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시에 95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95(M95)는 피에르 메샹이 1781년 3월 20일에 M96과 함께 발견한 천체이다. 샤를 메시에, 존 허셜, 스미스, 로스 경 등이 관측 기록을 남겼다. 2012년에는 IIP형 초신성 SN2012aw가 발견되었고, 초신성 발생 직전의 M95 사진이 촬영되어 초기 상태 관측이 가능했다. M95는 M96과 40' 떨어져 있으며, 쌍안경으로는 희미하게 관측되고, 망원경으로 관측하려면 하늘 조건과 망원경 구경에 따라 관측 난이도가 달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96 은하군 - 메시에 105
    사자자리에 위치한 메시에 105는 렌즈형 은하와 유사한 막대 나선 은하로, 사자자리 은하단의 구성원이며 초대질량 블랙홀과 특이한 가스 원반, 늙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 가능하다.
  • M96 은하군 - 메시에 96
    사자자리에 위치한 메시에 96은 우리 은하와 유사한 크기와 질량을 가진 이중 막대 나선 은하로, M96 은하군에서 가장 밝으며, 비대칭 구조, LINER 2형 활동, Ia형 초신성 SN 1998bu로 인해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천왕성
    천왕성은 태양계 일곱 번째 행성으로, 가스 행성 중 가장 가볍고 밀도가 낮으며, 암석 핵, 얼음 맨틀, 수소와 헬륨 대기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98도 기울어진 자전축, 낮은 내부 열, 희미한 고리, 비대칭적인 자기장, 27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109
    메시에 109는 큰곰자리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로, 메시에 목록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M109 그룹의 가장 밝은 은하이고, 위성 은하를 거느리고 있으며 초신성 SN 1956A가 관측되었다.
  • 사자자리 -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뮤는 사자자리에 위치한 K형 적색 거성으로, 라살라스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2014년에 외계 행성 사자자리 뮤 b가 발견되었다.
  • 사자자리 - K2-18b
    K2-18b는 지구에서 124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K2-18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대기 중 수증기, 메탄, 이산화탄소, 다이메틸 설파이드가 검출되었으며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메시에 95
기본 정보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메시에 95
허블 우주 망원경 이미지
이름메시에 95
다른 이름NGC 3351
UGC 5850
PGC 32007
별자리사자자리
적색 편이778 ± 4 km/s
거리3,260만 ± 140만 광년 (1,000만 ± 40만 파섹)
겉보기 등급9.7
시직경3′.1 × 2′.9
참고NGC 3351
UGC 5850
PGC 32007
특징
유형SB(r)b (막대 나선 은하)
별 형성률태양 질량/년
발견
발견일1781년 3월 20일
발견자피에르 메샹
발견 방법망원경 관측
식별
기타 명칭NGC 3351
위치 정보
위치사자자리
추가 정보
참고 문헌https://books.google.com/books?id=g-P7dCbB5MEC&pg=PA1
https://messier.seds.org/m/m095.html
외부 링크https://www.eso.org/public/images/potw1935a/

2. 관측 역사

왼쪽이 M95, 오른쪽이 M96


M95와 M96은 40' 떨어져 있어 저배율에서 같은 시야에 들어온다. M95는 쌍안경으로 극히 희미하게 보인다. 구경 10cm의 망원경으로도 하늘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중심부와 주변의 확산부가 희미하게 보이는 정도이다. 막대 나선 구조의 팔을 확실히 확인하려면 구경 50cm 정도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2. 1. 발견과 초기 관측

피에르 메샹이 1781년 3월 20일에 M96과 함께 발견했다.

샤를 메시에는 "53번 별 위에 있는 별이 없는 성운. 미광"이라고 기록했고, 존 허셜은 "밝고 크며 둥글다. 중앙에 핵이 있으며, 서서히 밝아지고 있다"고 했다. 스미스는 "시야의 N과 S 사이에 단 두 개의 별이 있는 맑고 흰색을 띤 성운. 성운은 둥글고 밝으며 북쪽보다 남쪽이 더 뚜렷하다"고 했으며, 로스 경은 "두 개의 타원형. 중심부는 아마 분해될 수 있다"고 했다.

2012년 3월 16일에는 IIP형 초신성 "SN2012aw"가 발견되었다. 우연히 초신성이 발생하기 직전의 M95 사진이 촬영되어 초신성의 초기 상태 관측이 가능했다.

2. 2. 후속 관측

피에르 메샹은 1781년 3월 20일에 M96과 함께 메시에 95를 발견했다.

샤를 메시에는 "53번 별 위에 있는 별이 없는 성운. 미광"이라고 기록했고, 존 허셜은 "밝고 크며 둥글다. 중앙에 핵이 있으며, 서서히 밝아지고 있다"고 했다. 스미스는 "시야의 N과 S 사이에 단 두 개의 별이 있는 맑고 흰색을 띤 성운. 성운은 둥글고 밝으며 북쪽보다 남쪽이 더 뚜렷하다"고 기록했다. 로스 경은 "두 개의 타원형. 중심부는 아마 분해될 수 있다"고 했다.

2012년 3월 16일, IIP형 초신성 "SN2012aw"가 발견되었다. 초신성이 발생하기 직전의 M95 사진이 우연히 촬영되어 초신성의 초기 상태 관측이 가능했다.

2. 3. 초신성 SN2012aw 발견

피에르 메샹은 M96과 함께 1781년 3월 20일에 이 천체를 발견했다.

2012년 3월 16일, IIP형 초신성 SN2012aw가 발견되었다. 초신성이 발생하기 직전의 M95 사진이 우연히 촬영되어, 초신성의 초기 상태 관측이 가능했다.

3. 특징



M95와 M96은 40' 떨어져 있어 저배율에서 같은 시야에 들어온다. M95는 쌍안경으로 극히 희미하게 보이며, 구경 10cm의 망원경으로도 하늘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중심부와 주변의 확산부가 희미하게 보이는 정도이다. 막대 나선 구조의 팔을 확실히 확인하려면 구경 50cm 정도의 망원경이 필요하다.[1]

3. 1. 형태와 구조



M95와 M96은 40' 떨어져 있어 저배율에서 같은 시야에 들어온다. M95는 쌍안경으로 극히 희미하게 보인다. 구경 10cm의 망원경으로도 하늘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중심부와 주변의 확산부가 희미하게 보이는 정도이다. 막대 나선 구조의 팔을 확실히 확인하려면 구경 50cm 정도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3. 2. 관측 방법

M96과 M95는 40' 떨어져 있어 저배율에서 같은 시야로 관측할 수 있다. M95는 쌍안경으로 극히 희미하게 보인다. 구경 10cm의 망원경으로도 하늘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중심부와 주변의 확산부가 희미하게 보이는 정도이다. 막대 나선 구조의 팔을 확실히 확인하려면 구경 50cm 정도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7-10-03
[2] 논문 Measuring Distances and Probing the Unresolved Stellar Populations of Galaxies Using Infrared Surface Brightness Fluctuations 2003
[3] 웹사이트 Messier 95 https://messier.seds[...] 2022-04-30
[4] 서적 Atlas of Galax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논문 Nuclear Star-forming Structures and the Starburst–Active Galactic Nucleus Connection in Barred Spirals NGC 3351 and NGC 4303 1997
[6] 간행물 Kinematics of gas and stars in the circumnuclear star-forming ring of NGC3351 2007-06
[7] 웹사이트 Deep Sky Videos https://www.youtube.[...] 2012-03-19
[8] 웹사이트 Supernova 2012aw: the pictures! http://blogs.discove[...] 2012-03-19
[9] 웹사이트 List of Recent Supernovae http://www.cbat.eps.[...] 2012-04-08
[10] 간행물 The Long-lived UV "Plateau" of SN 2012aw 2013-02
[11] 간행물 The disappearance of the progenitor of SN 2012aw in late-time imaging 2016-02
[12] 서적 Nearby Galaxies Catalo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13] 논문 Groups of galaxies within 80 Mpc. II – The catalogue of groups and group members 1992
[14] 논문 General study of group membership. II – Determination of nearby groups 1993
[15] 논문 Nearby Optical Galaxies: Selection of the Sample and Identification of Groups 2000
[16] 웹사이트 Caught in the act https://www.eso.org/[...] 2019-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