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비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비산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산으로, 바다에 떠 있는 섬처럼 보인다 하여 이름 붙여졌다는 설과 복숭아꽃이 만발하여 '도(桃)', 살찔 ‘비(肥)’를 써서 ‘도비산(桃肥山)’이라고 한다는 설이 있다. 원생대의 태안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쪽으로는 천수만이 위치해 있다. 서산터미널에서 출발하여 부석면사무소, 부석사 등을 거쳐 정상에 오르는 등산로가 있으며, 정상에서는 천수만과 서해를 조망할 수 있다. 주변 환경으로는 간월호, 부남호가 있어 철새 관찰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시의 지리 - 황락계곡
    황락계곡은 일락산 서쪽 골짜기에 위치하며 쥐라기 대보 화강암 지질을 보이고, 좁은 골짜기와 포트홀이 특징이며, 수도권 접근성이 뛰어나 여름철 피서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 서산시의 지리 - 가야산 (충남)
  • 충청남도의 산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충청남도의 산 - 계룡산
    계룡산은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신성시된 산으로, 천왕봉을 최고봉으로 하는 다양한 봉우리와 폭포, 활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고 계룡산성, 사찰, 계룡대 등이 있으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민간 신앙과 방송 서비스와도 관련 깊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도비산 - [지명]에 관한 문서
도비산 정보
일반 정보
이름도비산
한자 표기島飛山
높이352
위치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지산리
지리
위도36.7028824
경도126.4160744

2. 명칭

도비산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바다 가운데 마치 '날아가는(飛) 섬(島)'처럼 보여 '도비산(島飛山)'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매년 봄 산 전체에 만발하는 복숭아꽃에서 유래하여 복숭아 '도(桃)' 자와 살찔 '비(肥)' 자를 써서 '도비산(桃肥山)'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다.[1]

3. 지리

도비산 일대를 구성하고 있는 지질은 원생대의 태안층이다. 태안층은 서산층군에 속하는 편암류 및 편마암류 위에 부정합으로 놓여 있다.[1]

도비산 동쪽에는 천수만이 있다. 천수만의 간석지는 간척이 되어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1]

4. 등산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모든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4. 1. 서산터미널 출발 코스


  • 서산터미널 -> 부석면사무소 -> 수도사 -> 부석사 -> 정상 (도보 약 2시간 소요)
  • 서산터미널 -> 부석지산리 -> 백운사 -> 부석사 -> 정상 (도보 약 2시간 소요)
  • 서산터미널 -> 인지면 애정리 -> 석천암 -> 동사 -> 정상 (도보 약 2시간 30분 소요)[2]

5. 주변 환경

도비산 일대를 구성하고 있는 지질은 원생대의 태안층이다. 태안층은 서산층군에 속하는 편암류 및 편마암류 위에 부정합으로 놓여 있다.[1]

도비산 동쪽에는 천수만이 있다. 천수만의 간석지는 간척되어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1] 정상에 오르면 천수만과 서해를 조망할 수 있다. 『호산록(湖山錄)』에는 날씨가 맑을 때 도비산에서 서해를 바라보면 해로(海路)가 뚜렷하게 보여 중국의 ‘청제(淸帝)의 지경(地境)’까지 볼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3]

인근의 간월호부남호에서는 철새를 관찰할 수 있다.

참조

[1] 디지털서산문화대전 디지털서산문화대전 http://seosan.grandc[...]
[2] 웹인용 서산문화관광 http://www.seosan.go[...] 2017-10-26
[3] 뉴스 백제의 국제무역항이었던 서산고을 http://www.pressian.[...] 2014-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