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바니에멘 팔로세우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바니에멘 팔로세우라(RoPS)는 1950년 창단된 핀란드의 축구 클럽이다. 1986년 핀란드 컵 우승, 1987-88 시즌 UEFA 컵 위너스 컵 8강 진출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1부 리그와 2부 리그를 오가며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2011년 승부 조작 스캔들에 연루되어 선수들이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이후 팀을 재정비하여 2부 리그 우승 후 1부 리그로 승격, 2013년 핀란드 컵에서 우승했다. 2015년과 2018년에는 베이카우스리가 준우승을 차지하며 UEFA 유로파리그에 진출했으나, 2020년 베이카우스리가 최하위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카우스리가 구단 - FC 라흐티
FC 라흐티는 1996년 FC 쿠우시시와 레이파스 라흐티의 합병으로 창단되어 핀란드 1부 및 2부 리그에서 활동하며 2007년 핀란드 리그컵 우승과 UEFA 유로파 리그 진출을 이룬 핀란드 라흐티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베이카우스리가 구단 - HJK 헬싱키
HJK 헬싱키는 1907년 창단된 핀란드의 스포츠 클럽으로, 특히 축구에서 핀란드 1부 리그 33회 우승, 핀란드 컵 14회 우승,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진출 등의 기록을 가진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이며, 과거 여러 종목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축구에 집중하고 있다. - 1950년 설립된 축구단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는 1950년 미쓰비시 중공업이 창단한 일본 프로 축구 클럽으로, J리그 창설 멤버이며 J1리그, 천황배, 슈퍼컵 석권 및 AFC 챔피언스리그 3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인종차별 및 폭동 사건으로 클럽 이미지에 타격을 입기도 했다. - 1950년 설립된 축구단 - PSMS 메단
PSMS 메단은 1950년 창단되어 페르세리카탄 시대 6회, 리가 인도네시아 5회 우승을 차지하며 인도네시아 축구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가 칸 골드컵 우승과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4강 진출 등 국제 대회 기록도 보유한 인도네시아 북수마트라 메단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 로바니에멘 팔로세우라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풀 네임 | Rovaniemen Palloseura |
| 별칭 | 해당 정보 없음 |
| 창단 | 1950년 |
| 경기장 | 케스쿠스켄타, 로바니에미 |
| 수용 인원 | 4,000명 |
| 회장 | 마티 포이카얘르비 |
| 감독 | 빌레 울라넨 |
| 리그 | 위코넨 |
| 시즌 | 2024 |
| 순위 | 위코넨, 12개 팀 중 5위 |
| 웹사이트 | 로바니에멘 팔로세우라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RoPS는 1986년과 2013년 핀란드 컵에서 우승했으며, 1962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88년과 1989년에는 핀란드 프리미어 디비전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2015년에는 SJK에 1점 차로 뒤져 준우승을 차지했다. 1987-88 시즌 UEFA 컵 위너스 컵에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를 상대로 8강에 진출한 것은 이 클럽의 가장 주목할 만한 국제적 성과였다.
2000년대 RoPS는 승부 조작 연루 의혹으로 악명이 높았다. 2011년 봄, 핀란드 국가수사국은 승부 조작에 대한 대규모 조사를 시작했다. 2월 25일, 유죄 판결을 받은 승부 조작범인 싱가포르 사업가 윌슨 라지 페루말이 위조 여권을 소지한 채 핀란드에 입국하다 체포되었다. 국가수사국은 2008년부터 2011년 사이에 핀란드 프리미어 리그를 포함한 30개 이상의 경기가 조작되었거나 조작되었을 것으로 의심했다.[1]
2011년 7월 19일, 로바니에미 항소 법원은 페루말과 RoPS 선수 9명에게 승부 조작 혐의로 유죄를 선고했다. 총 24경기가 조작되었고, 이 중 11경기에서 의도된 점수가 달성되었다. 페루말은 징역 2년을 선고받았으며, 승부 조작 수익으로 간주되는 150000EUR를 반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선수들은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유죄 판결을 받은 선수들은 잠비아 선수 6명과 조지아 선수 2명으로, 고드프리 치방가, 칠레셰 치브웨, 프랜시스 콤베, 스티븐 쿤다, 크리스토퍼 무손다, 찬다 므와바, 니치뮤냐 므웨트와, 파블레 코르구아슈빌리, 발테르 코르구아슈빌리였다.[2]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50-1980년대)
RoPS는 1950년에 창단되었다. 1986년에 핀란드 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1962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6] 1988년과 1989년에는 핀란드 프리미어 디비전에서 3위를 차지했다. 1987-88 UEFA 컵 위너스 컵에서는 8강에 진출했으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 패하며 탈락했다.2. 2. 승격과 강등 (1990년대-2000년대)
RoPS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핀란드 1부 리그인 베이카우스리가와 2부 리그인 옐쾨넨 사이를 오가며 승격과 강등을 반복했다. 1991년부터 2001년까지는 베이카우스리가에 머물렀으나, 2001년 시즌에 12위를 기록하며 옐쾨넨으로 강등되었다.[6] 2003년 옐쾨넨에서 2위를 기록하며 다시 베이카우스리가로 승격했지만, 2005년에 13위를 기록하며 다시 강등되었다.[6] 2007년 옐쾨넨에서 2위를 차지하며 재승격에 성공했으나, 2009년 베이카우스리가에서 14위를 기록하며 또다시 강등되었다.[6]| 시즌 | 리그 레벨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핀란드 컵 | 리그 컵 | 최다 득점자 |
|---|---|---|---|---|---|---|---|---|---|---|---|---|
| 1991 | 1부 | 7 | 33 | 14 | 8 | 11 | 63 | 51 | 50 | - | ||
| 1992 | 7 | 33 | 12 | 6 | 15 | 53 | 49 | 42 | - | |||
| 1993 | 7 | 29 | 11 | 5 | 13 | 32 | 35 | 38 | 준우승 | - | ||
| 1994 | 5 | 26 | 10 | 8 | 8 | 32 | 32 | 38 | ||||
| 1995 | 9 | 26 | 8 | 8 | 10 | 29 | 30 | 32 | 9라운드 | |||
| 1996 | 8 | 27 | 11 | 6 | 10 | 35 | 29 | 39 | 8강 | 준우승 | ||
| 1997 | 6 | 27 | 9 | 6 | 12 | 31 | 30 | 33 | 준결승 | |||
| 1998 | 8 | 27 | 6 | 14 | 7 | 27 | 31 | 32 | ||||
| 1999 | 8 | 29 | 7 | 10 | 12 | 31 | 46 | 31 | 7라운드 | |||
| 2000 | 9 | 33 | 10 | 6 | 17 | 35 | 50 | 36 | ||||
| 2001 | 12 | 33 | 5 | 9 | 19 | 25 | 56 | 24 | 6라운드 | - | ||
| 2002 | 2부 | 4 | 22 | 9 | 4 | 9 | 41 | 10 | 31 | 8강 | - | 니클라스 그론홀름fi – 11 |
| 2003 | 2 | 26 | 14 | 7 | 5 | 40 | 27 | 49 | 6라운드 | - | ||
| 2004 | 1부 | 12 | 26 | 7 | 4 | 15 | 28 | 45 | 25 | 8강 | ||
| 2005 | 13 | 26 | 3 | 8 | 15 | 18 | 50 | 17 | ||||
| 2006 | 2부 | 7 | 26 | 10 | 8 | 8 | 40 | 35 | 38 | - | ||
| 2007 | 2 | 26 | 16 | 7 | 3 | 44 | 23 | 55 | - | |||
| 2008 | 1부 | 10 | 26 | 8 | 6 | 12 | 31 | 37 | 30 | 6라운드 | 8강 | |
| 2009 | 14 | 26 | 4 | 4 | 18 | 21 | 66 | 16 | 6라운드 | 조별 리그 | 에키아비 오코두가ngr – 5 | |
| 2010 | 2부 | 1 | 26 | 15 | 9 | 2 | 61 | 17 | 54 | 4라운드 | - | 님추냐 므웨트와zam – 13 |
2. 3. 승부조작 스캔들 (2011년)
2011년 봄, 핀란드 국가수사국은 승부조작에 대한 대규모 조사를 시작했다. 2월 25일, 승부조작 유죄 판결을 받은 싱가포르 사업가 윌슨 라지 페루말이 위조 여권을 소지한 채 핀란드에 입국하다 체포되었다. 국가수사국은 2008년부터 2011년 사이에 핀란드 프리미어 리그를 포함한 30개 이상의 경기가 조작되었거나 조작 시도가 있었을 것으로 의심했다.[1]2011년 7월 19일, 로바니에미 항소 법원은 페루말과 로바니에멘 팔로세우라 선수 9명에게 승부조작 혐의로 유죄를 선고했다. 총 24경기가 조작되었고, 이 중 11경기에서 의도된 점수가 달성되었다. 페루말은 징역 2년을 선고받았으며, 승부조작 수익으로 간주되는 150000EUR를 반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선수들에게 제공된 뇌물은 선수 한 명에게 500EUR가 지급된 것부터 8명의 선수에게 총 80000EUR가 지급된 것까지 다양했다. 한 선수에게 지급된 최고 뇌물 액수는 40000EUR가 조금 넘었다. 선수들은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유죄 판결을 받은 선수들은 잠비아 선수 6명과 조지아 선수 2명으로, 고드프리 치방가, 칠레셰 치브웨, 프랜시스 콤베, 스티븐 쿤다, 크리스토퍼 무손다, 찬다 므와바, 니치뮤냐 므웨트와, 파블레 코르구아슈빌리, 발테르 코르구아슈빌리였다.[2] 이 사건으로 클럽은 9명의 외국인 선수와 싱가포르 범죄 조직의 승부 조작 사건에 연루되었고, 이들 중 8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6]
2. 4. 재기와 유럽 대회 진출 (2010년대)
승부조작 스캔들 이후, RoPS는 팀을 재정비하여 2010년과 2012년에 2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1부 리그로 승격했다.[6] 2013년에는 핀란드 컵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6] 2015년에는 SJK에 1점 차로 뒤져 베이카우스리가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8년에도 베이카우스리가에서 준우승을 기록하며 UEFA 유로파리그 예선에 진출했다.RoPS의 UEFA 주관 대회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시즌 | 대회 | 라운드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 2014–15 | UEFA 유로파 리그 | 2차 예선 | 아스테라스 트리폴리 | 1–1 | 2–4 | 3–5 |
| 2016–17 | UEFA 유로파 리그 | 1차 예선 | 샴록 로버스 | 1–1 | 2–0 | 3–1 |
| 2차 예선 | 로코모티바 | 1–1 | 0–3 | 1–4 | ||
| 2019–20 | UEFA 유로파 리그 | 1차 예선 | 애버딘 | 1–2 | 1–2 | 2–4 |
2. 5. 최근 역사 (2020년대-)
2000년대 이후 로바니에멘 팔로세우라는 1부와 2부를 오가는 엘리베이터 클럽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6] 2011년에는 클럽 소속 외국인 선수 9명과 싱가포르 범죄 조직 간의 승부 조작 사건이 발각되었고, 이들 중 8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6]3. 역대 성적
|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핀란드 컵 | 리그 컵 | 최다 득점자 | |||||||||
|---|---|---|---|---|---|---|---|---|---|---|---|---|---|---|---|---|---|---|---|---|---|
| 1991 | 1부 | 7 | 33 | 14 | 8 | 11 | 63 | 51 | 50 | - | |||||||||||
| 1992 | 7 | 33 | 12 | 6 | 15 | 53 | 49 | 42 | - | ||||||||||||
| 1993 | 7 | 29 | 11 | 5 | 13 | 32 | 35 | 38 | 준우승 | - | |||||||||||
| 1994 | 5 | 26 | 10 | 8 | 8 | 32 | 32 | 38 | |||||||||||||
| 1995 | 9 | 26 | 8 | 8 | 10 | 29 | 30 | 32 | 9라운드 | ||||||||||||
| 1996 | 8 | 27 | 11 | 6 | 10 | 35 | 29 | 39 | 8강 | 준우승 | |||||||||||
| 1997 | 6 | 27 | 9 | 6 | 12 | 31 | 30 | 33 | 준결승 | ||||||||||||
| 1998 | 8 | 27 | 6 | 14 | 7 | 27 | 31 | 32 | |||||||||||||
| 1999 | 8 | 29 | 7 | 10 | 12 | 31 | 46 | 31 | 7라운드 | ||||||||||||
| 2000 | 9 | 33 | 10 | 6 | 17 | 35 | 50 | 36 | |||||||||||||
| 2001 | 12 | 33 | 5 | 9 | 19 | 25 | 56 | 24 | 6라운드 | - | |||||||||||
| 2002 | 2부 | 4 | 22 | 9 | 4 | 9 | 41 | 10 | 31 | 8강 | - | 니클라스 그론홀름fi – 11 | |||||||||
| 2003 | 2 | 26 | 14 | 7 | 5 | 40 | 27 | 49 | 6라운드 | - | |||||||||||
| 2004 | 1부 | 12 | 26 | 7 | 4 | 15 | 28 | 45 | 25 | 8강 | |||||||||||
| 2005 | 13 | 26 | 3 | 8 | 15 | 18 | 50 | 17 | |||||||||||||
| 2006 | 2부 | 7 | 26 | 10 | 8 | 8 | 40 | 35 | 38 | - | |||||||||||
| 2007 | 2 | 26 | 16 | 7 | 3 | 44 | 23 | 55 | - | ||||||||||||
| 2008 | 1부 | 10 | 26 | 8 | 6 | 12 | 31 | 37 | 30 | 6라운드 | 8강 | ||||||||||
| 2009 | 14 | 26 | 4 | 4 | 18 | 21 | 66 | 16 | 6라운드 | 조별 리그 | 에키아비 오코두가영어 – 5 | ||||||||||
| 2010 | 2부 | 1 | 26 | 15 | 9 | 2 | 61 | 17 | 54 | 4라운드 | - | 님추냐 므웨트와영어 – 13 | |||||||||
| 2011 | 1부 | 12 | 33 | 5 | 8 | 20 | 39 | 78 | 23 | 5라운드 | 조별 리그 | 호세 마누엘 리베라es – 10 | |||||||||
| 2012 | 2부 | 1 | 27 | 18 | 5 | 4 | 53 | 20 | 59 | 5라운드 | - | 알렉산데르 코코fi – 15 | |||||||||
| 2013 | 1부 | 11 | 33 | 8 | 10 | 15 | 25 | 36 | 34 | 우승 | 8강 | 알렉산데르 코코fi – 6 | |||||||||
| 2014 | 9 | 33 | 11 | 5 | 17 | 37 | 41 | 38 | 6라운드 | 조별 리그 | 알렉산데르 코코fi – 9 | ||||||||||
| 2015 | 2 | 33 | 17 | 8 | 8 | 44 | 29 | 59 | 6라운드 | 준우승 | 알렉산데르 코코fi – 17 | ||||||||||
| 2016 | 6 | 33 | 13 | 11 | 9 | 43 | 33 | 50 | 6라운드 | 조별 리그 | 로버트 테일러 (1994년생 축구 선수)|로버트 테일러fi – 11 | ||||||||||
| 2017 | 7 | 33 | 12 | 6 | 15 | 43 | 51 | 42 | 8강 플레이오프 | - | 에메카 프라이데이 에제영어 – 7 | ||||||||||
| 2018 | 2 | 33 | 18 | 8 | 7 | 42 | 25 | 62 | 6라운드 | - | 라시 라팔라이넨fi – 8 | ||||||||||
| 2019 | 10 | 27 | 8 | 6 | 13 | 23 | 35 | 30 | 8강 | - | 유네스 라히미fi – 5 | ||||||||||
| 2020 | 12 | 22 | 1 | 2 | 19 | 15 | 51 | 5 | 조별 리그 | - | |||||||||||
| 2021 | 2부 | 2 |
'''핀란드 컵'''
- '''우승 (2):''' 1986, 2013
- '''준우승 (2):''' 1962, 1993
'''핀란드 리그컵'''
- '''준우승 (1):''' 1996
'''이쾨넨'''
- '''우승 (2):''' 2010, 2012
4. 선수
|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
| 1 | FIN|핀란드fi | 골키퍼 | 미카 무유넨 |
| 2 | FIN|핀란드fi | 수비수 | 시모 마얀데르 |
| 6 | NED|네덜란드nl | 미드필더 | 니노 로펠센 |
| 7 | FIN|핀란드fi | 공격수 | 베카 퓌니 |
| 8 | FIN|핀란드fi | 미드필더 | 빌리 사아리코스키 |
| 12 | FIN|핀란드fi | 골키퍼 | 미코 란탈라 |
| 15 | FIN|핀란드fi | 수비수 | 미스카 윌리톨바 |
| 16 | FIN|핀란드fi | 공격수 | 키릴 불라트 |
| 19 | FIN|핀란드fi | 수비수 | 요오나 라흐덴매키 |
| 20 | FIN|핀란드fi | 공격수 | 시모 로이하 |
| 21 | FIN|핀란드fi | 미드필더 | 엘메리 히르보넨 |
| 22 | POR|포르투갈pt | 수비수 | 호드리고 안투네스 |
| 23 | FIN|핀란드fi | 수비수 | 삼포 알라-이소 |
| 26 | FIN|핀란드fi | 수비수 | 에에릭 칸톨라 |
| 28 | FIN|핀란드fi | 공격수 | 야르코 루이로 |
| 33 | GHA|가나영어 | 미드필더 | 제프리 아체암퐁 |
| 34 | SRB|세르비아sr | 공격수 | 스르잔 부야클리야 |
| FIN|핀란드fi | 수비수 | 아로 티이호넨 |
5. 경영진
Vesa Tauriainenfi 수석 코치를 비롯한 코치진은 2020년 2월 18일 기준 다음과 같다.[3]
| 이름 | 역할 |
|---|---|
| 베사 타우리아이넨 | 수석 코치 |
| Mika Pulkkinenfi | 코치 |
| Jari Alamäkifi | 피트니스 코치 |
| Olli Koskelafi | 골키퍼 코치 |
| Tuomas Könönenfi | 물리 치료사 |
| Vilma Poutiainenfi | 물리 치료사 |
| David Cole영어 | 장비 관리자 |
| Esi Jokelainenfi | 안마사 |
| Olavi Tammiesfi | 팀 매니저 |
| 이름 | 직책 |
|---|---|
| Risto Nivafi | 회장, 전무이사 |
| Pekka Konsteniusfi | 부회장 |
| 야리 일올라 | 축구 이사 |
6. 로바니에미 풋볼 아카데미
로바니에멘 팔로세우라(RoPS)의 리저브 팀인 로바니에미 풋볼 아카데미(Rovaniemi Football Academy, RFA)는 2020 시즌에 카코넨에서 활동한다. 알렉시 태너가 감독을 맡고 있다.[1]
2020년 9월 14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
| 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
| 11 | FIN|핀란드fi | 골키퍼 | 라우리 베트리 |
| 24 | FIN|핀란드fi | 미드필더 | 키릴 불라트 |
| 30 | FIN|핀란드fi | 골키퍼 | 티노 코르호넨 |
| 35 | FIN|핀란드fi | 골키퍼 | 파울리 투이쿠 |
| 36 | FIN|핀란드fi | 미드필더 | 베르티 해니넨 |
| 37 | FIN|핀란드fi | 수비수 | 요나 라덴매키 |
| 36 | FIN|핀란드fi | 미드필더 | 요네 란시패 |
| 39 | FIN|핀란드fi | 수비수 | 악셀리 칸톨라 |
| 40 | FIN|핀란드fi | 미드필더 | 빌레 오얄라 |
| 40 | FIN|핀란드fi | 공격수 | 산테리 마틸라이넨 |
| 41 | FIN|핀란드fi | 미드필더 | 요네 코이스티넨 |
| 42 | FIN|핀란드fi | 미드필더 | 리쿠-벨리 니스카 |
| 43 | FIN|핀란드fi | 공격수 | 요나 캐쾨넨 |
| 44 | FIN|핀란드fi | 수비수 | 투오마스 레표캉가스 |
| 46 | FIN|핀란드fi | 공격수 | 아담 메키 |
| 47 | FIN|핀란드fi | 공격수 | 얀네 오자니에미 |
| 49 | EGY|이집트영어 | 미드필더 | 카람 하드후드 |
| 50 | FIN|핀란드fi | 수비수 | 세베리 살미린네 |
| 52 | FIN|핀란드fi | 수비수 | 미스카 일리톨바 |
| 53 | FIN|핀란드fi | 미드필더 | 로니 피에찰로 |
| 54 | FIN|핀란드fi | 공격수 | 안티 살미 |
| 56 | FIN|핀란드fi | 수비수 | 루카 쿠이티넨 |
| 57 | FIN|핀란드fi | 수비수 | 삼포 알라-이소 |
7. 역대 감독
| 국적 | 이름 | 재임 기간 |
|---|---|---|
| 폴란드 | 예르지 마슈탈레르 | 1990년 ~ 1991년 |
| 웨일스 | 그레이엄 윌리엄스 | 1991년 |
| 핀란드 | 올라비 탐미미에스 | 1992년 |
| 잉글랜드 | 키스 암스트롱 | 1993년 ~ 1994년 |
| 핀란드 | 티모 살미 | 1995년 |
| 웨일스 | 그레이엄 윌리엄스 | 1995년 |
| 핀란드 | 아리 마틴라시 | 1995년 |
| 핀란드 | 아리 란타마 | 1996년 ~ 1997년 |
| 핀란드 | 카리 비르타넨 | 1997년 ~ 1999년 |
| 핀란드 | 올라비 탐미미에스 | 2000년 |
| 핀란드 | 마우리 홀라파 | 2001년 |
| 핀란드 | 토미 몰린 | 2002년 |
| 헝가리 | 하모리 죄르지 | 2003년 1월 1일 ~ 2004년 6월 23일 |
| 핀란드 | 미카 루미야르비 | 2004년 6월 23일 ~ 2005년 6월 30일 |
| 핀란드 | 마티 빅만 (임시) | 2005년 6월 30일 ~ 2005년 12월 31일 |
| 핀란드 | 유카 이칼라이넨 | 2006년 |
| 벨기에 | 톰 생피에트 | 2008년 1월 1일 ~ 2008년 4월 7일 |
| 에스토니아 | 발레리 본다렌코 | 2008년 4월 14일 ~ 2009년 5월 27일 |
| 핀란드 | 미카 루미야르비 | 2009년 5월 27일 ~ 2009년 10월 6일 |
| 잠비아 | 제디 사이레티 | 2009년 10월 6일 ~ 2009년 12월 31일 |
| 웨일스 | 존 앨런 | 2010년 1월 1일 ~ 2011년 8월 9일 |
| 핀란드 | 마티 히우카 | 2011년 8월 9일 ~ 2011년 12월 31일 |
| 핀란드 | 카리 비르타넨 | 2012년 1월 1일 ~ 2013년 10월 13일 |
| 핀란드 | 유하 말리넨 | 2013년 11월 ~ 2017년 10월 |
| 핀란드 | 토니 코스켈라 | 2017년 10월 ~ 2019년 5월 22일 |
| 핀란드 | 파시 투우티 | 2019년 5월 22일 ~ 2019년 12월 31일 |
| 핀란드 | 베사 타우리아이넨 | 2020년 1월 1일 ~ 2020년 9월 15일 |
| 핀란드 | 미코 만닐라 | 2020년 9월 16일 ~ 2021년 12월 31일 |
| 핀란드 | 알렉시 태너 | 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
| 핀란드 | 빌레 울라넨 | 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 |
| 핀란드 | 야리 알라매키 | 2024년 1월 1일 ~ |
참조
[1]
웹사이트
RoPS:lla yli 30 epäiltyä sopupeliä | Pohjois-Suomi
http://www.kaleva.fi[...]
Kaleva.fi
2012-02-12
[2]
웹사이트
Oikeus: Sopupeleistä 150 000 euroa – 2 vuotta vankeutta — Uusi Suomi
http://www.uusisuomi[...]
Uusisuomi.fi
2012-02-12
[3]
웹사이트
Yhteystiedot
https://www.rops.fi/[...]
RoPS
2020-02-18
[4]
웹사이트
RoPS/2 on jatkossa Rovaniemi Football Academy
https://rops.fi/rfa/[...]
RoPS
2020-02-20
[5]
웹사이트
Kokoonpano: Rovaniemi Football Academy 2020
https://rops.fi/rfa/[...]
RoPS
2020-09-14
[6]
서적
東欧サッカークロニクル
カンゼン
201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