니엄에는 완공되지 못했다.[6] 환경 영향 평가 등 필요한 절차를 거친 후,[8] 2001년 기존의 ''안나 리비아'' 기념물을 이전하고 스파이어 건설이 시작되었다. 건설 계약은 SIAC-Radley JV에 수주되었고, 워터포드주 덩가번의 Radley Engineering에서 제작하였으며, SIAC Construction Ltd & GDW Engineering Ltd가 시공을 맡았다.
2. 1. 넬슨 기념비 파괴와 오코넬 거리의 쇠퇴

1966년, 옛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구성원들이 오코넬 스트리트의 중심에 서 있던 넬슨 기둥을 폭탄으로 공격하여 파괴했다. 이 사건 이후 남은 기둥 잔해는 엿새 뒤 통제된 해체 작업을 통해 완전히 제거되었다.[5] 하지만 적절한 대체물을 결정하지 못하면서 기념비가 있던 자리는 수년 동안 빈 공간으로 남게 되었다.[6]
넬슨 기념비가 사라진 자리는 오랫동안 방치되었고, 이와 함께 오코넬 스트리트 자체도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거리에는 패스트푸드점이 눈에 띄게 늘어났고, 저렴한 플라스틱 상점가를 사용한 가게들이 들어섰다. 또한 거리 양쪽에는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방치된 부지들이 확산되면서 과거의 명성을 잃어갔다.[6] 이러한 거리의 쇠퇴 현상은 1966년 IRA의 넬슨 기념비 파괴 사건과 무관하지 않았다.
거리의 침체된 분위기를 바꾸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1988년 더블린 밀레니엄 축제를 기념하여 넬슨 기념비가 있던 자리에 ''안나 리비아'' 조형물이 설치되었다.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오코넬 스트리트의 전반적인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재정비 계획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넬슨 기념비를 대체할 새로운 상징물 건립 논의로 이어졌다.[6][7]
2. 2. 거리 재개발 계획과 기념물 공모전
1966년 옛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구성원들이 넬슨 기둥을 폭탄으로 공격하여 파괴한 이후, 해당 자리는 수년간 비어 있었다.[5] 폭파 6일 후 남은 잔해가 철거되었지만, 적절한 대체 기념물을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6] 이후 더블린 밀레니엄 축제를 기념하기 위해 임시로 ''안나 리비아'' 조형물이 설치되기도 했다.
1990년대 후반, 오코넬 스트리트는 패스트푸드점의 증가, 저렴한 플라스틱 간판을 사용한 상점들의 난립, 그리고 거리 곳곳에 방치된 부지들로 인해 점차 쇠퇴하고 있었다.[6][5]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 다가오는 밀레니엄 축하와 켈트 호랑이로 불리던 아일랜드 경제 호황기의 열망을 담아내기 위해, 1998년 대규모 거리 재개발 계획이 추진되었다.[6] 이 계획의 목표는 오코넬 스트리트를 "패스트푸드점 거리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가족'들이 즐겨 찾는 장소"로 탈바꿈시키는 것이었다.[6]

재개발 계획에는 여러 구체적인 사업이 포함되었다. 새로운 화강암 포장 광장을 조성하고,[8] 거리 중앙 분리대에 무성하게 자라 경관과 기념물을 가렸던 나무의 수를 대폭 줄이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다만 이 나무들은 100년 이상 자란 것들이어서 일부 논란이 일기도 했다.[7] 거리의 동상들은 세척되거나 경우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었으며, 상점 주인들에게는 기존의 플라스틱 간판과 상점 정면을 보다 미관상 보기 좋은 디자인으로 교체하도록 요구되었다. 또한, 차량 통행을 최대한 외곽으로 유도하고 차선을 줄여 보행자들이 더 걷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방안도 추진되었다.
이 재개발 사업의 핵심 중 하나는 파괴된 넬슨 기둥을 대체할 새로운 상징적인 기념물을 세우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국제적인 디자인 공모전이 개최되었고, 당시 더블린 시장이었던 조 도일이 위원장을 맡은 심사위원회는 수많은 출품작 중에서 현재의 '빛의 첨탑'(The Spire of Lighteng), 즉 더블린 첨탑 디자인을 최종 선정했다.[6]
하지만 기념물 건설 계획은 일부 반대 의견에 부딪혀[8] 아일랜드 고등법원의 검토를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해 당초 목표했던 2000년 밀레니엄 기념일에 맞춰 완공되지 못했다.[6] 이후 환경 영향 평가(EIS) 절차를 거쳐, 2000년 12월 28일 당시 환경부 장관이었던 노엘 뎀시가 기념물 건설을 최종 승인했다.[8] 이 결정 과정에서 아일랜드의 환경 및 건축 유산 보호 단체인 안 테이스케(An Taisce)는 첨탑의 높이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8] 뎀시 장관은 승인 발표 당시, 더블린 시청이 이전에 사업을 서두르면서 환경 영향 평가를 제대로 완료하지 않았던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8] 한편, 1988년 더블린 밀레니엄을 기념하여 설치되었던 ''안나 리비아'' 기념물은 첨탑 건설 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2001년 다른 장소로 이전되었다.
2. 3. 안나 리비아 기념물 이전
1966년 옛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관련 인물들이 넬슨 기둥을 폭탄으로 파괴한 이후,[5] 해당 부지는 마땅한 대체물을 찾지 못해 수년간 비어 있었다.[6] 이후 더블린 밀레니엄 축하 행사의 일환으로 1988년 그 자리에 ''안나 리비아'' 기념물이 설치되었다.1990년대 후반, 오코넬 스트리트의 대규모 재개발 계획이 추진되었다. 당시 거리는 패스트푸드점 증가와 값싼 상점들의 난립 등으로 쇠퇴하고 있었기에,[6] 거리 경관 개선 및 활성화가 시급했다. 이 재개발 계획의 핵심 중 하나로 넬슨 기둥을 대체할 새로운 기념물 공모전이 열렸고,[6] 더블린 시장 조 도일이 위원장을 맡은 국제 공모를 통해 이안 리치 건축가의 이안 리치가 설계한[9] '빛의 첨탑', 즉 더블린 첨탑(스파이어)이 최종 선정되었다.
스파이어 건설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기존에 있던 ''안나 리비아'' 기념물은 2001년 다른 장소로 이전되었다.
3. 건설 과정
더블린 첨탑의 건설은 2002년 12월 18일 첫 번째 섹션이 설치되면서 시작되었다.[12][38] 그러나 계획 허가를 얻는 과정의 어려움과 환경 규제 문제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었고,[13][39] 2003년 1월 21일에 마지막 섹션이 설치되면서 완공되었다.[14][39]
3. 1. 설계 및 제작
첨탑은 "예술과 기술을 융합한 우아하고 역동적인 단순함"을 추구한 이안 리치 아키텍츠(Ian Ritchie Architects)에 의해 설계되었다.[37]첨탑은 8개의 속이 빈 스테인리스강 원뿔형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긴 것은 20m이다.[14] 밑면 지름은 3m이고 위로 갈수록 가늘어져 꼭대기 지름은 15cm인 길쭉한 원뿔 형태이다.[14] 8개 섹션의 총 무게는 133.15톤이다.[15][40] 엔지니어링 회사 아럽(Arup)이 구조 설계를 담당했으며, 바람 등에 의한 흔들림을 줄이기 위해 튜닝 질량 댐퍼 2개가 아래에서 다섯 번째 섹션 내부에 설치되었다.[15][16][40] 사용된 강철은 빛의 반사 특성을 바꾸기 위해 쇼트 피닝 처리를 거쳤다.[40]
첨탑 기단의 독특한 패턴은 첨탑이 세워진 땅에서 채취한 암석 코어 샘플과 DNA 이중 나선 구조를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17][36][41] 이 패턴은 건축가가 코어 샘플과 이중 나선을 결합하여 3D 모델을 만든 후, 이를 2D 이미지 도면으로 변환하여 제작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17] 제작자는 이 도면을 바탕으로 워터 제트 커터를 이용해 고무 스텐실 마스크를 제작했고, 비드 블라스팅 기법으로 강철 표면에 패턴을 새겨 넣었다.[18] 첨탑 하단 10m 주변에 이 디자인이 적용되었다.[17]
해가 지면 기념비 기단 부분에 조명이 켜지고, 꼭대기 10m 부분[17]은 11,884개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LED) 빛이 새어 나오도록 설계되었다.[19][36][42]
첨탑 건설은 계획 허가를 얻는 과정의 어려움과 환경 규제 문제로 인해 지연되었다.[13][39] 첫 번째 섹션은 2002년 12월 18일에 설치되었고,[12][38] 2003년 1월 21일에 마지막 섹션이 설치되며 완공되었다.[14][39]
3. 2. 설치 지연 및 완료
계획 허가를 얻는 어려움과 환경 규제로 인해 조형물 건설은 지연되었다.[13] 2002년 12월 18일에 첫 번째 섹션이 설치되었고,[12] 2003년 1월 21일에 가장 긴 20m 섹션을 포함한 마지막 부분이 설치되어 완공되었다.[14]첨탑은 8개의 속이 빈 스테인리스강 원뿔형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14] 밑면의 지름이 3m이고 상단으로 갈수록 15cm로 좁아지는 길쭉한 원뿔 형태이며,[14] 8개 섹션의 총 무게는 133.15톤이다.[15] 아럽(Arup)의 엔지니어들이 설계했으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튜닝 질량 댐퍼 2개가 아래에서 다섯 번째 섹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15][16] 강철 표면은 빛의 반사 품질을 변경하기 위해 쇼트 피닝 처리를 거쳤다.
첨탑 기단의 패턴은 첨탑이 서 있는 땅에서 채취한 암석 형성의 코어 샘플과 DNA 이중 나선을 기반으로 한다.[17] 이 패턴은 계약자가 제공한 코어 샘플 도면에 따라 워터 제트 커터로 제작된 패턴의 고무 스텐실 마스크를 통해 강철을 비드 블라스팅하여 적용되었다.[18] 첨탑 하단 10m 주위의 디자인은 건축가가 코어 샘플과 이중 나선을 결합한 3D 패턴 모델을 만들고, 이를 디지털 방식으로 2D 이미지 도면으로 변환하여 계약자에게 제공한 뒤, 전문가들이 마스킹 재료를 절단하는 데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만들어졌다.[17]
황혼이 되면 기념비 기단에 조명이 켜지고, 꼭대기 10m[17]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비추는 11,884개의 구멍을 통해 밝혀진다.[19]
3. 3. 구조적 특징
첨탑은 이안 리치 아키텍츠(Ian Ritchie Architects)가 "예술과 기술을 융합한 우아하고 역동적인 단순함"을 추구하며 설계했다.[37]첨탑은 8개의 속이 빈 스테인리스강 원뿔형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긴 섹션의 길이는 20m이다.[14] 밑면의 지름은 3m이고, 꼭대기로 갈수록 지름 15cm까지 가늘어지는 길쭉한 원뿔 형태이다. 8개 섹션의 총 무게는 133.15톤에 달한다.[15] 첫 번째 섹션은 2002년 12월 18일에 설치되었고,[12][38] 계획 허가 획득의 어려움과 환경 규제로 인해 건설이 지연된 끝에 2003년 1월 21일에 최종 설치가 완료되었다.[13][14][39]
구조적으로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회사 아럽(Arup)이 설계한 튜닝 질량 댐퍼 2개가 아래에서 다섯 번째 섹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15][16][40] 또한, 첨탑 표면의 강철은 빛의 반사 품질을 조절하기 위해 쇼트 피닝 처리를 거쳤다.[40]
첨탑 기단의 패턴은 첨탑이 세워진 땅에서 채취한 암석 코어 샘플과 DNA 이중 나선 구조를 기반으로 디자인되었다.[17][36][41] 이 패턴은 코어 샘플 도면을 바탕으로 워터 제트 커터를 이용해 고무 스텐실 마스크를 제작한 뒤, 이를 강철 표면에 대고 비드 블라스팅 방식으로 새겨 넣었다.[18] 특히 첨탑 하단 10m 부분의 디자인은 건축가가 코어 샘플과 이중 나선 구조를 결합하여 3D 패턴 모델을 만들고, 이를 다시 2D 이미지 도면으로 변환하여 마스킹 재료를 정밀하게 절단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17]
황혼이 지면 기념비의 기단 부분에 조명이 켜지며, 꼭대기 10m 부분은 11,884개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LED) 빛이 새어 나오도록 설계되었다.[17][19][36][42]
3. 4. 기저부 디자인
첨탑 기저부 주변의 무늬는 첨탑이 서 있는 땅에서 채취한 암석 형성의 코어 샘플과 DNA 이중 나선을 기반으로 한다.[17][36][41] 이 패턴은 계약자가 제공한 코어 샘플 도면에 따라 워터 제트 커터로 제작된 패턴의 고무 스텐실 마스크를 통해 강철을 비드 블라스팅하여 적용되었다.[18] 첨탑 하단 10m 주위의 디자인은 건축가가 코어 샘플과 이중 나선을 결합한 3D 패턴 모델을 만들고, 이를 디지털 방식으로 2D 이미지 도면으로 변환하여 계약자에게 제공하고, 전문가들이 마스킹 재료를 절단하는 데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만들어졌다.[17]황혼이 되면 기념비 기단에 조명이 켜진다.[17][36][42]
3. 5. 조명
황혼이 되면 기념비 기단에 조명이 켜진다.[17][36] 또한 첨탑 꼭대기 10m 부분은 11,884개의 구멍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LED) 빛을 내며 밝혀진다.[17][19][36][42]4. 평가 및 논란
더블린 첨탑은 건립 초기부터 엇갈린 평가와 여러 논란에 직면했다. 일부 지지자들은 에펠탑과 같이 시간이 지나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것이라 기대했지만[20][21], 많은 비판자들은 첨탑이 더블린의 도시 맥락이나 문화와 동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20][21] 특히 아일랜드의 정체성과 관련한 비판[22], 안전 문제 및 종교적 상징성 부재에 대한 우려[23]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논란 속에서 첨탑은 다양한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24][25][26][27][28][29][30][31][32][33]
4. 1. 부정적 평가
첨탑 건립에 대한 반대 의견은 처음부터 존재했다. 지지자들은 첨탑을 처음에는 인기가 없었지만 나중에 호평을 받은 에펠탑과 같은 다른 도시 구조물에 비유했다. 반면, 비판자들은 첨탑이 도시와 건축적 또는 문화적으로 거의 관련이 없다고 불만을 제기했다.[20][21]아일랜드의 지식인 데스몬드 페넬은 첨탑이 아일랜드의 국가 의식 감소를 상징한다고 보았다. 그는 "숙고해본 결과 [첨탑에 대해] 나는 그것이 북아일랜드 분쟁 기간 동안의 신중한 자기 억제와 켈트 호랑이 호황기의 과거 지향적 풍요로움 이후 아일랜드 공화국의 정신 상태에 대한 최소한 솔직한 진술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아무것도 대표하지 않았으며, 아무것도 말하지 않았다."라고 평가했다.[22]
이 외에도 낮게 비행하는 항공기에 대한 기념물의 위험성이나 기독교적 메시지가 없다는 점에 대한 불만도 제기되었다.[23] 더블린의 다른 공공 미술품들처럼, 이 기념물 역시 여러 별명을 얻었다. 예를 들어 '빈민가 속의 스틸레토', '쓰레기통 속의 핀'[24][25], '리피 강가의 뻣뻣한 것'[26][27][28], '진흙 속의 첨탑'[29][30][31] 또는 '스파이크'[32][33] 등이 있다.
4. 2. 별칭
더블린의 공공 미술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이 기념물은 여러 별명을 얻었다. 예를 들어 빈민가 속의 스틸레토, 쓰레기통 속의 핀[24][25], 리피 강가의 뻣뻣한 것[26][27][28], 진흙 속의 첨탑[29][30][31] 또는 스파이크[32][33] 등이 있다.5. 수상 후보 선정
더블린 첨탑은 다음 상의 후보로 선정되었다.
- 2003년 영국 건설 산업 국제상 최종 후보
- 2004년 RIBA 국가상 및 스털링상 최종 후보
- 2005년 미스 반 데어 로에 상 후보 목록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On This Day: The Spire is completed in Dublin in 2003
https://www.irishcen[...]
2021-01-23
[2]
웹사이트
Dublin’s Spire at 20: The inside story of the city’s most divisive landmark
https://www.irishtim[...]
[3]
뉴스
Spire cleaners get prime view of city
http://www.independe[...]
2007-06-05
[4]
서적
The Spire, Túr Solais
Ian Ritchie Architects
[5]
웹사이트
Nelson Pillar Demolished - 1966
https://www.rte.ie/a[...]
RTÉ
1966-03-14
[6]
웹사이트
New Monument For O’Connell Street - 2002
https://www.rte.ie/a[...]
RTÉ
2002-04-08
[7]
웹사이트
Temporary reprieve for O'Connell Street trees
http://www.emigrant.[...]
2002-11-17
[8]
웹사이트
Plans For The Spire - 2000
https://www.rte.ie/a[...]
RTÉ
2000-12-28
[9]
뉴스
Spike costs a million to keep clean
http://www.herald.ie[...]
2008-12-22
[10]
웹사이트
Dublin's Spire has been turned into a giant lightsaber for Star Wars
https://www.dailyedg[...]
[11]
뉴스
Mystical Portals now connect New York and Dublin, part of a bridge 'to a united planet'
https://www.usatoday[...]
2024-05-09
[12]
웹사이트
The Dublin Spire Competition Winning Announcement
http://www.irish-arc[...]
Archiseek.com
[13]
웹사이트
Judge spikes Ritchie's Dublin Millennium Spire
https://www.architec[...]
1999-07-08
[14]
웹사이트
Twenty things to know about the Spire as it turns 20 years old
https://www.independ[...]
[15]
논문
The Spire of Dublin
https://www.ritchie.[...]
2005-08-16
[16]
웹사이트
The Spire of Dublin
http://www.publicart[...]
[17]
웹사이트
Spire of Dublin
http://www.ianritchi[...]
Ian Ritchie Architects
[18]
웹사이트
Case Study: The Spire WaterJet Cutting
http://aqua-design.i[...]
Aqua Design
[19]
웹사이트
Making the Dublin Spire
http://www.newsteelc[...]
2006-05-01
[20]
뉴스
Spire of Dublin
http://www.european-[...]
European Architecture
[21]
뉴스
The problem with the Spire
https://www.independ[...]
2013-03-10
[22]
서적
Ireland After the End of Western Civilisation
Athol Books
[23]
웹사이트
Millennium madness
https://www.independ[...]
1999-12-12
[24]
서적
Stones of Dublin : a history of Dublin in ten buildings
https://www.worldcat[...]
The Collins Press
[25]
서적
Brewer's Dictionary of Irish Phrase and Fable.
Chambers Harrap Publishers
[26]
웹사이트
Teardrop? Tulip? Top public art nicknames
https://www.bbc.com/[...]
2016-09-16
[27]
뉴스
John Lichfield: Our Man in Dublin
https://www.independ[...]
2005-07-25
[28]
뉴스
Dublin in the Rare Aul Times: A look at O'Connell Street
https://dublingazett[...]
2020-10-22
[29]
뉴스
'Spire in the Mire' makes Dublin debut
https://www.chicagot[...]
2003-01-22
[30]
뉴스
Spire points to new face of Ireland
https://www.irishexa[...]
2003-01-16
[31]
웹사이트
Shortlist of 500 in quest to name the Dublin spire
https://www.telegrap[...]
2003-02-17
[32]
뉴스
Street wise
https://www.independ[...]
2002-04-09
[33]
뉴스
Value for money?
https://www.irishtim[...]
2006-08-04
[34]
뉴스
Spire cleaners get prime view of city
http://www.independe[...]
2007-06-05
[35]
서적
The Spire, Túr Solais
Ian Ritchie Architects
[36]
웹사이트
Spire of Dublin
http://www.ianritchi[...]
Ian Ritchie Architects
2016-11-01
[37]
뉴스
Spike costs a million to keep clean
http://www.herald.ie[...]
Evening Herald
2008-12-22
[38]
웹사이트
The Dublin Spire Competition Winning Announcement
http://www.irish-arc[...]
Archiseek.com
2008-09-29
[39]
웹사이트
Judge spikes Ritchie's Dublin Millennium Spire
https://www.architec[...]
The Architects' Journal
1999-07-08
[40]
웹사이트
The Spire of Dublin
http://www.publicart[...]
Public Art
2018-04-18
[41]
웹사이트
Case Study: The Spire WaterJet Cutting
http://aqua-design.i[...]
Aqua Design
2012-11-25
[42]
웹사이트
Making the Dublin Spire
http://www.newsteelc[...]
NewSteelConstruction.com
2006-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