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개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몰개속(Squalidus)은 잉어과에 속하는 물고기 속이다. 이 속에는 다양한 종이 있으며, 주요 종으로는 S. argentatus, S. atromaculatus, S. banarescui, S. chankaensis, S. gracilis, S. homozonus, S. iijimae, S. intermedius, S. japonicus, S. mantschuricus, S. minor, S. multimaculatus, S. nitens, S. wolterstorffi 등이 있다. 한국에는 몰개, 참몰개, 긴몰개, 점몰개 등이 서식하며, 이들은 생태학적 가치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몰개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학명 | Squalidus |
명명자 | Dybowski, 1872 |
모식종 | Squalidus chankaensis |
모식종 명명자 | Dybowski, 1872 |
이명 | Parasqualidus Doi, 2000 Sinigobio Chu, 1934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잉어목 |
과 | 잉어과 |
아과 | 모래무지아과 |
속 | 몰개속 (Squalidus) |
속 명명자 | Dybowski, 1872 |
종 정보 | |
하위 | 본문 참조 |
FishBase 속 | Squalidus, 2013년 1월 |
2. 하위 종
몰개속(''Squalidus'')에는 여러 종이 속한다.
학명 | 명명자 | 한국어 명칭 |
---|---|---|
S. argentatus | (소바주 & 다브리 드 티에르상, 1874) | 참갈겨니 |
S. atromaculatus | (니콜스 & C. H. 포프, 1927) | 점줄갈겨니 |
S. banarescui | I. S. Chen & Y. C. Chang, 2007 | |
S. chankaensis | 디보브스키, 1872 | 잉어 |
S. c. biwae | (조던 & 스나이더, 1900) | |
S. c. chankaensis | 디보브스키, 1872 | |
S. c. tsuchigae | 참몰개 | |
S. gracilis | (템밍크 & 슐레겔, 1846) | 민물개구리 |
S. g. gracilis | (템밍크 & 슐레겔, 1846) | |
S. g. majimae | (조던 & C. L. Hubbs, 1925) | 긴몰개 |
S. homozonus | (귄터, 1868) | 줄납자루 |
S. iijimae | (오시마, 1919) | |
S. intermedius | (니콜스, 1929) | |
S. japonicus | (소바주, 1883) | |
S. j. coreanus | (L. S. Berg, 1906) | 몰개 |
S. j. japonicus | (소바주, 1883) | |
S. mantschuricus | (T. 모리, 1927) | |
S. minor | (하라다, 1943) | |
S. multimaculatus | K. 호소야 & S. R. 전, 1984 | 점몰개 |
S. nitens | (귄터, 1873) | |
S. wolterstorffi | (리건, 1908) |
이 중 한국에 서식하는 종은 몰개, 참몰개, 긴몰개, 점몰개이다.
2. 1. 주요 종
학명 | 명명자 | 한국어 명칭 |
---|---|---|
S. argentatus | (소바주 & 다브리 드 티에르상, 1874) | 참갈겨니 |
S. atromaculatus | (니콜스 & C. H. 포프, 1927) | 점줄갈겨니 |
S. banarescui | I. S. Chen & Y. C. Chang, 2007 | |
S. chankaensis | 디보브스키, 1872 | 잉어 |
S. c. biwae | (조던 & 스나이더, 1900) | |
S. c. chankaensis | 디보브스키, 1872 | |
S. c. tsuchigae | 참몰개 | |
S. gracilis | (템밍크 & 슐레겔, 1846) | 민물개구리 |
S. g. gracilis | (템밍크 & 슐레겔, 1846) | |
S. g. majimae | (조던 & C. L. Hubbs, 1925) | 긴몰개 |
S. homozonus | (귄터, 1868) | 줄납자루 |
S. iijimae | (오시마, 1919) | |
S. intermedius | (니콜스, 1929) | |
S. japonicus | (소바주, 1883) | |
S. j. coreanus | (L. S. Berg, 1906) | 몰개 |
S. j. japonicus | (소바주, 1883) | |
S. mantschuricus | (T. 모리, 1927) | |
S. minor | (하라다, 1943) | |
S. multimaculatus | K. 호소야 & S. R. 전, 1984 | 점몰개 |
S. nitens | (귄터, 1873) | |
S. wolterstorffi | (리건, 1908) |
2. 2. 한국 서식 종
몰개 (''S. j. coreanus'') (Berg, 1906)[1]참몰개 (''S. c. tsuchigae'')
긴몰개 (''S. g. majimae'') (D. S. Jordan & C. L. Hubbs, 1925)
점몰개 (''S. multimaculatus'') Hosoya & S. R. Jeon,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