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랭이피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랭이피속은 다양한 종을 포함하는 식물 속이다. 한국에서는 도랭이피(Echinochloa esculenta)와 푸른도랭이피(Echinochloa phyllopogon)가 흔히 발견되며, 이 외에도 물피(Echinochloa oryzicola), 돌피(Echinochloa crus-galli) 등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 각 종은 서식 환경과 생태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 왔으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리아족 - 귀리속
귀리속은 벼과 식물 속으로, 주요 상업 작물인 귀리를 포함하며, 일부 종은 사료나 잡초로 사용되기도 하고, 나비목 유충의 식용 식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 귀리아족 - 개나래새속
개나래새속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유럽과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며 귀리나 페스큐와 유사한 야생 형태를 띠고 목초, 사료, 관상용 등으로 활용되지만 생태계 교란 및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도 있다. - 1805년 기재된 식물 - 팽나무
팽나무는 아시아 온대 지역에 자생하며 높이 20m까지 자라는 낙엽성 활엽수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한국에서는 정자목, 당산목으로 숭배받았으며, 목재와 잎, 잔가지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 1805년 기재된 식물 - 마편초과
마편초과는 꿀풀목에 속하는 과로,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라 범위가 축소되었으며 네오스파르톤족, 두란타족, 란타나족, 마편초족 등 다양한 족으로 나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도랭이피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학명 | Koeleria |
명명자 | Pers. |
모식종 | K. macrantha (Ledeb.) Schult.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군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군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포아풀아과 |
족 | 포아풀족 |
아족 | 귀리아족 |
이명 |
2. 하위 종
- 도랭이피 ''K. pyramidata'' (Lam.) P.Beauv.
- 푸른도랭이피 ''K. glauca'' (Spreng.) DC.
- ''K. altaica'' (Domin) Krylov
- ''K.'' × ''aschersoniana'' Domin
- ''K. asiatica'' Domin
- ''K. askoldensis'' Roshev.
- ''K. besseri'' Ujhelyi
- ''K. biebersteinii'' M.G.Kalen.
- ''K. boliviensis'' (Domin) A.M.Molina
- ''K. brevis'' Steven
- ''K. calderonii'' A.Molina
- ''K. capensis'' Nees
- ''K. carolii'' Emb.
- ''K. caudata'' (Link) Steud.
- ''K. cenisia'' Reut. ex E.Rev.
- ''K. cheesemanii'' (Hack.) Petrie
- ''K. crassipes'' Lange
- ''K. delavignei'' Czern. ex Domin
- ''K. embergeri'' Quézel
- ''K. eriostachya'' Pancic
- ''K. fueguina'' Calderon ex Nicora
- ''K. heribaudii'' Ujhelyi
- ''K. hirsuta'' Gaudich.
- ''K.'' × ''hungarica'' Domin
- ''K. inaequaliglumis'' A.Molina
- ''K. karavajevii'' Govor.
- ''K. kurtzii'' Hack. ex Kurtz
- ''K. litvinowii'' Domin
- ''K. luerssenii'' (Domin) Domin
- ''K. macrantha'' (Ledeb.) Schult.
- ''K. mendocinensis'' (Hauman) Calderon ex Nicora
- ''K. micrathera'' (Desv.) Griseb.
- ''K.'' × ''mixta'' Domin
- ''K. narbonnensis'' (Domin) Prain
- ''K. nitidula'' Velen.
- ''K. novozelandica'' Domin
- ''K. permollis'' Steud.
- ''K. pontarlieri'' (Domin) Prain
- ''K. praeandina'' A.Molina
- ''K. rhodopea'' Ujhelyi
- ''K. riguorum'' Edgar & Gibb
- ''K. seminuda'' Gontsch.
- ''K. skrjabinii'' Karav. & Tzvelev
- ''K. splendens'' C.Presl
- ''K. thonii'' Domin
- ''K. tzvelevii'' N.V.Vlassova
- ''K. vallesiana'' (Honck.) Bertol. ex Schult.
- ''K. ventanicola'' A.Molina
- ''K. vurilochensis'' Calderon ex Nicora
- ''K.'' × ''wilczekiana'' Domin
참조
[1]
그림
1885 illustration from Prof. Dr. Otto Wilhelm Thomé (author), Flora von Deutschland, Österreich und der Schweiz 1885, Gera, Germany
[2]
웹사이트
Persoon, Christiaan Hendrik 1805. Synopsis Plantarum 1: 97
https://www.biodiver[...]
[3]
문서
lectotype designated by Nash in Britton & Brown Ill. Fl. N. U. S. 1: 245 (1913)
[4]
웹사이트
Tropicos, Koeleria Pers.
http://www.tropicos.[...]
[5]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6]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Plants Profile: genus Koeleria
http://plants.usda.g[...]
[7]
웹사이트
Ada Hayden Herbarium, Iowa State University, junegrass (prairie junegrass, crested hairgrass, Koeler's grass) Koeleria macrantha (Ledeb.) Schult.
https://web.archive.[...]
2007-05-21
[8]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330 草属 qia cao shu Koeleria Persoon, Syn. Pl. 1: 97. 1805.
http://www.efloras.o[...]
[9]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genere Koeleria
http://luirig.alterv[...]
[10]
논문
Koeleria Pers. (Gramineae: Aveneae) in New Zealand
1999
[11]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Koeleria (Poaceae)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Basin and Macaronesia
2013
[12]
서적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botanischen Pflanzennamen
Nikol
[13]
웹사이트
The Plant List search for Koeleria
http://www.theplantl[...]
[14]
간행물
The genera of grasses of the United States
1920
[15]
문서
Typification of Linnaean plant names in the Poaceae (Gramineae)
2000
[16]
웹사이트
Persoon, Christiaan H. (1805) Synopsis Plantarum 1: 97.
https://www.biodiver[...]
[17]
서적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botanischen Pflanzennamen
Niko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