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링크 팜은 검색 엔진 최적화(SEO) 전문가들이 검색 엔진의 링크 인기도에 의존하는 점을 이용하여 개발한 기술로, 여러 웹사이트들이 서로 링크를 걸어 검색 결과 순위를 조작하는 행위를 말한다. 1999년 잉크토미 검색 엔진을 시작으로 구글의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에 대응하기 위해 발전해 왔으나, 검색 엔진의 대응과 기술 발전으로 인해 유용성이 감소하고 스팸덱싱 전략으로 간주된다. 사설 블로그 네트워크(PBN)는 링크 팜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구글은 PBN을 타겟팅하여 검색 순위 조작을 방지하고 있다. 현재 주요 검색 엔진들은 링크 팜 사용을 권장하지 않으며, 관련 사이트에 페널티를 부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팸 - 화이트리스트
화이트리스트는 특정 대상만 허용하고 나머지는 차단하는 접근 제어 목록으로, 정보보안, 무역,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목록 선정 기준의 불명확성, 사회적 문제점 등의 위험성으로 투명하고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 스팸 - 스핑
- 검색 엔진 최적화 - 전환율
- 검색 엔진 최적화 -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는 사용자의 검색어에 대한 결과 페이지로, 자연 검색 결과와 유료 광고를 포함하며, 검색 엔진들은 다양한 기능을 통해 검색 결과를 강화하고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링크 팜 | |
---|---|
링크 팜 정보 | |
유형 | 검색 엔진 최적화 기술 |
목적 | 검색 엔진 결과에서 특정 웹사이트의 순위를 인위적으로 높임 |
설명 | 상호 참조를 통해 웹사이트 순위를 올리는 그룹 일반적으로 품질이 낮은 사이트 간에 이루어짐 검색 엔진 최적화 (SEO)에 악영향 |
특징 | |
링크 구조 | 여러 웹사이트가 서로 연결 웹사이트 소유자가 서로 합의하여 구축 |
콘텐츠 품질 | 일반적으로 품질이 낮고 관련성이 떨어지는 콘텐츠 포함 |
검색 엔진 인식 | 검색 엔진은 링크 팜을 스팸 행위로 간주하고 처벌 |
검색 엔진의 대응 | |
알고리즘 업데이트 | 링크 팜을 식별하고 처벌하기 위한 알고리즘 업데이트 (예: 구글의 펭귄 업데이트) |
수동 검토 | 검색 엔진은 수동 검토를 통해 링크 팜을 식별하고 색인에서 제거 |
윤리적 문제 | |
검색 결과 조작 |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는 것을 방해 |
웹 생태계 악영향 | 품질이 낮은 콘텐츠 확산 및 신뢰성 저하 |
2. 역사
1999년 검색 엔진 최적화(SEO) 전문가들이 잉크토미 검색 엔진의 링크 인기도 의존성을 이용하여 링크 팜을 처음 개발했다. 잉크토미는 여러 독립적이지만 인기 있는 검색 엔진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링크 팜을 통한 조작의 대상이 되었다. 당시 가장 인기 있던 검색 서비스인 야후! 또한 잉크토미의 검색 결과를 사용했다.
구글 검색 엔진이 인기를 얻으면서, 검색 엔진 최적화 전문가들은 구글의 순위 알고리즘이 페이지랭크라는 링크 가중치 체계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링크 팜은 회원 페이지의 페이지랭크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조정되었다.[2][3]
그러나 링크 팜은 서비스에 가입하여 유입 링크를 받은 후 발신 링크를 숨기거나, 사이트에 링크를 전혀 게시하지 않는 부도덕한 웹마스터에 의해 조작될 수 있었다. 링크 팜 관리자는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품질 관리를 구현하고 회원들의 규칙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해야 했다.
상호 링크 파트너를 식별하고 링크 교환을 제안하는 템플릿 기반 이메일을 보내며, 웹사이트에 디렉토리와 같은 링크 페이지를 만들어 링크 인기도와 페이지랭크를 구축하려는 링크 찾기 소프트웨어 등 대안적인 링크 팜 제품이 등장했다. 이러한 링크 팜은 때때로 스팸덱싱 전략으로 간주된다.
검색 엔진은 링크 팜 페이지와 관련된 특정 속성을 식별하고 해당 페이지를 검색 엔진 색인 및 검색 결과에서 필터링하여 링크 팜 운동에 대응했다. 경우에 따라 검색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도메인이 검색 엔진 색인에서 제거되기도 했다.
2. 1. 초기 역사 (잉크토미와 야후!)
1999년, 검색 엔진 최적화(SEO) 전문가들이 잉크토미(Inktomi) 검색 엔진의 링크 인기도 기반 순위 알고리즘을 악용하기 위해 링크 팜을 처음 개발했다. 당시 잉크토미는 두 개의 색인을 유지했는데, 링크가 적은 페이지는 기본 색인에서 제외되어 검색 결과에 표시되지 않았다. 잉크토미는 야후! 등 여러 인기 검색 엔진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링크 팜은 온라인 비즈니스 웹사이트의 순위를 안정시키는 데 활용되었다.[2][3]2. 2. 구글 페이지랭크와 링크 팜의 변화
구글 검색 엔진이 인기를 얻으면서, 페이지랭크라는 링크 가중치 체계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구글의 순위 알고리즘이 주목받게 되었다.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은 모든 유입 링크를 동일하게 계산하지 않고, 일부 링크에 더 많은 가중치를 할당했다. 링크 팜은 회원 페이지의 페이지랭크를 높이기 위해 이러한 체계에 맞게 조정되었다.[2][3]하지만, 일부 부도덕한 웹마스터들은 링크 팜 서비스에 가입하여 유입 링크를 받은 후, 발신 링크를 숨기거나 아예 게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악용했다. 이에 링크 팜 관리자들은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품질 관리를 도입하고, 회원들이 규칙을 잘 지키는지 감시해야 했다.
2. 3. 검색 엔진의 대응과 링크 팜의 쇠퇴
검색 엔진은 링크 팜 페이지와 관련된 특정 속성을 식별하고 해당 페이지를 검색 엔진 색인 및 검색 결과에서 필터링하여 링크 팜에 대응했다.[2] 경우에 따라 검색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도메인이 검색 엔진 색인에서 제거되기도 했다.[2]검색 엔진이 색인하는 사이트 수가 증가하면서 링크 팜의 유용성은 감소했다.
3. 블로그 네트워크 (PBN)
사설 블로그 네트워크(PBN)는 동일한 주체가 소유한 블로그 그룹을 의미한다. 블로그 네트워크는 느슨하게 연결된 블로그 그룹이거나, 동일한 회사에서 소유한 블로그 그룹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외부의 다른 사이트를 홍보하여, PBN이 링크하는 사이트의 온라인 광고에서 생성된 검색 엔진 순위 또는 광고 수익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2014년 9월, 구글은 수동 조치 순위 페널티를 통해 사설 블로그 네트워크(PBN)를 타겟팅했다.[4] 이는 검색 엔진 최적화 및 온라인 마케터가 PBN을 사용하여 온라인 순위를 높이는 것을 단념시키는 역할을 했다. "얇은 콘텐츠" 경고는 팬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얇은 콘텐츠와 페이지 내 품질에 초점을 맞춘다. PBN은 구글의 타겟팅 대상이 된 역사가 있으므로 가장 안전한 옵션이 아닐 수 있다. 구글이 블로그 네트워크를 찾고 있기 때문에 항상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블로그를 상호 연결하면 구글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노출된 단일 블로그는 아웃바운드 링크를 살펴보는 것만으로 전체 블로그 네트워크를 드러낼 수 있다.
블로그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계정을 생성하고 자체 블로그를 사용할 수 있는 워드프레스와 같은 중앙 웹사이트를 지칭할 수도 있다. 생성된 블로그는 다른 모든 면에서 완전히 자율적일 수 있지만, 메인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 또는 하위 폴더를 사용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는 호스팅된 블로그 플랫폼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무료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호스팅된 블로그 네트워크는 웹 개발의 두 번째 단계가 부상하면서 더 인기를 얻었기 때문에 웹 2.0 네트워크라고도 한다.
4. 평가 및 가이드라인
검색 엔진 기술의 발전으로 링크 팜의 유용성은 감소했으며, 현재는 스팸덱싱 전략으로 간주된다. 구글, 야후!, 빙 등 주요 검색 엔진은 링크 팜 사용을 권장하지 않으며, 페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2][3][4]
구글은 웹마스터에게 "적절한" 링크를 권장하며, 링크 팜 참여를 자제할 것을 권고한다. 구글에 따르면, 링크 팜에 참여하는 사이트의 페이지랭크는 페널티로 인해 낮아질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ink farming
https://www.webopedi[...]
www.webopedia.com
2013-06-16
[2]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Growing Your Business with Google
https://books.google[...]
Penguin
[3]
서적
An Introduction to Search Engines and Web Navig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
웹사이트
Google Targets Sites Using Private Blog Networks With Manual Action Ranking Penalties
http://searchenginel[...]
2015-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