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아일랜드주도 제2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아일랜드주도 제2호선은 미국 1번 국도와 로드아일랜드주 찰스타운에서 시작하여, 로드아일랜드주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주요 도로이다. 112번 주도와 시작 지점을 공유하며, 138번, 102번, 4번, 3번, 37번 주도 등과 교차하고, 95번, 295번 주간 고속도로 및 1번 국도와 연결된다. 워싱턴, 켄트, 프로비던스 군을 경유하며, 크랜스턴과 워릭에서 통행량이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드아일랜드주의 도로 - 국도 제44호선 (미국)
국도 제44호선은 미국 뉴욕, 코네티컷, 로드아일랜드, 매사추세츠 4개 주를 통과하며, 허드슨 강을 따라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여러 지역 이름을 가지며, 1935년에 지정되었다. - 로드아일랜드주의 도로 - 국도 제6호선 (미국)
국도 제6호선은 미국 14개 주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국도로, 서부 개척 시대와 자동차 여행 부흥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여러 차례 노선 변경을 거쳤다. - 주간고속도로 제95호선 - 국도 제1호선 (미국)
미국 국도 제1호선은 플로리다 키웨스트부터 메인주 포트 켄트까지 미국 동부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주요 남북 간선 도로로, 대서양 연안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지역 교통과 관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주간고속도로 제95호선 - 조지 워싱턴 교
조지 워싱턴 교는 뉴욕 맨해튼과 뉴저지 포트 리를 잇는 허드슨 강 횡단 현수교로, 오트마르 암만이 설계하여 1931년 개통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중앙 경간을 가졌으며 현재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 중 하나이다.
로드아일랜드주도 제2호선 | |
---|---|
지도 | |
![]() | |
노선 정보 | |
노선 종류 | 로드아일랜드주도 |
노선 번호 | 2 |
총연장 | 54.1 km |
개통년도 | 1934년 |
남쪽 기점 | 로드아일랜드주 찰스타운 |
북쪽 종점 | 프로비던스 |
주요 교차로 | [[파일:I-95.svg|20px]]주간고속도로 제95호선 [[파일:I-295.svg|20px]]주간고속도로 제295호선 [[파일:US 1.svg|20px]]국도 제1호선 |
경유 카운티 | 워싱턴 켄트 프로비던스 |
이전 노선 종류 | 로드 |
이전 노선 번호 | 1C |
다음 노선 종류 | 로드 |
다음 노선 번호 | 3 |
노선 정보 (미국 단위) | |
총연장 (마일) | 33.6 mi |
방향 A | 남쪽 |
방향 B | 북쪽 |
A 종점 | 국도 1호선 찰스타운 |
주요 교차로 | 로드아일랜드주도 4호선 노스킹스타운 주간고속도로 95호선 워릭 주간고속도로 295호선 워릭 로드아일랜드주도 37호선 크랜스턴 로드아일랜드주도 10호선 프로비던스 |
B 종점 | 국도 1호선 프로비던스 |
2. 노선 설명
2번 주도는 미국 1번 국도와 찰스타운에서 시작하며, 북동쪽으로 갈라져 138번 주도와 교차한다. 노스킹스타운에서 102번 주도와 짧게 중복된 후,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4번 주도와 평행하게 달리다가 95번 주간 고속도로에 도달한다. 이후 3번 주도의 동쪽 종점을 지나 295번 주간 고속도로 분기점을 거쳐 크랜스턴 시내를 통과한다. 37번 주도와 10번 주도 분기점을 지나 프로비던스 시 경계 바로 안쪽에서 미국 1번 국도에 이르러 북쪽 종점에 도달한다. 2번 주도는 주요 상업 중심지이기 때문에 크랜스턴과 워릭에서 통행량이 많은 도로이다.
2. 1. 워싱턴 카운티
2번 주도는 찰스타운에서 미국 1번 국도와 만나며 시작한다. 이곳은 112번 주도의 남쪽 종점이기도 하다. 2번 주도와 112번 주도는 북쪽으로 이어지다가, 2번 주도는 북동쪽으로 갈라져 138번 주도와 교차한다. 이후 2번 주도는 노스킹스타운에서 102번 주도와 짧게 중복된다.
2. 2. 켄트 카운티
2번 주도는 노스킹스타운에서 102번 주도와 짧게 중복된다. 그 후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4번 주도와 평행하게 달리다가 95번 주간 고속도로에 도달한다.2. 3. 프로비던스 카운티
2번 주도는 295번 주간 고속도로와의 분기점을 지난다. 크랜스턴 시내를 통과하여 37번 주도와 10번 주도와의 분기점을 지나 프로비던스 시 경계 바로 안쪽에서 미국 1번 국도에서 북쪽 종점에 도달한다. 2번 주도는 주요 상업 중심지이기 때문에 크랜스턴에서 통행량이 많은 도로이다.
3. 역사
1939년까지 2번 주도는 112번 주도와 12번 주도에서 갈라지는 지점 사이에 콘크리트로 포장되었다. 117번 주도와 5번 주도와 잠시 겹치는 구간이 있었으나, 모두 교차로(Interchange)로 변경되면서 없어졌다.
10번 주도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동안, 짧은 기간 동안 2번 주도는 크랜스턴의 Reservoir Avenue를 벗어나 현재 10번 주도 고속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가다가 올니빌(Olneyville) 출구에서 끝났다.
4. 경유하는 군
wikitext
5. 통과하는 도로
종류 | 도로 번호 및 이름 |
---|---|
고속도로 | |
국도 | -- 국도 제1호선[1] |
주도 |
5. 1. 고속도로
주간고속도로 제95호선5. 2. 국도
- - 국도 제1호선[1]
5. 3. 주도
2번 주도는 미국 국도 제1호선과 찰스타운에서 시작하며, 이곳은 112번 주도의 남쪽 종점이기도 하다. 2번 주도와 112번 주도는 북쪽으로 계속 이어지며, 2번 주도는 북동쪽으로 갈라져 138번 주도와 교차한다. 북동쪽으로 계속 이어지는 2번 주도는 노스킹스타운에서 102번 주도와 짧게 중복된다. 그런 다음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4번 주도와 평행하게 달리다가 95번 주간 고속도로에 도달한다. 2번 주도는 3번 주도의 동쪽 종점을 지나 295번 주간 고속도로와의 분기점에 도달한다. 크랜스턴 시내를 통과하여 37번 주도와 10번 주도와의 분기점을 지나 프로비던스 시 경계 바로 안쪽에서 미국 국도 제1호선에서 북쪽 종점에 도달한다. 2번 주도는 주요 상업 중심지이기 때문에 크랜스턴과 워릭에서 통행량이 많은 도로이다.
참조
[1]
Google maps
Route 2
https://www.google.c[...]
2013-12-23
[2]
문서
구글 지도의 측정 기준을 따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