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콩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콩속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 속이다. 말콩속에는 말콩을 포함하여 여러 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기재된 식물 - 말콩
    말콩은 열대 남부 아시아 원산의 콩과 다년생 덩굴 식물로, 가뭄에 강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자라며 작물, 사료, 녹비 등으로 활용되고 씨앗은 영양소가 풍부하여 전통 의약 및 요리에 사용된다.
  • 1970년 기재된 식물 - 시파루나과
    시파루나과는 속씨식물 과의 하나로, Glossocalyx 벤담과 시파루나속을 하위 분류로 두며, APG IV 분류 체계를 비롯한 APG 계통 분류 체계에서는 목련군 녹나무목에 속하는 과로 분류된다.
  • 강낭콩족 -
    칡은 동아시아가 원산지인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약재로, 녹말은 갈분으로, 어린 싹과 꽃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북미 지역에서는 유해 식물로 지정되어 관리된다.
  • 강낭콩족 - 콩속
    콩속은 28종으로 구성된 식물 속이며, 아속 글리신과 아속 소야로 나뉘고 콩과 돌콩이 포함되며, 분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말콩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말콩
말콩 콩
학명Macrotyloma
명명자(Wight & Arn.) Verdc. 1970
말콩속
속명 라틴어 표기Macrotyloma
이명Kerstingiella Harms 1908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콩목
콩과
아과콩아과
강낭콩족
종 수약 24종
모식종말콩 (M. uniflorum (Lam.) Verdc.)

2. 하위 종

(내용 없음)

2. 1. 주요 종

말콩속에는 여러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 말콩(''M. uniflorum'')이 한국에서 주로 알려져 있고 재배되기도 한다.

2. 1. 1. 말콩 (''M. uniflorum'')

말콩(''M. uniflorum'' (Lam.) Verdc.)은 한국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말콩속 식물이다.

2. 1. 2. 기타 종

종명 (학명)
말콩 (M. uniflorum (Lam.) Verdc.)
M. africanum (Brenan ex R.Wilczek) Verdc.
M. axillare (E.Mey.) Verdc.
M. bieense (Torre) Verdc.
M. biflorum (Schumach. & Thonn.) Hepper
M. brevicaule (Baker) Verdc.
M. ciliatum (J.G.Klein ex Willd.) Verdc.
M. coddii Verdc.
M. daltonii (Webb) Verdc.
M. decipiens Verdc.
M. densiflorum (Welw. ex Baker) Verdc.
M. dewildemanianum (R.Wilczek) Verdc.
M. ellipticum (R.E.Fr.) Verdc.
M. fimbriatum (Harms) Verdc.
M. geocarpum (Harms) Maréchal & Baudet
M. hockii (De Wild.) Verdc.
M. maranguense (Taub.) Verdc.
M. oliganthum (Brenan) Verdc.
M. prostratum Verdc.
M. rupestre (Welw. ex Baker) Verdc.
M. schweinfurthii Verdc.
M. stenophyllum (Harms) Verdc.
M. stipulosum (Welw. ex Baker) Verdc.
M. tenuiflorum (Micheli) Verdc.


2. 2. 추가 정보


  • 말콩(''M. uniflorum'')
  • ''M. africanum''
  • ''M. axillare''
  • ''M. bieense''
  • ''M. biflorum''
  • ''M. brevicaule''
  • ''M. ciliatum''
  • ''M. coddii''
  • ''M. daltonii''
  • ''M. decipiens''
  • ''M. densiflorum''
  • ''M. dewildemanianum''
  • ''M. ellipticum''
  • ''M. fimbriatum''
  • ''M. geocarpum''
  • ''M. hockii''
  • ''M. maranguense''
  • ''M. oliganthum''
  • ''M. prostratum''
  • ''M. rupestre''
  • ''M. schweinfurthii''
  • ''M. stenophyllum''
  • ''M. stipulosum''
  • ''M. tenuiflorum''

참조

[1] 간행물 Origin, evaluation and use of Macrotyloma as a forage - a review http://www.tropicalg[...] Tropical Grasslands 1993
[2] 간행물 Kew Bulletin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