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지컬 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지컬 트리는 플레이어가 인디언 용사 고정관념에 기반한 캐릭터를 조작하여 마법의 나무를 오르는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덩굴, 사다리를 이용해 가지를 오르며 유충, 올빼미, 번개를 피하고, 사과, 화살, 단검, 작은 왕관을 모아 점수를 얻는다. 총 10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 스테이지에 도달하면 주인공 아파치의 부모님을 만나 엔딩을 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무를 소재로 한 작품 - 호텔 델루나
    호텔 델루나는 tvN 드라마로, 귀신 손님만 받는 호텔 델루나에서 엘리트 호텔리어가 괴팍한 사장과 함께 호텔을 운영하며 벌어지는 이야기이며 이지은과 여진구가 출연하여 호텔과 관련된 미스터리와 비밀을 풀어나간다.
  • 나무를 소재로 한 작품 - 오 탄넨바움
    오 탄넨바움은 16세기 민요 멜로디에 1824년 에른스트 안쉬츠가 가사를 붙여 탄생한 독일 크리스마스 캐럴로, 전나무의 충실함을 노래하다 크리스마스 노래로 변화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불리고 적기가 등 여러 노래의 멜로디로도 사용된다.
  • 1984년 비디오 게임 - 가라테카
    가라테카는 2D 플랫폼과 격투 게임 요소를 결합, 이름 없는 주인공이 아쿠마의 요새에서 마리코 공주를 구출하는 내용으로, 혁신적인 연출과 애니메이션으로 호평받아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고 리메이크되기도 한 비디오 게임이다.
  • 1984년 비디오 게임 - 마블 매드니스
    마블 매드니스는 1984년 아타리 게임즈에서 개발한 아이소메트릭 3D 플랫폼 아케이드 게임으로, 트랙볼로 구슬을 조작하여 제한 시간 내에 코스를 완주하는 독특한 조작 방식, 추상적인 코스 디자인, FM 음원 사운드트랙으로 호평을 받으며 여러 플랫폼에 이식되고 구슬 굴리기 게임에 영향을 주었다.
  • MSX 게임 - 갤러가
    갤러가는 1981년 남코에서 개발한 고정형 슈팅 아케이드 게임으로, 전투기를 조종해 적기를 격추하고 보스 갤러가의 트랙터 빔을 이용한 이중 전투기 시스템과 다양한 적 패턴, 보너스 스테이지가 특징이며 아케이드 게임 황금기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MSX 게임 - 성전사 단바인
    《성전사 단바인》은 1983년 일본에서 방영된 로봇 애니메이션으로, 중세 판타지 세계관과 곤충형 메카닉을 결합하여 오라력과 오라 머신을 활용한 전투를 그린다.
매지컬 트리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표지
개발사코나미
배급사코나미
플랫폼MSX, 윈도우
출시일MSX:
윈도우:
장르플랫폼
모드1인용, 2인용
제목 정보
한국어 제목매지컬 트리
로마자 표기Majikaru tsurī

2. 등장인물

매지컬 트리는 크게 주인공과 주인공의 부모님으로 나뉜다.


  • 아파치
  • 아파치의 엄마
  • 아파치의 아빠

2. 1. 주인공

이름설명
아파치이 게임의 플레이어이며 주인공이다.[1]


2. 2. 가족

의 가족은 주인공인 아파치와 그의 부모님으로 구성된다.

  • '''아파치''': 이 게임의 플레이어이자 주인공이다.
  • '''아파치의 엄마'''
  • '''아파치의 아빠'''

3. 게임 플레이

매지컬 트리는 나무를 타고 올라가면서 올빼미, 유충, 번개 등의 적과 장애물을 피하고 아이템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나무의 높이는 2004m이며, 총 10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테이지는 고유한 배경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난이도는 점차 높아진다.

3. 1. 조작 방법

플레이어는 황갈색 조끼와 바지를 입고 깃털이 달린 머리띠를 한 "인디언 용사" 고정관념 캐릭터를 조작한다. 유충, 올빼미, 번개를 피해 가지에서 가지로 뛰어다니고 덩굴과 사다리를 오르내리며 마법의 나무를 오른다. 점프하여 가지에 매달릴 수도 있다. 사과, 화살, 단검, 작은 왕관을 모아 점수를 얻는다.

나무의 높이는 2004m이다. 게임 화면의 게이지는 플레이어의 고도를 나타내며, 각 레벨이 끝날 때마다 나무 꼭대기의 성까지 얼마나 더 올라가야 하는지 알려준다. 게임은 9개의 게임 레벨로 나뉘어 있으며, 각 레벨이 끝날 때마다 플레이어 캐릭터는 춤을 춘다.

3. 2. 아이템

매지컬 트리의 아이템을 얻는 방법은 나무의 큰 구멍에 사과를 넣는 것이며, 큰 구멍이 내뿜는 색에 따라 나오는 아이템이 다르다.

색깔아이템
검정방해꾼 벌레 (작은 구멍에서 나옴)
파랑200점짜리 다이아몬드
하양400점짜리 다이아몬드
초록600점짜리 다이아몬드



점수는 최대 3000점까지 낼 수 있는 아이템이 있으며 파워업은 없다. 점수를 하나씩 쌓으면 플레이어의 목숨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가급적 보물 아이템을 획득하는 것이 좋다. 점수를 얻을 수 있는 아이템으로는 사과, 화살, 단검, 작은 왕관이 있다.

3. 3. 적

매지컬 트리에는 스테이지마다 중간 보스 4명이 등장한다.

  • '''올빼미''': 작은 구멍에서 갑자기 튀어나와 이리저리 날아다닌다. 튀어나오기 전에 눈을 깜빡이며 사과로 퇴치할 수 있다.
  • '''거대 애벌레''': 덩굴 줄기 끝에서 오르락내리락한다. 가끔 덩굴을 탈 때 매우 빠른 속도로 플레이어를 쫓아오기도 하는데, 이때는 재빨리 옆으로 점프해서 피해야 한다.
  • '''방해꾼 벌레''': 큰 구멍이 검은색일 때 사과를 넣거나 1주차 후반부, 또는 2주차 이상일 때 작은 구멍에서 갑자기 튀어나와 돌발 상황을 연출하기도 한다. 나뭇가지를 기어다니면서 점프를 할 수도 있으며, 사과를 떨어뜨려 퇴치할 수 있다.
  • '''번개구름''': 번개를 떨어뜨려 공격한다. 구름 자체에는 아무런 판정이 없다는 점이 다른 적들과 다르다. 번개구름은 번개를 떨어뜨리기 전에 몸에서 여러 가지 색으로 빛나기 때문에 이를 잘 보면 피할 수 있다. 번개구름에게 번개 공격을 당하면 플레이어의 실수로 간주되어 플레이어의 목숨(잔기)이 줄어들고 스테이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3. 4. 스테이지 구성

매지컬 트리는 총 10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 제1스테이지: 매지컬 트리의 첫 번째 스테이지로, 푸른색 하늘을 배경으로 굵은 나무줄기가 화면을 가로지르는 모양이다. 나무줄기는 지형 판정이 없고, 나무 가지만 지형 판정이 있다. 간혹 사다리가 있으며, 덩굴이 있는 줄기로 점프하면 덩굴을 탈 수 있다. 줄기 양쪽을 건너는 것도 가능하며, 스테이지 끝에 다다르면 U자 모양으로 갈라져 양쪽 방향으로 나뉜다. 이 사다리를 타면 제2구간으로 진입한다. 첫 스테이지이므로 난이도는 낮다.

  • 제2스테이지: 매지컬 트리의 두 번째 스테이지로, 화면 양쪽이 뒤엎어진다. 제1구간과 달리 나무줄기도 지형 판정을 받는다. 제2구간에서는 명랑한 음악이 사라지고 음산한 음악이 나오며 번개구름도 등장한다. 이 점을 제외하면 제1구간과 큰 차이점이 없으며, 제2구간이 끝나는 부분부터 갈라졌던 줄기가 U자형으로 다시 합쳐지고 양쪽에 사다리가 있다. 이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면 제3구간으로 진입한다. 배경색은 초록색으로, 낮에서 저녁으로 넘어가는 분위기를 표현한다.

  • 제3스테이지: 매지컬 트리의 세 번째 스테이지로, 제1구간과 거의 동일하나 화면이 베이지색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저녁으로 접어드는 시간대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 제4스테이지: 매지컬 트리의 네 번째 스테이지로, 제2구간과 큰 차이점은 없으나 화면이 회색이다. 제4구간을 벗어나면 화면을 뒤엎는 거대한 문이 있는데, 올라가자마자 이 문이 열리면서 스테이지가 완료된다.

  • 제5스테이지: 매지컬 트리의 다섯 번째 스테이지. 이 스테이지와 8, 9스테이지는 제3구간과 제4구간이 없고 제2구간만 지나면 스테이지가 완료된다. 제5스테이지의 제2구간은 제4스테이지의 제3구간과 제4구간을 합친 길이와 같다. 8스테이지의 제2구간은 1스테이지의 제2, 3, 4구간 높이를 합친 것과 같다. 9스테이지는 제1스테이지의 제1, 2, 3구간을 합친 것보다 약간 낮으며, 제2구간은 제1스테이지의 제3, 4구간을 합친 길이와 비슷한 높이다. 모두 밤을 배경으로 한다.

  • 제6스테이지: 매지컬 트리의 여섯 번째 스테이지. 제4스테이지와 비슷하나 화면이 베이지색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밤이 끝나고 새벽이 오는 분위기를 표현한다.

  • 제7스테이지: 매지컬 트리의 일곱 번째 스테이지. 제3스테이지와 제4스테이지를 합친 느낌이다. 화면은 회색으로 변한다. 주인공이 새벽과 아침, 낮을 넘어 다음 날 저녁때까지 고생한 느낌을 표현한다.

  • 제8스테이지: 매지컬 트리의 여덟 번째 스테이지. 제5스테이지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 스테이지와 다음 스테이지인 제9스테이지는 제3구간과 제4구간이 없다. 단, 제2구간이 매우 길며 이 스테이지부터 난이도가 높다. 9스테이지와 함께 다음 날 밤이 배경이다.

  • 제9스테이지: 매지컬 트리의 아홉 번째 스테이지. 제3구간과 제4구간은 없지만 제1구간과 제2구간이 길다. 마지막에 다다랐기에 난이도도 높으며, 다음 날 밤이 주 배경이다. 이 스테이지를 넘기면 마지막 스테이지이자 엔딩을 볼 수 있는 10스테이지가 기다린다.

  • 제10스테이지: 대망의 마지막 스테이지. 이곳에서 주인공인 아파치 소년의 부모님이 기다린다. 끝까지 올라온 아들을 엄마와 아빠가 기특해하며, 아들은 춤을 추는 것으로 엔딩이 마무리된다.


엔딩 스테이지인 제10스테이지는 2004m로, 부르즈 할리파 빌딩의 2배가 넘는 매우 높은 높이를 자랑한다.

4. 엔딩

스테이지를 모두 마치고 10스테이지 정상에 오르면 주인공인 아파치소년의 부모님이 웃으며 아들인 아파치 소년을 맞이해준다.[1] 가족과 상봉하면서 "축하합니다" 문구가 뜨며, 다시 스테이지 1부터 시작해 난이도가 높아진 채 다시 시작하기도 한다.[1]

플레이어가 아홉 번째 레벨을 클리어하면 커튼이 열리면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성이 나타난다.[1] 성의 치성벽 참호에서 미소짓는 것은 보라색 옷을 입은 젊은 여성과 전쟁 모자를 쓴 남자이다.[1] 엔딩 시퀀스 후, 게임은 나무 밑동에서 계속된다.[1]

5. 평가 및 기타

이제 나온 지 30년도 넘긴 고전 오락이지만, 당대 어린이들에겐 최고의 명작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