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50년 유로바스켓에서 우승한 이후 유럽 최강으로 군림했으며,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6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소련 붕괴 후에는 독립 국가 연합으로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러시아 대표팀으로 유로바스켓에서 2003년 우승, 올림픽에서 2004년과 2008년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현재 FIBA 주관 대회 출전이 금지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여자 국가대표팀 - 러시아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러시아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1993년 결성되어 세계 선수권 대회 4회 우승과 올림픽 금메달 1개를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국제 대회 출전이 정지되었다. - 러시아의 여자 국가대표팀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을 포함하여 올림픽 4회, 세계 선수권 7회, 월드컵 1회, 유럽 선수권 19회 우승을 차지한 배구 강호이다. - 유럽의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 벨기에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벨기에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벨기에를 대표하는 팀으로, 주요 국제 대회에서 꾸준한 활약을 보이며 2023년 유로바스켓 우승, 2020년 도쿄 올림픽 7위, 2018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4위, 유로바스켓 2017년과 2021년 3위를 기록했고 엠마 미스만이 핵심 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 유럽의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 스페인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스페인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63년 첫 경기를 시작으로 1993년 유로바스켓 우승 이후 유럽 강호로 부상하여 올림픽 은메달,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은메달 및 동메달, 유로바스켓 4회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며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활약하는 팀이다. - 농구 국가대표팀 -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은 이집트를 대표하여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프리카 농구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하고 올림픽과 FIBA 농구 월드컵에 여러 차례 출전한 팀이다. - 농구 국가대표팀 -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은 1935년 FIBA에 가입하여 1987년 유로바스켓 우승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았고, 2005년 유로바스켓 우승, 2006년 FIBA 농구 월드컵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니코스 갈리스, 파나기오티스 야나키스 같은 전설적인 선수를 배출하며 유럽 농구계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여자 |
국가 연맹 | RBF |
FIBA 존 | FIBA 유럽 |
감독 | 알렉산드르 코발료프 |
올림픽 | |
출전 횟수 | 5 |
메달 | 동메달: (2004, 2008) |
월드컵 | |
출전 횟수 | 4 |
메달 | 은메달: (1998, 2002, 2006) |
유럽 선수권 대회 | |
대회 | 유로바스켓 |
출전 횟수 | 15 |
메달 | 금메달: (2003, 2007, 2011) 은메달: (2001, 2005, 2009) 동메달: (1995, 1999) |
유니폼 정보 | |
메달 집계 | |
올림픽 게임 | 0 금, 0 은, 2 동 |
월드컵 | 0 금, 3 은, 0 동 |
유로바스켓 | 3 금, 3 은, 2 동 |
2. 역사
1950년 유로바스켓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이후 22번의 우승을 자랑하는 유럽 최고의 강호로 군림하고 있다.
올림픽에서는 보이콧으로 불참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제외하고 모든 대회에 출전하여 금메달 3개 포함 메달 5개를 획득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1979년 서울 대회를 제외하고 6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으며, 출전한 대회에서는 1990년 대회를 제외하고 모두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소련 붕괴 후 독립 국가 연합으로 출전한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러시아가 된 이후에는 유로바스켓에서 2003년에 한 번 우승했을 뿐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아직 우승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 3회 연속 준우승, 올림픽 2회 연속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타이틀에 대한 기대를 걸고 있다.
올림픽 기록 | ||||
---|---|---|---|---|
연도 | 결과 | |||
1996년 | 5위 | 8 | 6 | 2 |
2000년 | 6위 | 7 | 3 | 4 |
2004년 | 동메달 | 8 | 6 | 2 |
2008년 | 동메달 | 8 | 6 | 2 |
2012년 | 4위 | 8 | 5 | 3 |
2016년 | 진출 실패 | |||
2020년 | ||||
2024년 | 출전 금지 | |||
합계 | 5/13 | 39 | 26 | 13 |
2. 1.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1950-1991)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50년 유로바스켓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이후 1991년까지 총 21번의 유로바스켓 우승을 차지하며 유럽 농구 최강자로 군림했다. 올림픽에서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여자 농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보이콧으로 불참했다. FIBA 여자 월드컵(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59년 대회부터 1983년 대회까지 6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1957년 대회와 198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2. 2. 독립국가연합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1992)
소련 붕괴 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는 독립국가연합(CIS) 소속으로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2. 3.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1993-현재)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93년부터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유로바스켓에서는 2003년 우승, 2001, 2005, 2009년 준우승, 1995, 1999년 3위를 기록했다. 올림픽에서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과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각각 5위와 6위를 기록했다.FIBA 여자 월드컵에서는 1998, 2002, 2006년에 3회 연속 준우승을 차지했으나, 2010년 대회에서는 7위에 그쳤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현재 FIBA 주관 대회 출전이 금지된 상태다.
올림픽 기록 | ||||
---|---|---|---|---|
연도 | 결과 | |||
1996년 | 5위 | 8 | 6 | 2 |
2000년 | 6위 | 7 | 3 | 4 |
2004년 | 동메달 | 8 | 6 | 2 |
2008년 | 동메달 | 8 | 6 | 2 |
2012년 | 4위 | 8 | 5 | 3 |
2016년 | 진출 실패 | |||
2020년 | ||||
2024년 | 출전 금지 | |||
합계 | 5/13 | 39 | 26 | 13 |
### 올림픽
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까지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으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독립국가연합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했다. 이후 러시아 대표로 올림픽에 참가하여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16년과 2020년 올림픽에는 진출하지 못했고, 2024년 파리 올림픽에는 출전이 금지되었다.올림픽 기록 연도 결과 경기 승 패 1976년 소련으로 참가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독립국가연합으로 참가 1996년 5위 8 6 2 2000년 6위 7 3 4 2004년 동메달 8 6 2 2008년 동메달 8 6 2 2012년 4위 8 5 3 2016년 진출 실패 2020년 2024년 출전 금지 합계 5/13 39 26 13
### FIBA 여자 월드컵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서 1998년, 2002년, 2006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1994년, 2014년, 2018년 대회에는 예선 탈락했다. 2022년 대회에는 출전이 금지되었으며,[3] 2026년 대회에도 출전이 금지될 예정이다.FIBA 월드컵 연도 순위 경기 승 패 1994 예선 탈락 1998 9 7 2 2002 9 7 2 2006 9 5 4 2010 7위 9 7 2 2014 예선 탈락 2018 2022 출전 금지[3] 2026 출전 금지 합계 36 26 10
1991년까지는 소련,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은 독립 국가 연합 소속으로 참가했다. 소련 시절에는 1959년, 1964년, 1967년, 1971년, 1975년, 1983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1957년과 198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1990년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 유로바스켓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유로바스켓에서 2003년, 2007년, 2011년에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1년, 2005년, 2009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5년과 1999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유로바스켓 여자부 연도 순위 경기 승 패 1993 7위 8 4 4 1995 9 7 2 1997 6위 8 4 4 1999 8 7 1 2001 8 6 2 2003 8 6 2 2005 8 5 3 2007 9 8 1 2009 9 7 2 2011 9 7 2 2013 13위 3 1 2 2015 6위 10 5 5 2017 9위 4 2 2 2019 8위 6 2 4 2021 6위 6 4 2 2023 제외 2025 미정
1991년까지는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하여 22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는 독립 국가 연합으로 참가했다.
3. 1. 올림픽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까지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으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독립국가연합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했다. 이후 러시아 대표로 올림픽에 참가하여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16년과 2020년 올림픽에는 진출하지 못했고, 2024년 파리 올림픽에는 출전이 금지되었다.
올림픽 기록 | ||||
---|---|---|---|---|
연도 | 결과 | |||
1976년 | 소련으로 참가 | |||
1980년 | ||||
1984년 | ||||
1988년 | ||||
1992년 | 독립국가연합으로 참가 | |||
1996년 | 5위 | 8 | 6 | 2 |
2000년 | 6위 | 7 | 3 | 4 |
2004년 | 동메달 | 8 | 6 | 2 |
2008년 | 동메달 | 8 | 6 | 2 |
2012년 | 4위 | 8 | 5 | 3 |
2016년 | 진출 실패 | |||
2020년 | ||||
2024년 | 출전 금지 | |||
합계 | 5/13 | 39 | 26 | 13 |
3. 2. FIBA 여자 월드컵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서 1998년, 2002년, 2006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1994년, 2014년, 2018년 대회에는 예선 탈락했다. 2022년 대회에는 출전이 금지되었으며,[3] 2026년 대회에도 출전이 금지될 예정이다.FIBA 월드컵 | ||||
---|---|---|---|---|
연도 | 순위 | |||
1994 | 예선 탈락 | |||
1998 | |16x16px]] | 9 | 7 | 2 |
2002 | 9 | 7 | 2 | |
2006 | 9 | 5 | 4 | |
2010 | 7위 | 9 | 7 | 2 |
2014 | 예선 탈락 | |||
2018 | ||||
2022 | 출전 금지[3] | |||
2026 | 출전 금지 | |||
합계 | 36 | 26 | 10 |
1991년까지는 소련,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은 독립 국가 연합 소속으로 참가했다. 소련 시절에는 1959년, 1964년, 1967년, 1971년, 1975년, 1983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1957년과 1986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1990년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3. 3. 유로바스켓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유로바스켓에서 2003년, 2007년, 2011년에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1년, 2005년, 2009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5년과 1999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유로바스켓 여자부 | ||||
---|---|---|---|---|
연도 | 순위 | |||
1993 | 7위 | 8 | 4 | 4 |
1995 | 9 | 7 | 2 | |
1997 | 6위 | 8 | 4 | 4 |
1999 | 8 | 7 | 1 | |
2001 | 8 | 6 | 2 | |
2003 | 8 | 6 | 2 | |
2005 | 8 | 5 | 3 | |
2007 | 9 | 8 | 1 | |
2009 | 9 | 7 | 2 | |
2011 | 9 | 7 | 2 | |
2013 | 13위 | 3 | 1 | 2 |
2015 | 6위 | 10 | 5 | 5 |
2017 | 9위 | 4 | 2 | 2 |
2019 | 8위 | 6 | 2 | 4 |
2021 | 6위 | 6 | 4 | 2 |
2023 | 제외 | |||
2025 | 미정 | |||
1991년까지는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하여 22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는 독립 국가 연합으로 참가했다.
4. 선수
유로바스켓 여자 2021에 참가한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4][5]
포지션 | 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키 | 당시 소속팀 | |
---|---|---|---|---|---|---|
SG | 1 | 다리아 쿠릴추크 | 1998년 2월 14일 | 1.81m | WBC Enisey | |
SF | 4 | 라이사 무시나 | 1998년 3월 31일 | 1.90m | 디나모 쿠르스크 | |
G | 5 | 마리나 골디레바 | 1993년 6월 19일 | 1.69m | WBC 디나모 노보시비르스크 | |
SF | 6 | 카밀라 오군 | 1999년 5월 7일 | 1.81m | BC 나뮈르-카피탈 | |
C | 7 | 마리아 바데예바 | 1998년 7월 16일 | 1.93m | UMMC 예카테린부르크 | |
PG | 8 | 예카테리나 페도렌코바 | 1993년 8월 12일 | 1.77m | 니카 시크티브카르 | |
SF | 10 | 아나스타샤 실로바 | 1991년 1월 10일 | 1.86m | 나데즈다 오렌부르크 | |
SG | 22 | 엘리자베타 코마로바 | 1995년 2월 1일 | 1.74m | 나데즈다 오렌부르크 | |
PF | 55 | 니나 글론티 | 1997년 1월 14일 | 1.89m | MBA 모스크바 | |
C | 63 | 알렉산드라 슈탄코 | 1991년 2월 21일 | 1.91m | MBA 모스크바 | |
C | 97 | 엘리자베타 샤바노바 | 1997년 12월 7일 | 1.97m | 디나모 쿠르스크 | |
PG | 99 | 크세니야 레브첸코 | 1996년 3월 29일 | 1.67m | 스파르타 & K | |
감독 | 알렉산더 코발레프 | |||||
코치 | 알렉산더 바신, 드미트리 슈미힌 |
위 표에서 각 선수들의 나이는 2021년 6월 17일 기준이며, 클럽은 토너먼트 이전 마지막으로 소속되었던 클럽을 기준으로 한다.
마리아 스테파노바
4. 1. 2021년 유로바스켓 선수 명단
유로바스켓 여자 2021에 참가한 러시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4][5]포지션 | 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키 | 당시 소속팀 | |
---|---|---|---|---|---|---|
SG | 1 | 다리아 쿠릴추크 | 1998년 2월 14일 | 1.81m | WBC Enisey | |
SF | 4 | 라이사 무시나 | 1998년 3월 31일 | 1.90m | 디나모 쿠르스크 | |
G | 5 | 마리나 골디레바 | 1993년 6월 19일 | 1.69m | WBC 디나모 노보시비르스크 | |
SF | 6 | 카밀라 오군 | 1999년 5월 7일 | 1.81m | BC 나뮈르-카피탈 | |
C | 7 | 마리아 바데예바 | 1998년 7월 16일 | 1.93m | UMMC 예카테린부르크 | |
PG | 8 | 예카테리나 페도렌코바 | 1993년 8월 12일 | 1.77m | 니카 시크티브카르 | |
SF | 10 | 아나스타샤 실로바 | 1991년 1월 10일 | 1.86m | 나데즈다 오렌부르크 | |
SG | 22 | 엘리자베타 코마로바 | 1995년 2월 1일 | 1.74m | 나데즈다 오렌부르크 | |
PF | 55 | 니나 글론티 | 1997년 1월 14일 | 1.89m | MBA 모스크바 | |
C | 63 | 알렉산드라 슈탄코 | 1991년 2월 21일 | 1.91m | MBA 모스크바 | |
C | 97 | 엘리자베타 샤바노바 | 1997년 12월 7일 | 1.97m | 디나모 쿠르스크 | |
PG | 99 | 크세니야 레브첸코 | 1996년 3월 29일 | 1.67m | 스파르타 & K | |
감독 | 알렉산더 코발레프 | |||||
코치 | 알렉산더 바신, 드미트리 슈미힌 |
위 표에서 각 선수들의 나이는 2021년 6월 17일 기준이며, 클럽은 토너먼트 이전 마지막으로 소속되었던 클럽을 기준으로 한다.
4. 2. 주요 선수
마리아 스테파노바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 Russia
https://archive.fiba[...]
2016-12-26
[2]
웹사이트
FIBA statement on Russian teams and officials
https://www.fiba.bas[...]
[3]
웹사이트
FIBA statement on Russian teams and officials
https://www.fiba.bas[...]
2022-03-01
[4]
웹사이트
Определен состав женской сборной России на Евробаскет-2021
https://russiabasket[...]
2021-06-11
[5]
웹사이트
Team Roster Russia
http://www.fiba.bask[...]
2021-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