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윙글루 1 은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윙글루 1 은하는 1994년, 21cm 복사를 이용한 드윙글루 가림 은하 관측(DOGS)에서 발견된 막대 나선 은하이다. 우리 은하에 의해 빛이 가려져 발견이 어려웠으며, 드윙글루 전파 천문대에서 발견되어 명명되었다. 약 300만 파섹 거리에 위치하며, IC 342-마페이 은하군의 구성원이다. 드윙글루 2와 MB 3를 위성 은하로 가지며, 중앙 막대와 두 개의 나선 팔을 특징으로 한다. 총 질량은 약 310억 태양 질량으로, 삼각형자리 은하와 유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C 342/마페이 은하군 - 마페이 2
- IC 342/마페이 은하군 - 마페이 1
마페이 1은 파올로 마페이가 발견한 거대 타원 은하로, 회피대 내에 위치하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밝게 보이며, 늙은 금속풍부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심부에 작은 청색 항성 핵이 존재하며, IC 342/마페이 은하군의 주요 구성원 중 하나이다. - 1994년 발견한 천체 -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는 늙고 금속 함량이 낮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 은하의 중력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우리 은하의 가장 가까운 이웃 은하 중 하나이다. - 1994년 발견한 천체 - SN 1994D
SN 1994D는 데이비드 브랜치 등이 공동 집필한 Ia형 초신성의 스펙트럼 비교 분석 논문으로, 초신성 SN 1994D의 스펙트럼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2005년 천문학회 태평양 간행물에 게재되었으며, DOI 10.1086/430135 및 Bibcode 2005PASP..117..545B로 식별 가능하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드윙글루 1 은하 | |
---|---|
이미지 | |
![]() |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 |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
적색 편이 | 0.000368 |
시선 속도 | 110.3 ± 0.4 km/s |
은하 속도 | 257 km/s |
거리 | ~10 Mly (~3 Mpc) |
속한 그룹 | IC 342/마페이 그룹 |
겉보기 등급 (V-band) | 13.08 |
크기 | 4.2' × 0.34' |
식별 정보 | |
형태 | SB(s)cd |
기타 명칭 | LEDA 100170, CAS 2 |
2. 발견
드윙글루 1 은하는 1994년 드윙글루 가려진 은하 조사(DOGS, Dwingeloo Obscured Galaxy Survey)를 통해 발견되었다. 이 조사는 네덜란드 드윙글루 전파 관측소의 25m 전파 망원경을 사용하여 회피대(Zone of Avoidance) 영역에서 중성 수소(HI)가 방출하는 21cm 파장의 전파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4][1] 회피대는 우리 은하의 원반에 있는 가스와 먼지가 그 뒤에 있는 천체들의 빛을 가로막는 영역으로, 드윙글루 1 은하가 방출하는 빛 역시 우리 은하에 의해 대부분 차단되고 있었다.[4][1]
드윙글루 1 은하는 우리 은하 원반의 물질에 의해 시야가 대부분 가려져 있어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발견 초기에는 툴리-피셔 관계를 이용하여 거리를 약 3 Mpc으로 추정했다.[1][4] 이후 이 값은 3.5–4 Mpc 정도로 수정되었다.
드윙글루 1은 발견 이후 막대 나선 은하로 분류되었다.[1] 중앙 막대와 막대 끝에서 거의 직각으로 시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뚜렷한 나선 팔을 가지고 있다. 나선 팔의 길이는 최대 180°이다.[1] 은하의 원반은 관찰자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며, 기울기 각도는 50°이다. 이 은하는 초속 약 256km의 속도로 우리 은하에서 멀어지고 있다.
[1]
논문
Discovery of a nearby spiral galaxy behind the Milky Way
그러나 이 은하는 DOGS 조사 이전에 같은 해 초 팔로마 천체 지도 사진에서 별 특징 없는 모습으로 먼저 기록되었으나, 당시에는 은하로 인식되지 못했다.[4][1] 또한, DOGS의 발견 이후 몇 주 뒤에는 독일의 에펠스베르크 100m 전파 망원경을 사용하던 다른 천문학자 팀에 의해서도 독립적으로 발견되었다.[1]
드윙글루 1 은하는 발견 이후 막대 나선 은하로 분류되었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약 )으로 추정되며, 그 크기와 지름은 국부은하군의 주요 구성원 중 하나인 삼각형자리 은하와 비슷한 수준이다.[4]
은하의 이름은 DOGS 조사가 수행되었고 처음으로 이 은하를 탐지한 드윙글루 전파 관측소의 이름을 따서 "드윙글루 1"로 명명되었다.[4][1]
3. 거리 및 은하군 구성원
1999년에는 적외선 툴리-피셔 관계를 바탕으로 거리가 5 Mpc 이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2][5] 하지만 2011년 기준으로, 드윙글루 1이 IC 342-마페이 은하군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장 유력한 거리 추정치는 약 3 Mpc이다.[3][6]
드윙글루 1 은하는 IC 342-마페이 은하군에 속해 있으며,[6] 두 개의 작은 위성 은하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위성 은하는 불규칙 은하인 드윙글루 2이고, 두 번째는 왜소 타원 은하로 추정되는 MB 3이다.
4. 특징
드윙글루 1의 가시 반경은 대략 4.2'로, 3 Mpc의 거리에 해당하며 약 4kpc이다. 중성 수소는 중심에서 최대 6kpc (7.5')까지 감지된다. 은하의 총 질량은 6kpc의 측정 거리에서 우리 은하의 약 1/4이며, 약 310억 태양 질량이다.
드윙글루 1의 중성 수소 분포는 막대 나선 은하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즉, 중심 또는 막대를 따라 최소값을 가지며 비교적 평평하다. 중성 수소의 총 질량은 3억 7천만 ~ 4억 5천만 태양 질량으로 추정된다.[1] 드윙글루 1은 분자 가스가 부족한 은하이다. 분자 수소의 총 질량은 중성 수소 질량의 10%를 넘지 않는다. 광학 관측에서는 주로 나선 팔을 따라 약 15개의 H II 영역이 감지되었다.
전체 크기와 질량 면에서 이 은하는 삼각형자리 은하와 유사하다.[1]
참조
[2]
논문
An Infrared Determination of the Reddening and Distance to Dwingeloo 1
[3]
논문
The Local Group and Other Neighboring Galaxy Groups
[4]
저널
Discovery of a nearby spiral galaxy behind the Milky Way
[5]
저널
An Infrared Determination of the Reddening and Distance to Dwingeloo 1
https://archive.org/[...]
[6]
저널
The Local Group and Other Neighboring Galaxy Group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