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볼데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볼데퀸은 여러 문의 포를 수레에 실어 파이프 오르간과 유사한 형태를 띤 무기이다. 각 포는 동조되어 일제 사격이 가능하며, 한 사람이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장전의 어려움으로 지속적인 탄막 형성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가드너 기관총, 노르덴펠트 기관총, AAI 인라인 등과 같은 유사 무기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열화기 - 데린저
데린저는 헨리 데링거가 개발한 소형 권총에서 유래한 용어로, 은닉성이 좋아 호신용으로 사용되었으며 미국 서부 시대에 인기를 얻었고 링컨 암살 사건에 사용된 총기로도 알려져 있다. - 다열화기 - 루파라 (무기)
루파라는 이탈리아어로 늑대 사냥에 사용된 산탄총을 의미하며, 소설 《대부》를 통해 마피아의 무기로 묘사되었고, 산탄총 탄약 또는 마피아식 살인 은폐 행위를 지칭하기도 한다. - 르네상스 시대의 무기 - 컬버린
컬버린은 15세기부터 사용된 화포의 한 종류로, 긴 사거리와 강력한 위력을 자랑하며 경량포 역할을 수행했으나, 기술 발전에 따라 야전포로 대체되어 영국에서는 18세기 초에 명칭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 르네상스 시대의 무기 - 메서
메서는 15세기 초 독일 남부에서 유래한 외날 검으로, 칼날 한 면이 날카롭고 칼과 유사한 손잡이 구조를 가지며, 손잡이 보호를 위한 '나겔'이라는 돌기가 특징이다. - 일제사격무기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일제사격무기 - 구룡 다연장로켓
구룡 다연장로켓(K136)은 북한의 BM-21 그라드에 대응하기 위해 1981년 대한민국 육군에 실전 배치된 다연장 로켓포 시스템으로, K136A1 개량형과 K33, K38 로켓 등이 개발되었으며 연평도와 백령도에 배치, 이집트에 수출되기도 하였다.
리볼데퀸 | |
---|---|
개요 | |
![]() | |
종류 | 다연장포 |
기원 | 중세 후기 |
사용 국가 | 유럽 |
다른 이름 | 리볼도 리보데킨 오르간 포 |
역사 | |
개발 시기 | 14세기 |
사용 시기 | 14세기 ~ 16세기 |
용도 | 대인 저지 |
역사적 중요성 | 초기 다연장포의 예시 |
디자인 | |
탑재 방식 | 수레 또는 고정식 거치대 |
포신 수 | 여러 개 (일반적으로 12개) |
발사 방식 | 한 번에 여러 발 발사 |
탄약 | 작은 구경의 철환, 화살 |
작동 방식 | 수동 점화 |
유사 무기 | |
유사 무기 | 미트라유즈 |
관련 정보 | |
관련 정보 | 화약 무기 |
2. 특징
10문에서 수십 문 정도의 포를 손으로 미는 수레(포차)에 실은 형태이다. 그 모양이 파이프 오르간의 파이프와 닮아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각 포는 서로 연동되어 일제 사격이 가능하며, 한 사람이 조작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았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일제 사격 후에는 포탄을 한 문씩 개별적으로 장전해야 했기 때문에, 지속적인 탄막을 형성하기 어려워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3. 유사 무기
참조
[1]
웹사이트
A 17th Century Organ Gun from Lviv
https://ultimaprojec[...]
2020-07-09
[2]
웹사이트
The Ribauldequin: medieval machine gun considered as the predecessor of the 19-th century mitrailleuse
https://www.thevinta[...]
Timera Inc
2016-12-06
[3]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Battle of Lepanto
Da Capo Press
[4]
서적
Machine Guns: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ir Impact
ABC-CLIO
2018
[5]
서적
The War of the Roses
1995
[6]
서적
The Machine Gun: History,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Manual, Automatic, and Airborne Repeating Weapons, Volume I
Bureau of Ordnance, Department of the Navy
1951
[7]
간행물
Rethinking the "Cossack Gun": A 17th Century Organok from Lviv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