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꾸리광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꾸리광이속은 다양한 종을 포함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한국에는 긴진들피, 대택광이 등 9종이 자생한다. 이외에도 여러 종이 존재하며, 한국 자생종 외에도 국외 자생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0년 기재된 식물 - 단향과
    단향과는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통합된 약 1,000종의 식물을 포함하는 큰 과로, 숙주 식물에 기생하는 특징을 가지며, 열대부터 온대, 건조 지역까지 넓게 분포하고, 한국에는 겨우살이 등이 자생한다.
  • 1810년 기재된 식물 - 마과
    마과는 약 9속 825종을 포함하는 속씨식물 과로, 마속을 비롯한 여러 속이 속하며 식용 및 약재로 사용되고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재배된 구황작물이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미꾸리광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학명Glyceria
학명 명명R.Br.
모식종G. fluitans (L.) R.Br.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목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아과포아풀아과
쌀새족
하위 분류
하위 링크
하위본문 참조
이명
기타
외부 링크Atlas of Living Australia, Glyceria R.Br., Sweetgrass
Grass Manual Account

2. 하위 종

미꾸리광이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한국에도 자생한다. 자세한 종 목록은 아래 하위 분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한국 자생종

한국에는 다음과 같은 미꾸리광이속 식물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2. 국외 자생종


  • 긴진들피 ''G. arundinacea'' Kunth
  • 대택광이 ''G. spiculosa'' (J.A.Schmidt) Roshev. ex B.Fedtsch.
  • 두메미꾸리광이 ''G. alnasteretum'' Kom.
  • 뜬미꾸리광이 ''G. fluitans'' (L.) R.Br.
  • 왕미꾸리광이 ''G. leptolepis'' Ohwi
  • 유럽육절보리풀 ''G. declinata'' Bréb.
  • 육절보리풀 ''G. acutiflora'' Torr.
  • 진들피 ''G. ischyroneura'' Steud.
  • 총전광이(검정진들피) ''G. lithuanica'' (Gorski) Gorski
  • ''G.'' × ''amurensis'' Prob.
  • ''G. arkansana'' Fernald
  • ''G. australis'' C.E.Hubb.
  • ''G. borealis'' (Nash) Batch.
  • ''G.'' × ''burdonii'' Druce
  • ''G. canadensis'' (Michx.) Trin.
  • ''G. caspia'' Trin.
  • ''G. chinensis'' Keng ex Z.L.Wu
  • ''G. colombiana'' Gir.-Cañas
  • ''G. depauperata'' Ohwi
  • ''G.'' × ''digenea'' Domin
  • ''G. drummondii'' (Steud.) C.E.Hubb.
  • ''G. elata'' (Nash) M.E.Jones
  • ''G. formosensis'' Ohwi
  • ''G.'' × ''gatineauensis'' Bowden
  • ''G. grandis'' S.Watson
  • ''G. insularis'' C.E.Hubb.
  • ''G.'' × ''jansenii'' P.Fourn.
  • ''G. latispicea'' (F.Muell.) F.Muell.
  • ''G.'' × ''laxa'' Scribn.
  • ''G. leptorhiza'' (Maxim.) Kom.
  • ''G. leptostachya'' Buckley
  • ''G. maxima'' (Hartm.) Holmb.
  • ''G. melicaria'' (Michx.) F.T.Hubb.
  • ''G. multiflora'' Steud.
  • ''G. nemoralis'' (R.Uechtr.) R.Uechtr. & Koern.
  • ''G. notata'' Chevall.
  • ''G. nubigena'' W.A.Anderson
  • ''G. obtusa'' (Muhl.) Trin.
  • ''G. occidentalis'' (Piper) J.C.Nelson
  • ''G. ovatiflora'' Keng ex Keng f.
  • ''G.'' × ''pedicellata'' F.Towns.
  • ''G. pulchella'' (Nash) K.Schum.
  • ''G. saltensis'' Sulekic & Rúgolo
  • ''G. septentrionalis'' Hitchc.
  • ''G. spicata'' Guss.
  • ''G. striata'' (Lam.) Hitchc.
  • ''G. tonglensis'' C.B.Clarke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서적 Prodromus Florae Novae Hollandiae 179 https://www.biodiver[...] 1810
[3]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213 甜茅属 tian mao shu Glyceria R. Brown, Prodr. 179. 1810. http://www.efloras.o[...]
[4]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genere Glyceria http://luirig.alterv[...]
[5] 웹사이트 Atlas of Living Australia, Glyceria R.Br., Sweetgrass https://web.archive.[...] 2015-03-27
[6] 웹사이트 Jepson Manual Treatment http://ucjeps.berkel[...]
[7]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Plants Profile http://plants.usda.g[...]
[8] 웹사이트 Grass Manual Account https://web.archive.[...] 2007-11-12
[9] 논문 Molecular insights into the taxonomy of Glyceria (Poaceae: Meliceae) in North America. https://archive.toda[...] 2007
[10] 논문 Variability of the ITS1-5.8 S rDNA-ITS2 sequence during the divergence of sweet-grass species (Glyceria R.Br.). https://link.springe[...] 2013
[1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search for Glyceria http://www.theplantl[...]
[12]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s http://bonap.net/NAP[...]
[13] 간행물 Synopsis of the mannagrass Glyceria (Poaceae). 2006
[14] 서적 Prodromus Florae Novae Hollandiae 179. https://www.biodiver[...] 1810
[15] 저널 Molecular insights into the taxonomy of Glyceria (Poaceae: Meliceae) in North America http://www.amjbot.or[...] 2007
[16] 저널 Variability of the ITS1-5.8S rDNA-ITS2 sequence during the divergence of sweet-grass species (Glyceria R. Br.) https://link.springe[...]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