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스트룀 SK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릴레스트룀 SK는 1917년 4월 2일에 창단된 노르웨이의 축구 클럽이다. 엘리테세리엔에서 5번, 노르웨이 컵에서 6번 우승했으며, 2005-06 로얄 리그에서 준우승, 2006 UEFA 인터토토컵에서 준우승을 기록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며, UEFA컵에서 AFC 아약스를 상대로 승리하기도 했다. 2019년 1.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지만, 2020년 2위를 기록하며 엘리테세리엔으로 승격했다. 릴레스트룀의 라이벌은 볼레렝가 포트발이며, 공식 팬클럽인 카나리판센은 노르웨이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켄주의 스포츠 - 스트룀스고세 IF
1922년 창단된 노르웨이 축구 클럽 스트룀스고세 IF는 1970년대 전성기를 거쳐 엘리테세리엔 우승과 노르웨이 컵 5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마리엔리스트 스타디온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비켄주의 스포츠 - 예일로
노르웨이 뷔스케뤼주에 위치한 게일로는 오슬로와 베르겐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자 스키 리조트이며, 하이킹과 산악 자전거를 즐길 수 있는 휴양 도시로, 1980년 동계 패럴림픽 개최 및 아이스 뮤직 페스티벌 개최지로도 알려져 있다. - 1917년 설립된 축구단 - 실케보르 IF
실케보르 IF는 1917년에 창단된 덴마크의 축구 클럽으로, 1994년 덴마크 수페르리가, 2001년 덴마크 컵, 1996년 UEFA 인터토토컵에서 우승했으며, 2024년 대서양컵에서도 우승했다. - 1917년 설립된 축구단 -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데포르티보 톨루카 FC는 1917년 창단되어 리가 MX에 참가하며 10회 리그 우승과 국내외 대회 우승을 거둔 멕시코의 대표적인 프로 축구 클럽으로, 멕시코 시를 연고로 네메시오 디에스 경기장을 홈으로 사용하고 빨간색을 상징색으로 한다. - 엘리테세리엔 구단 - 비킹 FK
비킹 FK는 1899년에 창단된 노르웨이 축구 클럽으로, 엘리테세리엔에서 8회, 노르웨이컵에서 6회 우승을 기록하며 1970년대 리그 4연패를 통해 전성기를 맞았다. - 엘리테세리엔 구단 - SK 브란
SK 브란은 노르웨이 베르겐을 연고로 하며 1908년 창단되어 엘리테세리엔 3회 우승, 노르웨이 컵 7회 우승을 기록하고 UEFA 컵 위너스컵 8강에 진출한, 브란 스타디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노르웨이 대표적인 축구 클럽이다.
릴레스트룀 SK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카나리아 군단, 군단 (The Canaries, The Birds) |
정식 명칭 | 릴레스트룀 스포르츠클루브 (Lillestrøm Sportsklubb) |
약칭 | LSK |
창단 | 1917년 4월 2일 |
회장 | 모르텐 코키 (Morten Kokkim) |
감독 | 한스 에리크 외데가르드 (Hans Erik Ødegaard) |
홈 구장 | 오로센 스타디온, 릴레스트룀 |
수용 인원 | 12,250명 |
웹사이트 | 릴레스트룀 SK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색상 및 유니폼 | |
상의 색상 | 노랑, 검정, 빨강 |
하의 색상 | 검정, 빨강 |
스타킹 색상 | 노랑, 빨강 |
최근 시즌 정보 | |
리그 | 1. 디비숀 |
시즌 | 2024 |
위치 | 엘리테세리엔, 16개 팀 중 15위 (강등) |
2. 역사
1917년 4월 2일에 창단되었다.[14]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며, 노르웨이 프리미어리그 5회, 노르웨이 컵 5회 우승을 기록했다.
1977년 9월 14일, UEFA컵에서 AFC 아약스를 상대로 울레볼 스타디온에서 2-0으로 승리했지만,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0-4로 패배했다.[14]
2004년 시즌 이후 우베 뢰슬러가 감독직을 인계받았고, 2005년 시즌에는 리그 4위, 로얄 리그 준우승, 노르웨이 컵 준우승을 기록했다. 2006년 11월 13일, 뢰슬러 감독이 해임되고 톰 노르들리에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2007년 노르웨이 컵에서 우승하고 리그 4위를 기록했다.[14]
2008년 5월, 톰 노르들리에 감독은 성적 부진과 얀 오게 표르토프트와의 불화로 사임했다. 에를란 존센과 프로데 그로다스가 임시 코치를 맡았고, 2008년 8월 헤닝 베르그가 2009년 1월부터 감독을 맡는다고 발표되었다.
2009 시즌에는 11명의 선수를 판매하거나 방출하는 등 큰 변화가 있었다. 2011 시즌 초반에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앤서니 우자와 노사 이기에보르 등 주축 선수들이 이적하고 비외른 베르그만 시구르다르손이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2011년 시즌 후, 마그누스 하글룬드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2. 1. 창단 초기 (1917-1970년대)
릴레스트룀 SK는 창단 초기 노르웨이 리그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2. 2. 전성기 (1970년대-1980년대)
1977년 9월 14일 UEFA컵에서 AFC 아약스를 상대로 울레볼 스타디온에서 2-0으로 승리하였다.[14] 이 경기에는 20,000명 이상의 관중이 들어와 릴레스트룀의 홈경기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 요한 크라위프가 FC 바르셀로나로 이적한 후, 아약스는 릴레스트룀의 톰 룬드를 영입하려 했으나 룬드는 릴레스트룀에 잔류했다. 톰 룬드를 기리기 위해 오로센 스타디온 밖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14]릴레스트룀은 노르웨이 프리미어리그에서 5회(1959, 1976, 1977, 1986, 1989), 노르웨이 컵에서 4회(1977, 1978, 1981, 1985) 우승을 차지하며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렸다.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노르웨이 프리미어리그 | 5회 | 1959, 1976, 1977, 1986, 1989 |
노르웨이 컵 | 4회 | 1977, 1978, 1981, 1985 |
1977-78 시즌 유러피언컵 1라운드에서 아약스를 상대로 홈에서 2-0 승리를 거두었으나,[14] 원정에서 0-4로 패배하며 합계 2-4로 탈락했다. 이후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참가한 주요 유럽 대항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 홈 | 원정 | 합계 |
---|---|---|---|---|---|---|
1977–78 | 유러피언컵 | R1 | 아약스 | 2–0 | 0–4 | 2–4 |
1978–79 | 유러피언컵 | R1 | 린필드 | 1–0 | 0–0 | 1–0 |
R2 | 오스트리아 빈 | 0–0 | 1–4 | 1–4 | ||
1979–80 | 컵 위너스 컵 | PR | 레인저스 | 0–2 | 0–1 | 0–3 |
1982–83 | 컵 위너스 컵 | R1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0–4 | 0–3 | 0–7 |
1984–85 | UEFA컵 | R1 | 로코모티베 라이프치히 | 3–0 | 0–7 | 3–7 |
1986–87 | 컵 위너스 컵 | R1 | 벤피카 | 1–2 | 0–2 | 1–4 |
1987–88 | 유러피언컵 | R1 | 린필드 | 1–1 | 4–2 | 5–3 |
R2 | 보르도 | 0–0 | 0–1 | 0–1 | ||
1989–90 | UEFA컵 | R1 | 베르더 브레멘 | 1–3 | 0–2 | 1–5 |
1990–91 | 유러피언컵 | R1 | 클럽 브뤼헤 | 1–1 | 0–2 | 1–3 |
2. 3. 1990년대-2000년대
1994-95 UEFA컵에서 FC 샤흐타르 도네츠크를 꺾고 1라운드에 진출했으나, 지롱댕 드 보르도에 패배했다.[14] 1995-96 UEFA컵에서 브뢴비 IF에 패배하여 1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14]2004년 시즌 이후 아르네 에를란센 감독이 IFK 예테보리로 떠나고, 우베 뢰슬러가 감독직을 인계받았다.[14] 2005년 시즌에는 리그 4위, 로얄 리그 준우승, 노르웨이 컵 준우승을 기록했다.[14] 2006년 시즌 4위를 기록한 후, 2006년 11월 13일 우베 뢰슬러 감독이 해임되고 톰 노르들리에가 감독으로 부임했다.[14] 2007년 노르웨이 컵에서 우승하고 리그 4위를 기록했다.[14]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컵 | 비고 |
---|---|---|---|---|---|---|---|---|---|---|---|
1995 | 티페릴리겐 | 4위 | 26 | 11 | 8 | 7 | 50 | 36 | 41 | 준결승 | |
1996 | 티페릴리겐 | 2위 | 26 | 13 | 7 | 6 | 54 | 33 | 46 | 3라운드 | |
1997 | 티페릴리겐 | 10위 | 26 | 9 | 6 | 11 | 41 | 49 | 33 | 4라운드 | |
1998 | 티페릴리겐 | 8위 | 26 | 9 | 5 | 12 | 34 | 43 | 32 | 3라운드 | |
1999 | 티페릴리겐 | 4위 | 26 | 15 | 3 | 8 | 60 | 41 | 48 | 8강 | |
2000 | 티페릴리겐 | 6위 | 26 | 11 | 7 | 8 | 42 | 29 | 40 | 8강 | |
2001 | 티페릴리겐 | 2위 | 26 | 17 | 5 | 4 | 64 | 33 | 56 | 준결승 | |
2002 | 티페릴리겐 | 7위 | 26 | 10 | 6 | 10 | 37 | 30 | 36 | 3라운드 | |
2003 | 티페릴리겐 | 7위 | 26 | 10 | 7 | 9 | 33 | 35 | 37 | 4라운드 | |
2004 | 티페릴리겐 | 7위 | 26 | 8 | 11 | 7 | 45 | 33 | 35 | 준결승 | |
2005 | 티페릴리겐 | 4위 | 26 | 12 | 6 | 8 | 37 | 31 | 42 | 결승 | |
2006 | 티페릴리겐 | 4위 | 26 | 12 | 8 | 6 | 44 | 33 | 44 | 8강 | |
2007 | 티페릴리겐 | 4위 | 26 | 12 | 8 | 6 | 47 | 28 | 44 | 우승 | |
2008 | 티페릴리겐 | 12위 | 26 | 7 | 7 | 12 | 30 | 40 | 28 | 2라운드 | |
2009 | 티페릴리겐 | 11위 | 30 | 9 | 10 | 11 | 43 | 50 | 37 | 4라운드 | |
2010 | 티페릴리겐 | 10위 | 30 | 9 | 13 | 8 | 51 | 44 | 40 | 3라운드 | |
2011 | 티페릴리겐 | 13위 | 30 | 9 | 7 | 14 | 46 | 52 | 34 | 4라운드 | |
2012 | 티페릴리겐 | 9위 | 30 | 9 | 12 | 9 | 46 | 47 | 39 | 4라운드 | |
2013 | 티페릴리겐 | 10위 | 30 | 9 | 9 | 12 | 37 | 44 | 36 | 준결승 | |
2014 | 티페릴리겐 | 5위 | 30 | 13 | 7 | 10 | 49 | 35 | 46 | 8강 | |
2015 | 티페릴리겐 | 8위 | 30 | 12 | 9 | 9 | 45 | 43 | 44 | 3라운드 | |
2016 | 티페릴리겐 | 12위 | 30 | 8 | 10 | 12 | 45 | 50 | 34 | 3라운드 | |
2017 | 엘리테세리엔 | 12위 | 30 | 10 | 7 | 13 | 40 | 43 | 37 | 우승 | |
2018 | 엘리테세리엔 | 12위 | 30 | 7 | 11 | 12 | 34 | 44 | 32 | 준결승 | |
2019 | 엘리테세리엔 | 14위 | 30 | 7 | 9 | 14 | 32 | 47 | 30 | 3라운드 |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1. 디비시온으로 강등 |
2020 | 1. 디비시온 | 2위 | 30 | 16 | 9 | 5 | 49 | 26 | 57 | 취소 | 엘리테세리엔으로 승격 |
2021 | 엘리테세리엔 | 4위 | 30 | 14 | 7 | 9 | 49 | 40 | 49 | 8강 | |
2022 | 엘리테세리엔 | 4위 | 30 | 16 | 5 | 9 | 49 | 34 | 53 | 결승 |
2. 4. 2008년 이후
2008년 5월, 톰 노르들리에 감독은 성적 부진과 얀 오게 표르토프트와의 불화로 감독직에서 물러났다.[1] 2009년 1월부터 헤닝 베르그가 감독을 맡아 팀을 강등 위기에서 구해냈다.[1] 2011년에는 앤서니 우자와 노사 이기에보르 등 주축 선수들이 팀을 떠났고, 비외른 베르그만 시구르다르손이 부상으로 이탈하며 어려움을 겪었다.[1] 2011년 시즌 후, 헤닝 베르그 감독이 해임되고 마그누스 하글룬드가 감독으로 부임했다.[1] 2017년, 노르웨이 컵에서 통산 6번째 우승을 달성했다.[1] 2019년, 엘리테세리엔에서 14위를 기록하며 1.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1] 2020년에는 1. 디비시온에서 2위를 기록하며 엘리테세리엔으로 승격했다.[1]3. 우승 기록
대회 | 우승 | 준우승 | 시즌 |
---|---|---|---|
엘리테세리엔 | 5 | 8 | 우승: 1958–59, 1976, 1977, 1986, 1989 준우승: 1959–60, 1978, 1983, 1985, 1988, 1994, 1996, 2001 |
노르웨이 컵 | 6 | 8 | 우승: 1977, 1978, 1981, 1985, 2007, 2017 준우승: 1953, 1955, 1958, 1980, 1986, 1992, 2005, 2022 |
로얄 리그 | 0 | 1 | 준우승: 2005–06 |
UEFA 인터토토컵 | 0 | 1 | 준우승: 2006 |
4. 유럽 대항전 기록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비고 |
---|---|---|---|---|---|---|---|
1977-78 | UEFA 챔피언스컵 | 1라운드 | AFC 아약스|아약스nl | 2-0 | 0-4 | 2-4 | |
1978-79 | UEFA 챔피언스컵 | 1라운드 | 린필드 FC|린필드영어 | 1-0 | 0-0 | 1-0 | |
2라운드 | FK 오스트리아 빈|오스트리아 빈de | 0-0 | 1-4 | 1-4 | |||
1979-80 | UEFA 컵 위너스컵 | 예비 예선 | 레인저스 FC|레인저스영어 | 0-2 | 0-1 | 0-3 | |
1982-83 | UEFA 컵 위너스컵 | 1라운드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츠르베나 즈베즈다sr | 0-4 | 0-3 | 0-7 | |
1984-85 | UEFA컵 | 1라운드 | 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de | 3-0 | 0-7 | 3-7 | |
1986-87 | UEFA 컵 위너스컵 | 1라운드 | SL 벤피카|벤피카pt | 1-2 | 0-2 | 1-4 | |
1987-88 | UEFA 챔피언스컵 | 1라운드 | 린필드 FC|린필드영어 | 1-1 | 4-2 | 5-3 | |
2라운드 | FC 지롱댕 드 보르도|보르도프랑스어 | 0-0 | 0-1 | 0-1 | |||
1989-90 | UEFA컵 | 1라운드 | SV 베르더 브레멘|브레멘de | 1-3 | 0-2 | 1-5 | |
1990-91 | UEFA 챔피언스컵 | 1라운드 | 클럽 브뤼헤|클럽 브뤼헤nl | 1-1 | 0-2 | 1-3 | |
1993-94 | UEFA 컵 위너스컵 | 예비 예선 | FC 니콜 탈린|니콜 탈린et | 4-1 | 4-0 | 8-1 | |
1라운드 | 토리노 FC|토리노it | 0-2 | 2-1 | 2-3 | |||
1994-95 | UEFA컵 | 예선 라운드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샤흐타르 도네츠크uk | 4-1 | 0-2 | 4-3 | |
1라운드 | FC 지롱댕 드 보르도|보르도프랑스어 | 0-2 | 1-3 | 1-5 | |||
1995-96 | UEFA컵 | 예선 라운드 | FC 플로라 탈린|플로라 탈린et | 4-0 | 0-1 | 4-1 | |
1라운드 | 브뢴뷔 IF|브뢴뷔da | 0-0 | 0-3 | 0-3 | |||
1996 | UEFA 인터토토컵 | 그룹 5 | FBK 카우나스|카우나스lt | 4-1 | 2위 | ||
슬라이고 로버스 FC|슬라이고 로버스영어 | 4-0 | ||||||
SC 헤렌벤|헤렌벤nl | 1-0 | ||||||
FC 낭트|낭트프랑스어 | 2-3 | ||||||
1997-98 | UEFA컵 | 예선 2라운드 | FC 디나모 민스크|디나모 민스크be | 1-0 | 2-0 | 3-0 | |
1라운드 | FC 트벤테|트벤테nl | 2-1 | 0-1 | 2-2 (a) | |||
2000-01 | UEFA컵 | 예선 라운드 | 글렌트란 FC|글렌트란영어 | 1-0 | 3-0 | 4-0 | |
1라운드 | FC 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ru | 3-1 | 1-2 | 4-3 | |||
2라운드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알라베스es | 1-3 | 2-2 | 3-5 | |||
2002-03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FK 젤레즈니차르 사라예보|젤레즈니차르bs | 0-1 | 0-1 | 0-2 | |
2006 | UEFA 인터토토컵 | 2라운드 | KR 케플라비크|케플라비크is | 4-1 | 2-2 | 6-3 | |
3라운드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뉴캐슬 유나이티드영어 | 0-3 | 1-1 | 1-4 | |||
2007-08 | UEFA컵 | 예선 1라운드 | UN 카이에랑|카이에랑lb | 2-1 | 0-1 | 2-2 (a) | |
2008-09 | UEFA컵 | 예선 2라운드 | FC 코펜하겐|코펜하겐da | 2-4 | 1-3 | 3-7 | |
2018-19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LASK 린츠|LASKde | 1-2 | 0-4 | 1-6 | |
2022-23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세이내요키 JK|SJKfi | 5-2 | 1-0 | 6-2 | |
예선 3라운드 | 로열 앤트워프 FC|로열 앤트워프nl | 1-3 | 0-2 | 1-5 |
5. 선수
릴레스트룀 SKno의 선수단은 2024년 7월 17일[10] 기준으로 현재 선수 명단과 코칭 스태프, 그리고 과거 주요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시즌 이적에 관해서는 2023-24 겨울 이적을 참조하면 된다.
직책 | 이름 |
---|---|
감독 | 한스 에릭 외데고르 |
골키퍼 코치 | 프레드릭 베스트고르 |
피트니스 코치/물리 치료사 | 게이르 코세네 |
물리 치료사 | 에릭 크빈 |
분석 팀장 | 안드레 셸란데르 |
스포츠 코디네이터 | 토르 아르네 솔베르그 |
멘탈 코치 | 메테 로셀란드 |
팀 닥터 | 폴 예론 후스비 |
영양사 | 안드레 바우만 |
스카우트 | 에스펜 올센 |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7월 17일 기준)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비고 |
---|---|---|---|---|
1 | GK | 스테판 하게루프 | ||
2 | DF | 라르스 레인저 | ||
3 | DF | 마르틴 오베 로세스 | ||
4 | DF | 에스펜 가르나스 | ||
5 | DF | 모하나드 제흐제 | ||
6 | MF | 베브요른 호프 | ||
7 | FW | 일드렌 이브라히마이 | ||
8 | MF | 마리우스 룬데모 | ||
9 | FW | 야비르 압디하킴 알리 | 베스테로스에서 임대 | |
10 | FW | 토마스 레네 올센 | ||
11 | DF | 프레데릭 엘케르 | ||
12 | GK | 마드스 헤덴스타드 크리스티안센 | ||
14 | FW | 마티스 볼리 | ||
15 | MF | 에를링 크누트손 | ||
16 | MF | 우바 찰스 | ||
17 | MF | 에릭 키톨라노 | ||
18 | MF | 어거스트 칼린 | ||
19 | DF | 크리스토페르 톤네센 | ||
20 | FW | 펠릭스 바 | ||
21 | MF | 마르쿠스 카를스바크 | ||
22 | FW | 엘리아스 솔베르그 | ||
23 | MF | 예르문드 오센 | ||
28 | DF | 루벤 가브리엘센 | 주장 | |
29 | GK | 요르겐 스베인하우그 | ||
30 | DF | 산데르 모엔 포스 | ||
31 | GK | 올리버 페테르센 | 몰데에서 임대 | |
33 | FW | 모크타르 디오프 | ||
37 | MF | 레안드로 네토 | ||
38 | FW | 알렉산더 뢰싱-레레시트 | ||
43 | FW | 마르쿠스 베일러 | ||
55 | MF | 케빈 크리gård | ||
64 | DF | 에릭 라르손 | ||
77 | DF | 루카스 스베닝센 |
5. 2. 유명 선수
6. 라이벌
볼레렝가 포트발은 릴레스트룀의 가장 큰 라이벌이다. 로젠보르그 BK와도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스트룀멘 IF는 릴레스트룀 SK가 창단된 시점부터 이어져 온 전통적인 지역 라이벌이다.[2]
7. 팬
릴레스트룀은 노르웨이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클럽 중 하나이며, 공식 팬클럽인 카나리판센은 5,0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며 노르웨이에서 두 번째로 큰 팬클럽이다.[1] 카나리판센은 1992년 12월 3일에 창립되었으며, 자체 잡지와 의류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Åråsen Stadion
https://www.lsk.no/o[...]
Lillestrøm SK
2016-12-04
[2]
웹사이트
Lillestrøm
http://www.lsk.no/?a[...]
[3]
웹사이트
Lillestrøm
http://www.lsk.no/?a[...]
[4]
웹사이트
Tom Nordlie trekker seg – P4 – 29.05.08
http://www.p4.no/sto[...]
[5]
웹사이트
VG Live
http://vglive.no/#fr[...]
[6]
웹사이트
VG Live
http://vglive.no/#fr[...]
[7]
웹사이트
Haglund er LSKs nye hovedtrener
http://www.vg.no/spo[...]
Verdens Gang
2011-11-23
[8]
웹사이트
- Har ikke opplevd lignende i Norge
http://www.nettavise[...]
Nettavisen
2012-04-04
[9]
웹사이트
VG Live
http://vglive.no/#fr[...]
[10]
웹사이트
Lag / Lillestrøm
http://www.lsk.no/la[...]
Lillestrøm SK
[11]
웹사이트
Fra Stabæk til Lillestrøm: Ordinas ny utviklingsleder
http://www.lsk.no/ny[...]
[12]
웹사이트
Åråsen Stadion
https://www.lsk.no/o[...]
Lillestrøm SK
2016-12-04
[13]
문서
Lillestrøm SK - Treningstider - LSKs ukeprogram
http://www.lsk.no/?a[...]
[14]
문서
Lillestrøm SK - Historikk - LSKs historie
http://www.lsk.no/?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