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티놀 결합 단백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티놀 결합 단백질(RBP)은 레티놀, 즉 비타민 A를 세포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RBP는 세포, 기관 사이, 혈장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세포 내 RBP는 CRBP I/II, CRABPs 등이 있다. 혈장 내 레티놀 수송체는 혈장 레티놀 결합 단백질이며, RBP는 간에서 합성되어 혈액을 통해 표적 조직으로 운반된다. 임신 중에는 배아의 성장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RBP는 레티놀 수송 및 대사에 관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재성 막 단백질 - 알파-시누클레인
    알파-시누클레인은 신경 조직에서 발견되는 시누클레인 단백질로, 시냅스 소포 조절, 도파민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응집되어 레비 소체를 형성하면 파킨슨병과 같은 시누클레인병증을 유발하며, 장-뇌 축을 통해 파킨슨병 발병에 영향을 미치고 유전자 돌연변이는 가족성 파킨슨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표재성 막 단백질 - 신경독
    신경독은 신경계에 손상을 일으키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로, 중금속, 유기용매, 살충제, 생물 유래 독소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작용 메커니즘을 통해 신경계에 손상을 유발하여 신경퇴행성 질환, 인지 기능 저하, 정신 질환, 발달 장애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므로 예방과 치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신경과학 연구에도 활용된다.
  • 단백질 - 단백뇨
    단백뇨는 소변에서 과도한 단백질이 검출되는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지속적인 경우 신장 질환을 의심할 수 있어 의학적 진단과 원인 질환에 따른 치료가 필요하다.
  • 단백질 - 펩타이드 호르몬
    펩타이드 호르몬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필수적인 물질로, 인슐린,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 등이 있으며 기능 이상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레티놀 결합 단백질

2. 레티놀 결합 단백질의 종류

레티놀 결합 단백질(RBP)은 크게 세포 내 RBP와 세포 외 RBP로 나눌 수 있다.


  • '''세포 내 RBP''': RBP1, RBP2, RBP5, RBP7 등이 있으며, 레티놀과 대사 산물을 저장하기 위해 레티닐 에스테르나 레티노산으로 수송하는 데 관여한다.[14]
  • '''세포 외 RBP''': 혈청 내 레티놀 수송체인 ''혈장 레티놀 결합 단백질''[13], 레티놀과 레티노산을 높은 친화도로 결합하는 세포 레티노산 결합 단백질 ''CRABPs''[15][16][17] 등이 있다. CRABPs는 핵 수용체에 대한 레티노산의 조절 및 이용 가능성과 같은 레티노산 신호 전달 경로의 여러 측면에 관여한다.[18]

2. 1. 세포 내 RBP

세포 내에는 RBP1, RBP2, RBP5, RBP7이 있다.

2. 2. 세포 외 RBP

RBP1, RBP2, RBP5, RBP7은 세포에서, RBP3는 기관 사이에서, RBP4는 혈장에서 발견된다.

3. 유전자

레티놀 결합 단백질(RBP) 유전자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세포 내: RBP1, RBP2, RBP5, RBP7
  • 기관 사이: RBP3
  • 혈장: RBP4

4. 임신 중 레티놀 결합 단백질

레티놀은 다양한 신체 조직의 성장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배아는 발달 중 레티놀 농도 변화에 극도로 민감하여 자연 유산 및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20][21] 성숙한 동물 내에서 레티놀은 레티놀 결합 단백질(RBP)에 결합된 채 순환계를 통해 에서 표적 조직으로 운반된다. RBP는 운반체 단백질인 트랜스티레틴과도 결합한다.[22] RBP가 세포 가용성을 위해 레티놀을 방출하는 과정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23][24][25]

4. 1. 합성 장소

일반적으로 레티놀 결합 단백질은 레티놀 농도에 따라 분비되는 에서 합성된다. 그러나 농도 수준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레티놀 결합 단백질 전령 RNA전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6][27] 연구에 따르면 소의 자궁내막은 다양한 가축 종의 수정란 및 배아 외 조직뿐만 아니라 레티놀 결합 단백질의 합성 장소로도 확인되었다.[28][29][30][31]

4. 2. 가축 종에서의 RBP 발현

일반적으로 레티놀 결합 단백질은 레티놀 농도에 따라 분비되는 간에서 합성된다. 그러나 농도 수준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레티놀 결합 단백질 전령 RNA전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6][27] 연구에 따르면 소의 자궁 내막은 다양한 가축 종의 수정체 및 배아 외 조직뿐만 아니라 레티놀 결합 단백질의 합성 장소로도 확인되었다.[28][29][30][31]

;소/양

RBP는 혈장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하며, 양과 소의 태반 조직에서 모두 확인되었으며, RBP가 임신 중 레티놀 수송 및 대사에 매우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2][10] 그러나 정확한 발현 시기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소의 배아 RBP에 특이적인 항혈청과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을 사용하여 임신 초기의 다양한 단계에서 RBP의 존재를 확인했다.[2] 강한 면역 염색과 잡종형성은 13일째의 관 모양의 배반포에서 관찰되었지만, 구형 배반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RBP mRNA는 임신 45일째에 융모막, 알란토이스 및 양막의 상피 세포에 국한되어 있었다.[2] 마지막으로, RBP mRNA는 태반에 대한 태아 기여 부분이자 태아/모체 교환을 위한 자궁 상피 부착 부위인 자엽에서 검출되었다.[2] 발달 중인 배아, 배아외 막 및 태아-모체 경계면에서 RBP의 발현은 RBP에 의해 발생하는 레티놀 수송 및 대사의 조절이 배아 외 막에 의해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낸다.[10]

임신한 소의 자궁 내에서, RBP의 합성이 내강 및 선 상피에서 주기적인 동물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발정 주기 17일째에 도달하면 RBP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임신 기간 동안 점차적으로 계속 증가한다.[19] 또한 난소 스테로이드가 자궁 RBP 발현을 조절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도 시사되었다.[19]

;돼지

이전에 언급된 세 가지 유형의 레티놀 결합 단백질(RBP, CRBP, CRABP)이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을 통해 임신 중 돼지 태반 내에서 모두 확인되었다.[14] 레티놀과 레티노산은 유전자 발현의 조절자이며, 배아의 적절한 발달과 성장에 필수적이다.[14] 돼지는 어미와 태아 사이의 더 큰 분자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소포-샘 하위 단위를 가진 확산형 태반을 보인다. RBP와 CRBP는 자궁내막 샘과 소포 영양막에서 확인되었으며, RBP가 샘에서 배아의 영양막으로 레티놀을 수송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14] RBP 발현은 또한 난황, 자궁근층, 난관 및 다른 많은 태아 조직 내에서도 확인되었다.[9]

참조

[1] 논문 Multiple functions of vitamin A 1984-07
[2] 논문 Expression and cellular localization of retinol-binding protein messenger ribonucleic acid in bovine blastocysts and extraembryonic membranes 1993-08
[3] 논문 The role of hepatic fat-storing (stellate) cells in retinoid metabolism 1987
[4] 논문 Comparison of the rate of uptake and biologic effects of retinol added to human keratinocytes either directly to the culture medium or bound to serum retinol-binding protein 1991-08
[5] 논문 Localization of cellular retinol-binding protein and retinol-binding protein in cells comprising the blood-brain barrier of rat and human 1990-06
[6] 논문 Retinol uptake from retinol-binding protein (RBP) by liver parenchymal cells in vitro does not specifically depend on its binding to RBP 1993-02
[7] 논문 Retinoids, retinoid-binding proteins, and retinyl palmitate hydrolase distributions in different types of rat liver cells 1985-10
[8] 논문 Retinol-binding protein messenger RNA levels in the liver and in extrahepatic tissues of the rat 1986-02
[9] 논문 Retinol-binding protein: immunolocalization of protein and abundance of messenger ribonucleic acid in conceptus and maternal tissues during pregnancy in pigs 1994-05
[10] 논문 Characterization and immunolocalization of bovine uterine retinol-binding protein 1992-12
[11] 논문 Purification and immunolocalization of ovine placental retinol-binding protein 1992-01
[12] 논문 Delivery of vitamin A from parenteral nutrition solutions in neonates 1991-06
[13] 논문 A sustained elevation in retinoic acid receptor-beta 2 mRNA and protein occurs during retinoic acid-induced fetal dysmorphogenesis 1994-03
[14] 논문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retinoid binding proteins at the materno-fetal interface of the porcine epitheliochorial placenta 2001-01
[15] 논문 Structure/function of cytoplasmic vitamin A-binding proteins 1996
[16] 논문 Enzymes and binding proteins affecting retinoic acid concentrations 1995-06
[17] 논문 Retinoic acid biosynthesis and metabolism 1996
[18] 논문 Nuclear import of cellular retinoic acid-binding protein type I in mouse embryonic cells 1996-08
[19] 논문 Bovine endometrial retinol-binding protein secretion, messenger ribonucleic acid expression, and cellular localization during the estrous cycle and early pregnancy 1997-12
[20] 논문 Multiple functions of vitamin A https://archive.org/[...] 1984-07
[21] 논문 Expression and cellular localization of retinol-binding protein messenger ribonucleic acid in bovine blastocysts and extraembryonic membranes 1993-08
[22] 논문 The role of hepatic fat-storing (stellate) cells in retinoid metabolism 1987
[23] 논문 Comparison of the rate of uptake and biologic effects of retinol added to human keratinocytes either directly to the culture medium or bound to serum retinol-binding protein https://archive.org/[...] 1991-08
[24] 논문 Localization of cellular retinol-binding protein and retinol-binding protein in cells comprising the blood-brain barrier of rat and human 1990-06
[25] 논문 Retinol uptake from retinol-binding protein (RBP) by liver parenchymal cells in vitro does not specifically depend on its binding to RBP 1993-02
[26] 논문 Retinoids, retinoid-binding proteins, and retinyl palmitate hydrolase distributions in different types of rat liver cells https://archive.org/[...] 1985-10
[27] 논문 Retinol-binding protein messenger RNA levels in the liver and in extrahepatic tissues of the rat https://archive.org/[...] 1986-02
[28] 논문 Retinol-binding protein: immunolocalization of protein and abundance of messenger ribonucleic acid in conceptus and maternal tissues during pregnancy in pigs 1994-05
[29] 논문 Characterization and immunolocalization of bovine uterine retinol-binding protein 1992-12
[30] 논문 Purification and immunolocalization of ovine placental retinol-binding protein 1992-01
[31] 논문 Delivery of vitamin A from parenteral nutrition solutions in neonates 199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