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드나시리 카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드나시리 카툰은 콩기라트 부족 출신으로, 원나라 황제 아유르바르와다의 황후이자 게게엔 칸의 어머니이다. 1302년에 게게엔 칸을 낳았으며, 1311년 아유르바르와다가 즉위하면서 황후가 되었고, 1313년에 정식으로 책봉되었다. 아들 게게엔 칸이 황제가 된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1322년 다기의 실각과 함께 사망했다. 사후 장의자성황후의 시호를 받았으며 아유르바르와다와 함께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태후 - 리트빈데
리트빈데는 820년 또는 825년경에 태어난 바이에른 출신 귀족 여성으로 카를만의 후궁이었으며, 아르눌프와 헤드비가 등을 낳고 896년에 사망했다. - 황태후 - 불루간 카툰
원나라 성종 테무르의 황후인 불루간 카툰은 바야우트 부족 출신으로 성총의 총애를 받았으나, 성종 사후 안서왕 아난다를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폐위되어 살해당하고 폐황후로 기록되었다. - 1322년 사망 - 필리프 5세
필리프 5세는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와 나바라 여왕 후아나 1세 사이에서 태어나 형 루이 10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여성의 왕위 계승을 배제하는 원칙을 확립하고 플랑드르와의 분쟁 해결, 왕실 재정 및 행정 개혁 추진, 십자군 운동 관여 등의 활동을 했다. - 1322년 사망 - 조맹부
조맹부는 시, 서, 화, 인에 모두 능했던 원나라의 예술가로, 서예에서 조체를 만들고 문인화를 부흥시켰으며, 대표작으로 《작화추색도》가 있다. - 원나라의 황태후 - 호엘룬
호엘룬은 12세기 몽골족 유력자 예수게이의 아내이자 칭기즈 칸의 어머니로, 남편 사후 어려운 환경 속에서 자녀들을 부양하며 테무진이 몽골 제국을 건설하는 데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여 사후 선의황후로 추존되었다. - 원나라의 황태후 - 보르테 카툰
보르테 카툰은 칭기즈 칸의 정실 부인으로서 몽골 제국 건국에 기여하고, 칭기즈 칸 사후 대황후로 존경받았으며, 몽골 제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라드나시리 카툰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아나시실리 |
한자 표기 | 阿納失失里 |
사후 시호 | 장의자성황후 (庄懿慈圣皇后) |
로마자 표기 | Zhuāngyìcí Shèng Huánghòu |
직위 | |
재위 기간 (황후) | 1311년 4월 7일 – 1320년 3월 1일 |
재위 기간 (황후) 설명 | 황경 2년 2월 4일 - 연우 7년 3월 11일 (음력) |
선임 황후 | 진게 |
후임 황후 | 수가발라 |
재위 기간 (황태후) | 1320년 4월 19일 — 1322년 |
선임 황태후 | 황태후 다기 |
후임 황태후 | 황태후 바부칸 |
개인 정보 | |
출생 | 1286년/1287년 경 |
사망 | 1322년 (34-36세) |
배우자 | 아유르바르와다 부얀투 칸 |
자녀 | 게게엔 칸 |
씨족 | 콩기라트 |
2. 생애
라드나시리는 콩기라드 부족 출신으로, 아유르바르와다와 언제 혼인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1302년 2월 22일 시디바라를 낳았다.[2] 1313년 카이산의 뒤를 이어 아유르바르와다가 황위에 오르자 황후가 되었다.[5] 시디바라가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라드나시리의 영향력은 커졌지만, 다기의 영향력에 제한을 받았다.
1320년 아들 시디바라가 게게엔 칸(영종)으로 즉위하면서 황태후가 되었다.[6] 그러나 1322년 다기가 실각할 무렵 사망했다. 사후 게게엔 칸에 의해 '''장의자성 황후'''(庄懿慈圣皇后|Sedate, beautiful, kind and holy empress중국어)라는 시호를 받고, 아유르바르와다와 함께 묻혔다.[2]
2. 1. 출신 배경
라드나시리는 콩기라드 부족 출신이다. 언제 아유르바르와다와 혼인했는지, 선대 황후들과 혈연 관계가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1302년 2월 22일에 시디바라를 낳았다.[2]『원사』에는 콩기라트부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가계나 출생 연도에 대한 기록은 없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황족 아유르바르와다에게 시집을 갔고, 대덕 7년(1302년) 2월에 시디바라를 낳았다.[4]
2. 2. 황후 시절
콩기라드 부족 출신이었다. 그녀가 아유르바르와다를 언제 만났는지, 선대 황후들과 혈연관계가 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녀는 1302년 2월 22일에 시디바라를 낳았다.[2] 카이산의 형제 아유르바르와다가 황위에 오르자 1313년 2월에 황후가 되었다.[5] 시디바라가 새로운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그녀의 영향력은 증가했지만, 다기의 영향력 때문에 제한을 받았다.아들 시데바라가 게겐 카안(영종)으로 즉위하면서 1320년에 라트나시리에게 황태후의 존호를 내렸다.[6] 그러나 그녀는 곧 1322년에 사망했는데, 이는 다기가 실각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그녀는 사후 게게엔 칸에 의해 '''장의자성 황후'''(庄懿慈圣皇后|Sedate, beautiful, kind and holy empress중국어)라는 시호를 받았고, 아유르바르와다와 함께 묻혔다.[2]
2. 3. 황태후 시절과 죽음
콩기라드 부족 출신이다. 그녀가 아유르바르와다를 언제 만났는지, 선대 황후들과 혈연관계가 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1302년 2월 22일에 시디바라를 낳았다.[2] 1311년 아유르바르와다가 황위에 오르면서 황후가 되었다. 시디바라가 새로운 황태자로 책봉되면서 그녀의 영향력은 증가했지만, 다기의 영향력은 그녀의 영향력을 엄격하게 제한했다.1320년 아들 게게엔 칸에 의해 황태후로 봉해졌다.[6] 그러나 1322년에 사망했는데, 이는 다기가 실각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사후 게게엔 칸에 의해 '''장의자성 황후'''(庄懿慈圣皇后|Sedate, beautiful, kind and holy empress중국어)라는 시호를 받았고, 아유르바르와다와 함께 묻혔다.[2]
참조
[1]
서적
Book of Yuan
https://zh.wikisourc[...]
[2]
서적
Marriage as Political Strategy and Cultural Expression: Mongolian Royal Marriages from World Empire to Yuan Dynasty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8
[3]
서적
元史』巻24仁宗本紀1
[4]
서적
元史』巻27英宗本紀1
[5]
서적
元史』巻106表1后妃表
[6]
서적
元史』巻114列伝1后妃伝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