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국립은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마크 국립은행은 1818년 덴마크의 프레데릭 6세에 의해 설립된 덴마크의 중앙 은행이다. 1936년 정부로부터 완전히 독립했으며, 덴마크 크로네의 통화 발행 및 관리, 환율 안정 등을 담당한다. 현재 본점 건물은 1960년대 초 아르네 야콥센이 설계했으며, 2009년 국가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덴마크 국립은행은 덴마크 크로네를 유로에 고정환율제로 묶어 운영하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3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이며, 덴마크의 국장을 로고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은행 - 삭소방크
삭소방크는 외환, 주식, CFD, 선물 등 다양한 금융 상품 거래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덴마크 금융 회사로, 기술 혁신과 글로벌 시장 진출, 다양한 서비스 도입을 통해 성장했으나, 위키백과 문서 검열, 투자자 보호 실패, BBY Limited 파산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덴마크의 은행 - 노르디아
노르디아는 1820년 덴마크에서 설립되어 북유럽 은행들의 합병을 통해 성장한 금융 기관으로, 개인/기업 뱅킹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며 자금 세탁 관련 스캔들로 비판받기도 했다. - 덴마크의 경제 - 덴마크 크로네
덴마크 크로네는 덴마크와 그린란드의 공식 통화로, 1875년에 도입되어 리스달러를 대체했으며, 유로화에 고정되어 있고 동전에는 국왕의 초상이, 지폐에는 다리 디자인이 사용된다. - 덴마크의 경제 - OMX 코펜하겐 25
OMX 코펜하겐 25는 코펜하겐 증권 거래소의 주요 지표로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는 25개 종목으로 구성되며 반기별로 종목이 변경되고 ETF 및 펀드 상품으로도 존재하지만, 대표성 논란과 소수 대형주 집중 비판도 있다. - 1970년 완공된 건축물 - 브라질리아 대성당
브라질리아 대성당은 건축가 오스카 니마이어가 설계한 브라질 수도의 대성당으로, 쌍곡면 구조와 스테인드 글라스가 특징이며 현대 건축의 대표 사례이자 주요 관광 명소이다. - 1970년 완공된 건축물 - 존 핸콕 센터
존 핸콕 센터는 시카고의 초고층 건물로, X자형 가새 구조와 튜브 시스템을 통해 구조 표현주의 양식을 구현했으며, 다양한 시설과 360 시카고 전망대를 갖추고 875 노스 미시간 애비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덴마크 국립은행 - [중앙은행]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현지 은행 이름 | Danmarks Nationalbank (단마르크스 나티오날방크) |
소유 형태 | 독립적인 자치 기관 |
본사 위치 | 코펜하겐 |
설립일 | 1818년 8월 1일 |
은행장 | 크리스티안 케텔 톰센 |
은행장 직함 | 왕립 이사 |
관할 국가 | 덴마크 왕국 |
통화 | 덴마크 크로네 |
통화 ISO 코드 | DKK |
공식 웹사이트 | 단마르크스 나티오날방크 공식 웹사이트 |
통계 | |
준비금 | 479,065,000,000 DKK |
2. 역사
덴마크 국립은행은 1818년 8월 1일 덴마크의 프레데릭 6세에 의해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사립 은행으로 통화 발행에 대한 90년 독점권을 부여받았으며, 이 권한은 1907년에 1938년까지 연장되었다. 1914년, 국립은행은 덴마크 정부의 유일한 은행이 되었고, 1936년에는 정부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현재의 중앙은행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20세기 후반까지 덴마크 주요 도시에 지점 네트워크를 운영했으나, 기술 발전과 금융 환경 변화로 인해 1989년 오르후스와 오덴세의 마지막 지점이 폐쇄되었다.[4]
2016년까지 자체 지폐 인쇄 공장을 운영했으나, 현금 수요 감소로 인해 지폐 인쇄는 외부 업체에 위탁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1억 크로네의 비용이 절감되었다.[5][6]
2. 1. 건물


현재 덴마크 국립은행 본점 건물은 1960년대 초 유명 건축가 아르네 야콥센이 한스 디싱|Hans Dissingda과 오토 바이틀링|Otto Weitlingda과 협력하여 설계했으며, 1965년에서 1978년 사이에 건축되었다. 야콥센이 1971년에 사망한 후, 그의 사무실은 디싱+바이틀링으로 개명되었고 건물을 완공했다. 덴마크 국립은행은 1976년에 새 건물로 이전했다. 문화유산청은 2009년에 이 건물을 국가 유산으로 지정했다.[7]
새 건물은 요한 다니엘 헤르홀트가 1866년부터 1870년까지 국립은행을 위해 설계한 르네상스 부흥 건축 양식의 이전 건축물을 대체했다. 이 건물은 피렌체의 스트로치 궁전에서 영감을 받았다. 덴마크 국립은행은 1870년에 슬로츠홀름스가데에 있던 원래 건물에서 이 건물로 이전했는데, 그 건물(현재는 철거됨)은 18세기에 카스파르 프레데릭 하르스도르프가 설계했다.
3. 금융 정책
덴마크 국립은행은 유럽 중앙은행 제도(ESCB)에 참여하고 있지만, 덴마크는 유로존에 포함되지 않아 독자적인 통화인 크로네를 발행한다.[1] 덴마크 국립은행은 크로네의 안정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사회는 금융 정책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진다.[1]
덴마크 국립은행은 덴마크 크로네를 유로에 고정시키는 페그제를 채택하여 1유로당 약 7.4 덴마크 크로네의 환율을 유지하고 있다.[1] 유럽 중앙 은행(ECB)의 양적 완화 정책과 안전자산으로서 덴마크 크로네에 대한 투자자들의 선호로 인해 덴마크 크로네의 가치 상승이 예상되었다.[1] 2015년 1월 하순 덴마크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0.16%로 일본 국채 금리(0.36%)나 독일 국채 금리(0.31%)보다 낮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1]
덴마크 국립은행은 환율 유지를 위해 덴마크 크로네를 무제한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1] 스위스 국립은행도 유사한 상황에서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여 스위스 프랑화 약세를 유도했으며, 덴마크 국립은행 역시 마이너스 금리를 적용하고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시사했다.[1] 2015년 2월 상순 덴마크 국립은행의 예금 준비금은 약 5600억덴마크 크로네로, 덴마크 국내총생산(GDP)의 30%에 해당했다.[1]
3. 1. 한국과의 관계
덴마크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수출 주도형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환율 정책이 매우 중요하다. 덴마크 국립은행은 덴마크 크로네를 유로에 고정하는 페그제를 채택하여 1유로당 약 7.4 덴마크 크로네의 환율을 유지하고 있다.[1](ECB)의 양적 완화 정책과 안전자산으로서 덴마크 크로네의 선호로 인해 덴마크 크로네의 가치 상승 압력이 커졌다. 2015년 1월 하순 덴마크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0.16%로, 일본 국채 금리(0.36%)나 독일 국채 금리(0.31%)보다 낮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저금리를 기록했다.[1]
덴마크 국립은행은 환율 유지를 위해 덴마크 크로네를 무제한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스위스 국립은행도 유사한 상황에서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여 스위스 프랑화 약세를 유도했으며, 덴마크 국립은행 역시 마이너스 금리를 적용하고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시사했다.[1] 이러한 덴마크 국립은행의 통화 정책, 특히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한국은행의 통화 정책 결정에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 또한, 덴마크의 고정환율제 경험은 한국의 환율 정책, 특히 변동환율제 하에서의 환율 안정화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4. 조직 구조
덴마크 국립은행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운영위원회(Board of Governors)이다. 운영위원회는 3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의장인 총재는 국왕이 임명하고, 다른 두 명의 위원은 이사회에서 임명한다. 운영위원회는 덴마크 국립은행의 금융 정책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진다.
4. 1. 역대 총재
재임 기간 | 이름 |
---|---|
1818–1818 | 크리스티안 클링베르그 |
1821–1861 | 니콜라이 오게센 |
1835–1856 | 로리츠 니콜라이 비트 |
1836–1845 | 페테르 게오르그 방 |
1856–1861 | 한스 페테르 한센 |
1861–1892 | 모리츠 레비 |
1868–1888 | 빌헬름 스폰넥 |
1869–1896 | 스테판 린네만 |
1873–1887 | W.J.A. 우싱 |
1873–1896 | F.C. 스미트 |
1887–1888 | 카를 빌헬름 랑에 |
1888–1913 | 라스무스 스트룀 |
1896–1906 | 요하네스 넬레만 |
1896–1913 | 쇠렌 크리스티안 크누츠존 |
1907–1924 | 옌스 페테르 빈터 |
1908–1908 | 올레 한센 |
1908–1920 | 요하네스 로리드센 |
1913–1939 | 베스티 스테판센 |
1914–1923 | 마르쿠스 루빈 |
1914–1924 | 카를 우싱 |
1920–1923 | 옌스 페테르 달스가르드 |
1923–1931 | 홀메르 그린 |
1923–1936 | 한스 로젠크란츠 |
1924–1932 | 야콥 크리스티안 린드베르그 |
1925–1936 | 프레데리크 카를 그람 슈뢰더 |
1935–1955 | 오베 옙센 |
1936–1949 | C.V. 브람스나에스 |
1939–1957 | 헤닝 호겐-요한센 |
1949–1950 | 홀게르 코에드 |
1950–1963 | 스벤 닐센 |
1956–1963 | 지크프리트 하르토그손 |
1957–1985 | 프레데 선네센 |
1963–1985 | 스벤 안데르센 |
1965–1994 | 에리크 호프마이어 |
1980–1996 | 올레 토마센 |
1982–1990 | 리차드 미켈센 |
1991–2005 | 보딜 니보에 안데르센 |
1995–2010 | 옌스 톰센 |
1996–2011 | 토르벤 닐센 |
2005–2013 | 닐스 베른슈타인 |
2011–2020 | 휴고 프레이 옌센[8] |
2011– | 페르 칼레센[9] |
2013–2023 | 라르스 로데[10] |
2020– | 시그네 크로스트럽 |
2023– | 크리스티안 케텔 톰센[11] |
5. 로고
덴마크 국립은행의 공식 로고는 19세기 버전의 덴마크의 국장으로, 덴마크, 슐레스비히, 홀슈타인의 문장을 보여준다. 후자의 두 주는 1864년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서 상실되었으며, 덴마크 국립은행은 이 문장을 여전히 사용하는 유일한 공식 덴마크 기관이다.[1] 19세기 후반부터 은행에서 주조한 동전에는 하트 모양의 주조소 표지가 새겨져 있으며,[1] 이전에는 조폐국에서 왕관을 사용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Hvad siger loven?
https://www.national[...]
2023-08-07
[2]
웹사이트
SPECIFICATION FOR NATIONAL BANK BALANCE AFTER THE SPECIFICATION AND INSTRUMENT – INVENTORIES
http://nationalbanke[...]
2016-01-27
[3]
간행물
The National Bank of Denmark Act, 1936
https://fraser.stlou[...]
Fraser: Federal Reserve of St. Louis
2012-07-12
[4]
웹사이트
Facts about the banknotes
http://www.nationalb[...]
Danmarks Nationalbank
2013-01-27
[5]
웹사이트
Today Ends a 1000 Year Old Tradition
http://www.bt.dk/dan[...]
Berlingske Media
2016-12-20
[6]
웹사이트
Nationalbanken lukker og slukker for seddelpressen
http://finans.borsen[...]
Dagbladet Børsen
2016-03-10
[7]
서적
Danmarks Nationalbank 1818-2018
Danmarks Nationalbank
[8]
웹사이트
Hugo Frey Jensen – Danmarks Nationalbank
http://www.nationalb[...]
2019-10-18
[9]
웹사이트
Per Callesen – Danmarks Nationalbank
http://www.nationalb[...]
2019-10-18
[10]
웹사이트
Lars Rohde - Danmarks Nationalbank
http://www.nationalb[...]
2019-10-18
[11]
웹사이트
Kettel vil træde frem i lyset som Nationalbankdirektør: "Det er ikke min stil at fare rundt med høj stemmeføring"
https://www.altinget[...]
2023-04-18
[12]
뉴스
Denmark pledges limitless fx interventions to save its euro peg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5-02-03
[13]
뉴스
Can Denmark succeed where Switzerland failed?
http://www.bbc.com/n[...]
BBC News
2015-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