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네소타 링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네소타 링크스는 1999년 창단된 WNBA 팀으로,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에 WNBA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여 최다 우승팀 타이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세이몬 오거스터스, 마야 무어, 실비아 파울스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4년에는 나피사 콜리어를 중심으로 팀을 재건하여 WNBA 커미셔너스 컵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타겟 센터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역대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네소타주의 농구팀 - 미네소타 머스키스
    미네소타 머스키스는 ABA 리그 창립과 함께 미네소타를 연고로 1967년부터 1968년까지 활동하며 동부 디비전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재정난으로 마이애미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농구 팀이다.
  • 미네소타주의 농구팀 -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는 1989년 창단하여 NBA에 합류한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연고의 프로 농구팀으로, 케빈 가넷, 앤드류 위긴스, 칼-앤서니 타운스 같은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04년과 2024년에 각각 서부 컨퍼런스 결승과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했다.
  • 199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KT 롤스터
    KT 롤스터는 1999년 12월 30일에 창단된 e스포츠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종목에서 활동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 199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윌크스배리/스크랜턴 펭귄스
    윌크스배리/스크랜턴 펭귄스는 1999년에 창단된 아메리칸 하키 리그의 아이스하키 팀으로, 피츠버그 펭귄스의 제휴팀이며, 모히건 선 아레나 앳 케이시 플래자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2023-24 시즌까지 AHL에서 활동한다.
  • 전미 여자 농구 협회 팀 - 뉴욕 리버티
    뉴욕 리버티는 1997년 WNBA 출범과 함께 창단되어 레베카 로보와 테레사 위더스푼을 중심으로 WNBA 파이널에 꾸준히 진출하며 강팀으로 자리매김했으나, 2024년에 미네소타 링크스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하기 전까지 준우승에 머물렀고, 브리아나 스튜어트 합류 후 공격력을 바탕으로 팀 경쟁력을 향상시켜 현재 바클레이스 센터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미국 여자 프로농구 리그의 팀이다.
  • 전미 여자 농구 협회 팀 - 애틀랜타 드림
    애틀랜타 드림은 2008년 창단된 WNBA 소속 프로 농구팀으로, 동부 컨퍼런스 우승 3회를 기록했으나 WNBA 파이널 우승은 아직 없으며, 2019년 브랜드를 변경했고 2021년 투자 그룹이 인수하여 현재 게이트웨이 센터 아레나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미네소타 링크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네소타 링크스 로고
미네소타 링크스 로고
리그WNBA
콘퍼런스서부
창단1999년
역사미네소타 링크스 (1999년~현재)
경기장타깃 센터
연고지미니애폴리스, 미네소타
상징색미드나잇 네이비 블루, 레이크 블루, 오로라 그린, 무늘라이트 그레이
스폰서메이요 클리닉
구단주글렌 테일러
알렉스 로드리게스
마크 로어
사장셰럴 리브
감독셰럴 리브
코치레베카 브런슨
일레인 파월
단장공석
웹사이트lynx.wnba.com
성적
리그 우승4회 (2011, 2013, 2015, 2017)
콘퍼런스 우승7회 (2011, 2012, 2013, 2015, 2016, 2017, 2024)
커미셔너스 컵 우승1회 (2024)
영구 결번
영구 결번 선수13, 23, 32, 33, 34
유니폼
Heroine
Explorer
Rebel

2. 역사

1999년 확장 드래프트로 창단된 미네소타 링크스는 2003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06년 WNBA 드래프트에서 세이모네 어거스터스를 지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 이후 링크스는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에 WNBA 파이널 우승을 차지하며, '''역대 최다 타이인 총 4회 우승'''을 기록했다.

2. 1. 창단 및 초기 (1998–2004)

1998년 4월 22일, 여자 농구 협회(WNBA)는 1999년 시즌에 두 개의 확장 팀(미네소타 링크스와 올랜도 미라클)을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1998년 12월 5일, 팀은 공식적으로 미네소타 링크스로 명명되었다. 1999년 창단 시즌, 링크스는 디트로이트 쇼크와의 첫 정규 시즌 경기를 타겟 센터에서 12,122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시작했다. 링크스는 프랜차이즈 첫 경기에서 디트로이트를 68-51로 꺾었다. 첫 시즌과 2000년 시즌 모두 15승 17패를 기록했다.

2001년에는 12승 20패로 부진했다.

초대 감독인 브라이언 에글러는 3시즌 이상 동안 47승 67패의 기록을 세운 후 2002년 시즌 중에 해고되었다. 하이디 반더비어가 시즌 잔여 기간 동안 임시 감독을 맡았다. 팀은 2002 시즌을 프랜차이즈 역사상 최악의 기록인 10승 22패로 마쳤다(2006년까지).

2003년, 링크스는 수지 매코넬-세리오를 감독으로 고용했다. 그녀는 팀을 이끌고 프랜차이즈 역대 최고 기록인 18승 16패를 달성했으며, WNBA 플레이오프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2004년 시즌에도 같은 성적을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1]

2. 2. 세이모네 어거스터스 합류 (2005–2007)

2005년 시즌 전, 링크스는 핵심 선수인 케이티 스미스디트로이트 쇼크로 보내고, 디트로이트 쇼크로부터 세이몬 어거스터스를 데려오는 트레이드를 단행했다.[1] 2006년 WNBA 드래프트에서 링크스는 전체 1순위로 세이몬 어거스터스를 지명했다.[4]

2006년 시즌 중반, 수지 매코넬-세리오 감독이 사임하고, 캐롤린 젠킨스가 임시 감독으로 부임했다.[1] 그러나 팀은 10승 22패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며, 2002년 이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1]

2007년 시즌을 앞두고, 돈 지어든이 새로운 감독으로 부임했다.[1] 2007년 드래프트에서 여러 신인 선수들을 영입했지만, 팀은 2년 연속 10승 24패의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1]

2. 3. 결과 없는 뜨거운 시작 (2008–2009)

2008년 시즌 초반 미네소타 링크스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후반에 부진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09년에는 돈 지어든 감독이 사임하고 제니퍼 길럼이 감독으로 승진했다.

2. 4. 새로운 팀과 첫 챔피언십 (2010–2011)

2010년, 미네소타 링크스는 체릴 리브를 감독으로 임명했다. 리브 감독은 선수단을 개편하고 새로운 선수들을 영입하며 팀의 경쟁력을 높였다.

2011년 WNBA 드래프트에서 링크스는 전체 1순위로 마야 무어를 지명했다. 마야 무어의 합류는 링크스가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는 강력한 전력을 갖추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같은 해, 링크스는 정규 시즌을 27승 7패라는 좋은 성적으로 마무리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후 WNBA 파이널에 진출, 애틀랜타 드림을 꺾고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다. 세이모네 어거스터스는 파이널에서 맹활약하며 MVP에 선정되었다.[10]

2. 5. 추가 챔피언십으로 가는 길 (2012–2017)

2012년 시즌, 미네소타 링크스는 27승 7패로 리그 최고 승률을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인디애나 피버와의 WNBA 파이널에서 패배했다.[22]

2013년, 링크스는 26승 8패의 뛰어난 성적으로 정규 시즌을 마무리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 애틀랜타 드림을 꺾고 WNBA 파이널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마야 무어가 파이널 MVP로 선정되었다.[22]

2014년에는 1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피닉스 머큐리에게 패배하여 탈락했다.[22]

2015년, 실비아 파울스를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한 링크스는 정규 시즌을 22승 12패로 마감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 인디애나 피버를 꺾고 통산 세 번째 WNBA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파울스는 파이널 MVP에 선정되었다.[22]

2016년, 링크스는 28승 6패라는 프랜차이즈 최고 기록을 세우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와의 WNBA 파이널에서 접전 끝에 패배했다.[22]

2017년, 링크스는 다시 한번 WNBA 파이널에 진출하여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를 꺾고 통산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실비아 파울스는 다시 한번 파이널 MVP로 선정되었다.[22]

2. 6. 왕조의 종말 (2018–2022)

2018년, 팀의 핵심 선수였던 린제이 웰런이 은퇴하면서 미네소타 링크스 왕조의 종말이 시작되었다.[25] 웰런의 은퇴와 함께 로스터 노쇠화가 진행되었고, 결국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하지만 2019년에는 나피사 콜리어가 신인상을 수상하며 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26] 2020년에도 크리스탈 댄저필드가 신인상을 수상하며 젊은 선수들의 성장이 이어졌다. 그러나 팀 성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왕조 시절의 영광을 재현하지는 못했다. 2022년, 또 다른 핵심 선수였던 실비아 파울스마저 은퇴하면서 링크스의 왕조 시대는 완전히 막을 내리게 되었다.[25]

2. 7. 콜리어 시대 (2023–현재)

2023년, 미네소타 링크스는 나피사 콜리어를 중심으로 팀을 재건하기 시작했다. 2024년, 미네소타 링크스는 WNBA 커미셔너스 컵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나피사 콜리어는 MVP로 선정되었다. 또한, 마야 무어의 등번호가 영구 결번되었다.

3. 홈 경기장

미네소타 링크스의 홈경기장인 타깃 센터


미네소타 링크스는 1999년 창단 이후 타깃 센터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해왔다. 타깃 센터미네소타 팀버울브스의 홈 경기장이기도 하다. 2016년과 2017년에는 타깃 센터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엑셀 에너지 센터윌리엄스 아레나를 임시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

3. 1. 역대 홈 경기장



경기장사용기간수용인원장소비고
타깃 센터1999년~2016년
2018년~현재
19,356명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현재 NBA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의 홈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음.
엑셀 에너지 센터2016년~2017년17,854명미네소타주 세인트폴2016년 플레이오프 세미파이널 2경기를 홈 경기로 사용함.
타깃 센터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2017시즌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함.
윌리엄스 아레나2017년14,625명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2017년 플레이오프 때 홈경기로 사용함.


4. 선수

케이티 스미스와 마야 무어는[2] 미네소타 링크스를 대표하는 선수들이다. 스미스는 1999년부터 2005년까지 포워드로 활약했으며, 2023년 FIB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무어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 포워드로 뛰면서 2024년에 FIBA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미네소타 링크스는 무어의 등번호 23번을 2024년 8월 24일에 영구 결번할 예정이다.

4. 1. 현재 선수 명단 (Roster)

2024년 미네소타 링크스 선수 명단
번호이름포지션신장생년월일경력출신 대학/국가
6브리짓 칼튼G/F약 1.83m1997-05-225년아이오와 주립 대학교CAN|캐나다영어
24나피사 콜리어F약 1.83m1996-09-235년코네티컷 대학교USA|미국영어
0올리비아 에푸파G약 1.52m1994-04-30루키FRA|프랑스프랑스어
2나타샤 하이데만G약 1.52m1997-02-105년마켓 대학교USA|미국영어
22마이샤 하인스-앨런F약 1.83m1996-05-306년루이빌 대학교USA|미국영어
14도르카 유하스G/F약 1.83m1999-12-181년코네티컷 대학교HUN|헝가리hu
21케일라 맥브라이드G약 1.52m1992-06-2510년노트르담 대학교USA|미국영어
1다이아몬드 밀러G약 1.83m2001-02-111년메릴랜드 대학교USA|미국영어
35앨리사 필리F약 1.83m2001-06-08루키유타USA|미국영어
8알라나 스미스F약 1.83m1996-09-105년스탠퍼드 대학교AUS|오스트레일리아영어
10코트니 윌리엄스G약 1.52m1994-05-118년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USA|미국영어


4. 2. 기타 보유 권리 선수

국적이름프로 경력최종 출전드래프트
프랑스마이아 허쉬0N/A2023


4. 3. FIBA 명예의 전당 헌액자

등번호이름포지션활동 기간헌액 연도
4테레사 에드워즈가드2003–20042013
20케이티 스미스포워드1999-20052023[1]
23마야 무어포워드2011-20182024[2]


4. 4. 영구 결번

번호선수포지션재임 기간영구 결번 지정일
13린지 웬가드2010–20182019년 6월 8일
23마야 무어포워드2011–20182024년 8월 24일
32레베카 브런슨파워 포워드2010–20182022년 7월 3일
33사이먼 오거스터스가드2006–20192022년 5월 29일
34실비아 파울스센터2015–20222023년 6월 11일


5. 구단 관계자

미네소타 링크스는 구단주, 감독, 단장, 코치 등 여러 관계자들의 노력으로 운영되고 있다.

글렌 테일러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구단주가 1999년부터 팀을 소유하고 있다. 감독과 단장은 다음과 같다.

감독재임 기간정규 시즌 성적플레이오프 성적
브라이언 에글러1998년 11월 17일 ~ 2002년 7월 16일48승 67패 (승률 .417)0승 0패 (승률 .000)
하이디 반더비어2002년 7월 16일 ~ 2002년 종료4승 9패 (승률 .308)0승 0패 (승률 .000)
수지 맥코넬 세리오2003년 1월 21일 ~ 2006년 7월 23일58승 67패 (승률 .464)1승 4패 (승률 .200)
캐롤린 젠킨스2006년 7월 23일 ~ 2006년 종료2승 9패 (승률 .182)0승 0패 (승률 .000)
돈 지어든2006년 12월 23일 ~ 2009년 6월 3일26승 42패 (승률 .382)0승 0패 (승률 .000)
제니퍼 길럼2009년 6월 3일 ~ 2009년 종료14승 20패 (승률 .412)0승 0패 (승률 .000)
체릴 리브2009년 12월 8일 ~ 현재330승 180패 (승률 .647)49승 28패 (승률 .636)



단장재임 기간
셰릴 리브2022년–현재



역대 코치로는 브라이언 에글러(1999–2002), 로저 그리피스(2003–2017), 셰릴 리브(2018–2022), 클레어 듀웰리어스(2022–2024)가 있으며, 2024년부터 현재까지는 공석이다.

5. 1. 구단주

글렌 테일러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구단주는 1999년부터 현재까지 미네소타 링크스의 구단주를 맡고 있다.

5. 2. 감독

미네소타 링크스 감독
이름시작종료시즌정규 시즌플레이오프
승률경기승률경기
브라이언 에글러1998년 11월 17일2002년 7월 16일44867.41711500.0000
하이디 반더비어2002년 7월 16일2002년 종료149.3081300.0000
수지 맥코넬 세리오2003년 1월 21일2006년 7월 23일45867.46412514.2005
캐롤린 젠킨스2006년 7월 23일2006년 종료129.1821100.0000
돈 지어든2006년 12월 23일2009년 6월 3일22642.3826800.0000
제니퍼 길럼2009년 6월 3일2009년 종료11420.4123400.0000
체릴 리브2009년 12월 8일현재15330180.6475104928.63677


5. 3. 단장

단장재임 기간
셰릴 리브2022년–현재


5. 4. 코치

코치재임 기간
브라이언 에글러1999–2002
로저 그리피스2003–2017
셰릴 리브2018–2022
클레어 듀웰리어스2022–2024
공석2024–현재


6. 시즌별 기록

미네소타 링크스는 WNBA 서부 컨퍼런스 소속으로, 1999년 창단되어 2023년까지 25시즌을 치렀다. 정규 시즌 통산 429승 399패(승률 .518)를 기록했으며, 플레이오프에는 14번 진출했다.

링크스는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에 WNBA 파이널에서 우승하여 총 4번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특히 2011년부터 2017년까지 7시즌 동안 4번 우승하며 리그를 대표하는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2012년과 2016년에는 WNBA 파이널 준우승을 차지했다.

창단 초기에는 하위권을 맴돌았으나, 2003년과 2004년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성장 가능성을 보였다. 이후 2011년부터 체릴 리브 감독의 지휘 아래 WNBA를 대표하는 강팀 중 하나로 성장했다.

6. 1. 시즌별 기록

하이디 반데르비어(4–9)20032003서부4위1816.529 컨퍼런스 준결승 (로스앤젤레스, 1–2)수지 매코넬-세리오20042004서부3위1816.529 컨퍼런스 준결승 (시애틀, 0–2)수지 매코넬-세리오20052005서부6위1420.412진출 실패수지 매코넬-세리오20062006서부7위1024.294진출 실패수지 매코넬-세리오(8–15)
캐롤린 젠킨스(2–9)20072007서부6위1024.294진출 실패돈 지어든20082008서부6위1618.471진출 실패돈 지어든20092009서부5위1420.412진출 실패제니퍼 길럼20102010서부5위1321.382진출 실패체릴 리브20112011서부1위277.794 컨퍼런스 준결승 (샌안토니오, 2–1)
컨퍼런스 결승 (피닉스, 2–0)
WNBA 파이널 (애틀랜타, 3–0)체릴 리브20122012서부1위277.794 컨퍼런스 준결승 (시애틀, 2–1)
컨퍼런스 결승 (로스앤젤레스, 2–0)
WNBA 파이널 (인디애나, 1–3)체릴 리브20132013서부1위268.765 컨퍼런스 준결승 (시애틀, 2–0)
컨퍼런스 결승 (피닉스, 2–0)
WNBA 파이널 (애틀랜타, 3–0)체릴 리브20142014서부2위259.735 컨퍼런스 준결승 (샌안토니오, 2–0)
컨퍼런스 결승 (피닉스, 1–2)체릴 리브20152015서부1위2212.647 컨퍼런스 준결승 (로스앤젤레스, 2–1)
컨퍼런스 결승 (피닉스, 2–0)
WNBA 파이널 (인디애나, 3–2)체릴 리브20162016서부1위286.824 준결승 (피닉스, 3–0)
WNBA 파이널 (로스앤젤레스, 2–3)체릴 리브20172017서부1위277.794 준결승 (워싱턴, 3–0)
WNBA 파이널 (로스앤젤레스, 3–2)체릴 리브20182018서부4위1816.529 1라운드 (로스앤젤레스, 0–1)체릴 리브20192019서부4위1816.529 1라운드 (시애틀, 0–1)체릴 리브20202020서부4위148.636 2라운드 (피닉스 1–0)
준결승 (시애틀, 0–3)체릴 리브20212021서부2위2210.688 2라운드 (시카고 0–1)체릴 리브20222022서부5위1422.389진출 실패체릴 리브20232023서부3위1921.475 1라운드 (코네티컷, 1–2)체릴 리브20242024서부1위3010.750 1라운드 (피닉스, 2–0)
준결승 (코네티컷, 3–2)
WNBA 파이널 (뉴욕, 2–3)체릴 리브


7. 통계

미네소타 링크스 주요 통계[1]
시즌개인 기록팀 vs 상대팀 기록
PPGRPGAPGPPGRPGFG%
1999B. 리드 (16.4)B. 리드 (6.0)소냐 테이트 (3.1)63.6 대 66.028.3 대 32.1.389 대 .425
2000K. 스미스 (20.2)B. 레녹스 (5.6)K. 스미스 (2.8)68.5 대 68.427.2 대 30.5.421 대 .429
2001K. 스미스 (23.1)S. 아브로시모바 (6.7)K. 페이 (3.0)64.9 대 67.431.3 대 31.8.371 대 .390
2002K. 스미스 (16.5)T. 윌리엄스 (7.4)T. 무어 (3.0)62.6 대 65.830.0 대 28.6.410 대 .413
2003K. 스미스 (18.2)T. 윌리엄스 (6.1)T. 에드워즈 (4.4)70.0 대 69.731.7 대 29.1.442 대 .425
2004K. 스미스 (18.8)T. 윌리엄스 (6.0)H. 달링 (3.5)63.7 대 64.431.1 대 30.5.404 대 .408
2005N. 올데 (11.2)N. 올데 (5.7)K. 해로우어 (2.8)65.0 대 67.330.1 대 31.0.412 대 .427
2006S. 오거스터스 (21.9)T. 윌리엄스 (5.6)A. 제이콥스 (3.4)74.2 대 80.433.6 대 35.4.427 대 .434
2007S. 오거스터스 (22.6)N. 올데 (6.1)N. 퀸 (4.4)77.5 대 80.934.8 대 32.9.412 대 .450
2008S. 오거스터스 (19.1)N. 아노시케 (6.8)L. 하딩 (3.2)81.4 대 80.033.7 대 35.6.430 대 .439
2009N. 아노시케 (13.2)N. 아노시케 (7.4)N. 아노시케 (2.7)80.3 대 83.132.0 대 34.3.420 대 .461
2010S. 오거스터스 (16.9)R. 브런슨 (10.3)L. 웰런 (5.6)78.7 대 82.135.2 대 34.9.397 대 .446
2011S. 오거스터스 (16.2)R. 브런슨 (8.9)L. 웰런 (5.9)81.5 대 73.636.5 대 30.1.461 대 .413
2012S. 오거스터스 (16.6)R. 브런슨 (8.9)L. 웰런 (5.4)86.0 대 76.237.8 대 30.9.473 대 .407
2013M. 무어 (18.5)R. 브런슨 (8.9)L. 웰런 (5.8)82.9 대 73.536.9 대 32.2.474 대 .405
2014M. 무어 (23.9)R. 브런슨 (8.2)L. 웰런 (5.5)81.6 대 77.235.2 대 32.6.467 대 .423
2015M. 무어 (20.6)S. 파울스 (8.3)L. 웰런 (4.2)75.5 대 71.735.3 대 33.1.441 대 .414
2016M. 무어 (19.3)S. 파울스 (8.5)M. 무어 (4.2)85.8 대 77.035.8 대 30.7.471 대 .417
2017S. 파울스 (18.9)S. 파울스 (10.4)L. 웰런 (4.1)85.4 대 74.235.2 대 30.2.478 대 .424
2018M. 무어 (18.0)S. 파울스 (11.9)D. 로빈슨 (3.3)78.9 대 78.335.3 대 31.1.451 대 .445
2019O. 심스 (14.5)S. 파울스 (8.9)O. 심스 (5.4)78.4 대 75.934.0 대 31.1.451 대 .434
2020C. 댕거필드 (16.2)S. 파울스 (9.7)C. 댕거필드 (3.6)84.4 대 80.634.4 대 30.9.456 대 .447
2021N. 콜리어 (16.2)S. 파울스 (10.1)L. 클라렌던 (5.7)82.7 대 78.734.9 대 32.5.458 대 .424
2022S. 파울스 & A. 파워스 (14.4)S. 파울스 (9.8)M. 제퍼슨 (4.9)82.4 대 83.936.9 대 32.4.450 대 .439
2023N. 콜리어 (21.5)N. 콜리어 (8.5)L. 앨런 (4.5)80.2 대 85.034.3 대 35.2.435 대 .446
2024N. 콜리어 (20.4)N. 콜리어 (9.7)C. 윌리엄스 (5.5)82.0 대 75.634.3 대 35.3.448 대 .410


7. 1. 주요 통계

미네소타 링크스 주요 통계[1]
시즌개인 기록팀 vs 상대팀 기록
PPGRPGAPGPPGRPGFG%
1999B. 리드 (16.4)B. 리드 (6.0)소냐 테이트 (3.1)63.6 대 66.028.3 대 32.1.389 대 .425
2000K. 스미스 (20.2)B. 레녹스 (5.6)K. 스미스 (2.8)68.5 대 68.427.2 대 30.5.421 대 .429
2001K. 스미스 (23.1)S. 아브로시모바 (6.7)K. 페이 (3.0)64.9 대 67.431.3 대 31.8.371 대 .390
2002K. 스미스 (16.5)T. 윌리엄스 (7.4)T. 무어 (3.0)62.6 대 65.830.0 대 28.6.410 대 .413
2003K. 스미스 (18.2)T. 윌리엄스 (6.1)T. 에드워즈 (4.4)70.0 대 69.731.7 대 29.1.442 대 .425
2004K. 스미스 (18.8)T. 윌리엄스 (6.0)H. 달링 (3.5)63.7 대 64.431.1 대 30.5.404 대 .408
2005N. 올데 (11.2)N. 올데 (5.7)K. 해로우어 (2.8)65.0 대 67.330.1 대 31.0.412 대 .427
2006S. 오거스터스 (21.9)T. 윌리엄스 (5.6)A. 제이콥스 (3.4)74.2 대 80.433.6 대 35.4.427 대 .434
2007S. 오거스터스 (22.6)N. 올데 (6.1)N. 퀸 (4.4)77.5 대 80.934.8 대 32.9.412 대 .450
2008S. 오거스터스 (19.1)N. 아노시케 (6.8)L. 하딩 (3.2)81.4 대 80.033.7 대 35.6.430 대 .439
2009N. 아노시케 (13.2)N. 아노시케 (7.4)N. 아노시케 (2.7)80.3 대 83.132.0 대 34.3.420 대 .461
2010S. 오거스터스 (16.9)R. 브런슨 (10.3)L. 웰런 (5.6)78.7 대 82.135.2 대 34.9.397 대 .446
2011S. 오거스터스 (16.2)R. 브런슨 (8.9)L. 웰런 (5.9)81.5 대 73.636.5 대 30.1.461 대 .413
2012S. 오거스터스 (16.6)R. 브런슨 (8.9)L. 웰런 (5.4)86.0 대 76.237.8 대 30.9.473 대 .407
2013M. 무어 (18.5)R. 브런슨 (8.9)L. 웰런 (5.8)82.9 대 73.536.9 대 32.2.474 대 .405
2014M. 무어 (23.9)R. 브런슨 (8.2)L. 웰런 (5.5)81.6 대 77.235.2 대 32.6.467 대 .423
2015M. 무어 (20.6)S. 파울스 (8.3)L. 웰런 (4.2)75.5 대 71.735.3 대 33.1.441 대 .414
2016M. 무어 (19.3)S. 파울스 (8.5)M. 무어 (4.2)85.8 대 77.035.8 대 30.7.471 대 .417
2017S. 파울스 (18.9)S. 파울스 (10.4)L. 웰런 (4.1)85.4 대 74.235.2 대 30.2.478 대 .424
2018M. 무어 (18.0)S. 파울스 (11.9)D. 로빈슨 (3.3)78.9 대 78.335.3 대 31.1.451 대 .445
2019O. 심스 (14.5)S. 파울스 (8.9)O. 심스 (5.4)78.4 대 75.934.0 대 31.1.451 대 .434
2020C. 댕거필드 (16.2)S. 파울스 (9.7)C. 댕거필드 (3.6)84.4 대 80.634.4 대 30.9.456 대 .447
2021N. 콜리어 (16.2)S. 파울스 (10.1)L. 클라렌던 (5.7)82.7 대 78.734.9 대 32.5.458 대 .424
2022S. 파울스 & A. 파워스 (14.4)S. 파울스 (9.8)M. 제퍼슨 (4.9)82.4 대 83.936.9 대 32.4.450 대 .439
2023N. 콜리어 (21.5)N. 콜리어 (8.5)L. 앨런 (4.5)80.2 대 85.034.3 대 35.2.435 대 .446
2024N. 콜리어 (20.4)N. 콜리어 (9.7)C. 윌리엄스 (5.5)82.0 대 75.634.3 대 35.3.448 대 .410


8. 미디어 освещение

미네소타 링크스 경기는 Bally Sports North 또는 Bally Sports North Plus에서 방송된다.[43] 텔레비전 경기 해설은 마니 겔너와 레아 B. 올슨이 담당한다. 링크스 경기는 KFAN에서 중계되며, 웬델 엡스가 라디오 경기를 중계한다(iHeartRadio 피드 포함).[44]

일부 링크스 경기는 ESPN, ESPN2, Ion Television, CBS, CBS Sports Network 및 ABC에서 전국적으로 방송된다.[45]

8. 1. 미디어 освещение

미네소타 링크스 경기는 Bally Sports North 또는 Bally Sports North Plus에서 방송된다.[43] 링크스 텔레비전 경기의 방송 해설자는 마니 겔너와 레아 B. 올슨이다. 링크스 경기는 KFAN에서 중계되며, 웬델 엡스가 라디오 경기를 중계한다(iHeartRadio 피드 포함).[44]

일부 링크스 경기는 ESPN, ESPN2, Ion Television, CBS, CBS Sports Network 및 ABC에서 전국적으로 방송된다.[45]

9. 역대 기록

미네소타 링크스는 1999년 창단 이후 WNBA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2010년대에 들어서는 강력한 왕조를 구축했다.

2003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이후, 링크스는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에 WNBA 파이널 우승을 차지하며 총 4번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이는 WNBA 역대 최다 우승 타이기록이다.[1]

'''역대 드래프트 지명 선수'''

역대 드래프트 지명 선수
연도라운드순위선수포지션국적대학교 / 이전 팀
1999
(확장 드래프트)
11브랜디 리드
13킴 윌리엄스
15옥타비아 블루
17아디아 반스
199917토냐 에드워즈
119트리샤 팰런
131안드레아 로이드
143소냐 테이트
149앤지 포토프
200015그레이스 데일리
16베티 레녹스
110메일라나 마틴
222말라 브럼필드
224키샤 디커슨
338필레샤 웨일리
200117스베틀라나 아브로시모바
223에린 부셰어
339톰비 벨
455메건 테일러
200216타미카 윌리엄스
238린지 메더
354샤론 프랜시스
2003
(마이애미 솔, 포틀랜드 파이어 해산 드래프트)
12셰리 샘
2003114테레사 에드워즈
229칼라 베넷
2004
(클리블랜드 로커스 해산 드래프트)
17헬렌 달링
200416니콜 올드
17바네사 헤이든
220타샤 버츠
333앰버 제이콥스
2005111크리스틴 맨
217재클린 바티스트
337모니크 비빈스
200611시몬 오거스터스
17쇼나 손번
331메건 더피
2007
(샬럿 스팅 해산 드래프트)
12탕겔라 스미스
200714노엘 퀸
215에샤야 머피
223브룩 스미스
224캐스린 레스
200813캔디스 위긴스
216니키 아노사이케
330샤드 휴스턴
2009
(휴스턴 코메츠 해산 드래프트)
14로니카 호지스
200914르네 몽고메리
19콴이트라 홀링스워스
215라샨다 매캔츠
330에밀리 폭
2010
(새크라멘토 모나크스 해산 드래프트)
12레베카 브런슨
201012모니카 라이트
13켈시 그리핀
226가브리엘라 마르지넨
201111마야 무어
14앰버 해리스
213제시카 브렐랜드
326카친 알렉산더
201213데브로 피터스
112다미리스 단타스
218줄리 보이타
219케일라 스탠디시
220니카 바리치
331재키 게멜로스
2013112린지 무어
214슈가 로저스
224처키 제프리
336왈티아 롤
2014112트리샤 리스턴
215아샤 버시
224크리스티나 포기
336아시아 테일러
2015216레샨다 그레이
335셰이 켈리
2016214재즈몬 과스메이
222바샤라 그레이브스
335테미 파그벤레
2017112알렉시스 존스
224리사 베르카니
336탈리아 투파에아
2018217박지수C대한민국KB 스타즈
224칼리아 로렌스
336칼리 와그너
201916나피사 콜리어
216제시카 셰퍼드
218나티샤 하이드먼
220시에라 딜라드
330케니샤 벨
202016미키아 허버트 해리건
216크리스탈 데인저필드
202119레니아 데이비스
2022222케일라 존스
328한나 셰르벤
202312다이아몬드 밀러
112마이아 허쉬
216도르카 유하스
224브리아 빌
328테일러 소울
202418알리사 필리
331키키 제퍼슨



'''역대 올스타'''

연도선수
1999토냐 에드워즈
2000베티 레녹스, 케이티 스미스
2001케이티 스미스
2002케이티 스미스
2003케이티 스미스
2004케이티 스미스
2005케이티 스미스
2006세이몬 오거스터스
2007세이몬 오거스터스
2008올스타전 없음
2009니키 아노시케, 찰데 휴스턴
2010레베카 브런슨, 린제이 웰런
2011세이몬 오거스터스, 레베카 브런슨, 마야 무어, 린제이 웰런
2012올스타전 없음
2013세이몬 오거스터스, 레베카 브런슨, 마야 무어, 린제이 웰런
2014세이몬 오거스터스, 마야 무어, 린제이 웰런
2015세이몬 오거스터스, 마야 무어, 린제이 웰런
2016올스타전 없음
2017세이몬 오거스터스, 레베카 브런슨, 실비아 파울스, 마야 무어
2018세이몬 오거스터스, 레베카 브런슨, 실비아 파울스, 마야 무어
2019나피사 콜리어, 실비아 파울스, 오디세이 심스
2020올스타전 없음
2021나피사 콜리어, 실비아 파울스
2022실비아 파울스
2023나피사 콜리어
2024나피사 콜리어, 케일라 맥브라이드



'''역대 올림픽 참가 선수'''

연도선수국적
2000년케이티 스미스United States|미국영어
크리스티 해로우어Australia|호주영어
애니 라플뢰르Australia|호주영어
2004년케이티 스미스United States|미국영어
크리스티 해로우어Australia|호주영어
누리아 마르티네즈España|스페인es
2008년시몬 오거스터스United States|미국영어
누리아 마르티네즈España|스페인es
2012년시몬 오거스터스United States|미국영어
마야 무어United States|미국영어
린지 웰렌United States|미국영어
레이첼 자리Australia|호주영어
다미리스 단타스Brasil|브라질pt
2016년안나 크루즈España|스페인es
시몬 오거스터스United States|미국영어
실비아 파울스United States|미국영어
마야 무어United States|미국영어
린지 웰렌United States|미국영어
레이첼 자리Australia|호주영어
2020년나피사 콜리어United States|미국영어
실비아 파울스United States|미국영어
브리짓 칼튼Canada|캐나다영어
나탈리 아촌와Canada|캐나다영어
2024년나피사 콜리어United States|미국영어
알라나 스미스Australia|호주영어
브리짓 칼튼Canada|캐나다영어



'''수상 내역'''

연도상 이름수상자포지션비고
2000올해의 신인상베티 레녹스가드
2000올-WNBA 세컨드 팀케이티 스미스포워드
2000올-WNBA 세컨드 팀베티 레녹스가드
2001올-WNBA 퍼스트 팀케이티 스미스포워드
2002올-WNBA 세컨드 팀케이티 스미스포워드
2003올-WNBA 퍼스트 팀케이티 스미스포워드
2004올해의 코치수지 맥코넬 세리오
2004킴 페롯 스포츠맨십 상테레사 에드워즈가드
2006올해의 신인상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2006년 WNBA 드래프트에서 지명
2006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06올-루키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07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08올해의 식스우먼캔디스 위긴스가드
2008올-루키 팀니키 아노시케센터
2008올-루키 팀캔디스 위긴스가드
2009올-디펜시브 퍼스트 팀니키 아노시케센터
2009올-루키 팀르네 몽고메리가드
2010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0올-루키 팀모니카 라이트가드
2011WNBA 파이널 MVP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1올해의 신인상마야 무어포워드
2011올해의 코치체릴 리브
2011올-WNBA 퍼스트 팀린제이 웰런가드
2011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1올-루키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1올-디펜시브 퍼스트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2피크 퍼포머 (어시스트)린제이 웰런가드
2012올-WNBA 퍼스트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2올-WNBA 세컨드 팀린제이 웰런가드
2012마야 무어포워드
2013WNBA 파이널 MVP마야 무어포워드
2013올-WNBA 퍼스트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3린제이 웰런가드
2013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3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4최우수 선수마야 무어포워드
2014피크 퍼포머 (득점)마야 무어포워드
2014올-WNBA 퍼스트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4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4린제이 웰런가드
2014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5WNBA 파이널 MVP실비아 파울스센터
2015올-WNBA 퍼스트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6올해의 수비 선수실비아 파울스센터
2016올해의 코치체릴 리브
2016올-WNBA 퍼스트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6올-WNBA 세컨드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16올-디펜시브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최우수 선수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올-WNBA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마야 무어포워드
2017올-디펜시브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WNBA 파이널 MVP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7마야 무어포워드
2018올-WNBA 세컨드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8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8실비아 파울스센터
2018피크 퍼포머 (리바운드)실비아 파울스센터
2019올해의 신인상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19올-WNBA 세컨드 팀오디세이 심스가드
2019올-루키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19올해의 임원체릴 리브
2020올해의 신인상크리스탈 댕거필드가드
2020올해의 코치체릴 리브
2020올-루키 팀크리스탈 댕거필드가드
2020올-WNBA 세컨드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0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1올해의 수비 선수실비아 파울스센터
2021올-디펜시브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21올-WNBA 세컨드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22피크 퍼포머 (리바운드)실비아 파울스센터
2022킴 페롯 스포츠맨십 상실비아 파울스센터
2022올-디펜시브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22올-WNBA 세컨드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23올-루키 팀다이아몬드 밀러포워드
2023도르카 유하스포워드
2023올-WNBA 퍼스트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4올해의 수비 선수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4올-디펜시브 퍼스트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4알라나 스미스포워드
2024올해의 코치체릴 리브
2024올해의 임원체릴 리브



'''실비아 파울스 이타주의 상'''

연도선수
2023나피사 콜리어
2024브리지트 칼턴


9. 1. 관중 기록

역대 정규 시즌 관중
연도평균최고최저매진연간 총 관중WNBA 경기 평균 관중
199910,494 (5위)14,1718,4570167,90110,207
20007,290 (12위)8,6225,8160116,6389,074
20017,538 (11위)10,4895,1680120,6079,075
20027,819 (11위)12,5445,0870125,1109,228
20037,074 (12위)12,7475,1130120,2538,800
20047,418 (11위)16,2274,1220126,1088,613
20056,673 (12위)12,8914,1900113,4478,172
20066,442 (12위)14,7934,7040109,5227,476
20076,971 (12위)13,0044,8910118,5137,742
20087,057 (12위)12,2764,7650119,9727,948
20097,537 (9위)11,2455,6200128,1278,039
20107,622 (8위)12,3115,9540129,5827,834
20118,447 (6위)11,8207,1170143,6077,954
20129,683 (2위)15,3187,8320164,6177,453
20139,381 (2위)16,4047,9130159,4837,531
20149,333 (2위)16,4137,6220158,6567,578
20159,364 (2위)17,4147,5230159,1897,184
20169,266 (4위)16,1327,2070157,5237,655
201710,407 (2위)17,8348,0330176,9197,716
201810,036 (2위)17,9337,8340170,6206,721
20199,069 (3위)17,9438,0010154,1796,535
2020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무관중으로 플로리다주 브레이든턴에서 시즌을 치렀다.
20212,696 (5위)3,6341,934043,1392,636
20227,444 (3위)12,1345,0440133,9885,679
20237,777 (4위)13,5316,5250155,5396,615
20249,292 (7위)19,0237,0102185,8329,807


9. 2. 경기장



경기장사용기간수용인원장소
타깃 센터1999년~2016년
2018년~현재
19,356명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엑셀 에너지 센터2016년~2017년17,854명미네소타주 세인트폴
윌리엄스 아레나2017년14,625명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미네소타 링크스는 타깃 센터를 1999년부터 2016년까지, 그리고 2018년부터 현재까지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엑셀 에너지 센터는 2016년 플레이오프 세미파이널 2경기와 2017년 시즌 임시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윌리엄스 아레나는 2017년 플레이오프 때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9. 3. 드래프트

역대 드래프트 지명 선수
연도라운드순위선수포지션국적대학교 / 이전 팀
1999
(확장 드래프트)
11브랜디 리드
13킴 윌리엄스
15옥타비아 블루
17아디아 반스
199917토냐 에드워즈
119트리샤 팰런
131안드레아 로이드
143소냐 테이트
149앤지 포토프
200015그레이스 데일리
16베티 레녹스
110메일라나 마틴
222말라 브럼필드
224키샤 디커슨
338필레샤 웨일리
200117스베틀라나 아브로시모바
223에린 부셰어
339톰비 벨
455메건 테일러
200216타미카 윌리엄스
238린지 메더
354샤론 프랜시스
2003
(마이애미 솔, 포틀랜드 파이어 해산 드래프트)
12셰리 샘
2003114테레사 에드워즈
229칼라 베넷
2004
(클리블랜드 로커스 해산 드래프트)
17헬렌 달링
200416니콜 올드
17바네사 헤이든
220타샤 버츠
333앰버 제이콥스
2005111크리스틴 맨
217재클린 바티스트
337모니크 비빈스
200611시몬 오거스터스
17쇼나 손번
331메건 더피
2007
(샬럿 스팅 해산 드래프트)
12탕겔라 스미스
200714노엘 퀸
215에샤야 머피
223브룩 스미스
224캐스린 레스
200813캔디스 위긴스
216니키 아노사이케
330샤드 휴스턴
2009
(휴스턴 코메츠 해산 드래프트)
14로니카 호지스
200914르네 몽고메리
19콴이트라 홀링스워스
215라샨다 매캔츠
330에밀리 폭
2010
(새크라멘토 모나크스 해산 드래프트)
12레베카 브런슨
201012모니카 라이트
13켈시 그리핀
226가브리엘라 마르지넨
201111마야 무어
14앰버 해리스
213제시카 브렐랜드
326카친 알렉산더
201213데브로 피터스
112다미리스 단타스
218줄리 보이타
219케일라 스탠디시
220니카 바리치
331재키 게멜로스
2013112린지 무어
214슈가 로저스
224처키 제프리
336왈티아 롤
2014112트리샤 리스턴
215아샤 버시
224크리스티나 포기
336아시아 테일러
2015216레샨다 그레이
335셰이 켈리
2016214재즈몬 과스메이
222바샤라 그레이브스
335테미 파그벤레
2017112알렉시스 존스
224리사 베르카니
336탈리아 투파에아
2018217박지수C대한민국KB 스타즈
224칼리아 로렌스
336칼리 와그너
201916나피사 콜리어
216제시카 셰퍼드
218나티샤 하이드먼
220시에라 딜라드
330케니샤 벨
202016미키아 허버트 해리건
216크리스탈 데인저필드
202119레니아 데이비스
2022222케일라 존스
328한나 셰르벤
202312다이아몬드 밀러
112마이아 허쉬
216도르카 유하스
224브리아 빌
328테일러 소울
202418알리사 필리
331키키 제퍼슨

9. 4. 올스타

연도선수
1999토냐 에드워즈
2000베티 레녹스, 케이티 스미스
2001케이티 스미스
2002케이티 스미스
2003케이티 스미스
2004케이티 스미스
2005케이티 스미스
2006세이몬 오거스터스
2007세이몬 오거스터스
2008올스타전 없음
2009니키 아노시케, 찰데 휴스턴
2010레베카 브런슨, 린제이 웰런
2011세이몬 오거스터스, 레베카 브런슨, 마야 무어, 린제이 웰런
2012올스타전 없음
2013세이몬 오거스터스, 레베카 브런슨, 마야 무어, 린제이 웰런
2014세이몬 오거스터스, 마야 무어, 린제이 웰런
2015세이몬 오거스터스, 마야 무어, 린제이 웰런
2016올스타전 없음
2017세이몬 오거스터스, 레베카 브런슨, 실비아 파울스, 마야 무어
2018세이몬 오거스터스, 레베카 브런슨, 실비아 파울스, 마야 무어
2019나피사 콜리어, 실비아 파울스, 오디세이 심스
2020올스타전 없음
2021나피사 콜리어, 실비아 파울스
2022실비아 파울스
2023나피사 콜리어
2024나피사 콜리어, 케일라 맥브라이드


9. 5. 올림픽 참가 선수

연도선수국적
2000년케이티 스미스United States|미국영어
크리스티 해로우어Australia|호주영어
애니 라플뢰르Australia|호주영어
2004년케이티 스미스United States|미국영어
크리스티 해로우어Australia|호주영어
누리아 마르티네즈España|스페인es
2008년시몬 오거스터스United States|미국영어
누리아 마르티네즈España|스페인es
2012년시몬 오거스터스United States|미국영어
마야 무어United States|미국영어
린지 웰렌United States|미국영어
레이첼 자리Australia|호주영어
다미리스 단타스Brasil|브라질pt
2016년안나 크루즈España|스페인es
시몬 오거스터스United States|미국영어
실비아 파울스United States|미국영어
마야 무어United States|미국영어
린지 웰렌United States|미국영어
레이첼 자리Australia|호주영어
2020년나피사 콜리어United States|미국영어
실비아 파울스United States|미국영어
브리짓 칼튼Canada|캐나다영어
나탈리 아촌와Canada|캐나다영어
2024년나피사 콜리어United States|미국영어
알라나 스미스Australia|호주영어
브리짓 칼튼Canada|캐나다영어


9. 6. 수상 내역

연도상 이름수상자포지션비고
2000올해의 신인상베티 레녹스가드
2000올-WNBA 세컨드 팀케이티 스미스포워드
2000올-WNBA 세컨드 팀베티 레녹스가드
2001올-WNBA 퍼스트 팀케이티 스미스포워드
2002올-WNBA 세컨드 팀케이티 스미스포워드
2003올-WNBA 퍼스트 팀케이티 스미스포워드
2004올해의 코치수지 맥코넬 세리오
2004킴 페롯 스포츠맨십 상테레사 에드워즈가드
2006올해의 신인상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2006년 WNBA 드래프트에서 지명
2006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06올-루키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07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08올해의 식스우먼캔디스 위긴스가드
2008올-루키 팀니키 아노시케센터
2008올-루키 팀캔디스 위긴스가드
2009올-디펜시브 퍼스트 팀니키 아노시케센터
2009올-루키 팀르네 몽고메리가드
2010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0올-루키 팀모니카 라이트가드
2011WNBA 파이널 MVP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1올해의 신인상마야 무어포워드
2011올해의 코치체릴 리브
2011올-WNBA 퍼스트 팀린제이 웰런가드
2011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1올-루키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1올-디펜시브 퍼스트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2피크 퍼포머 (어시스트)린제이 웰런가드
2012올-WNBA 퍼스트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2올-WNBA 세컨드 팀린제이 웰런가드
2012마야 무어포워드
2013WNBA 파이널 MVP마야 무어포워드
2013올-WNBA 퍼스트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3린제이 웰런가드
2013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3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4최우수 선수마야 무어포워드
2014피크 퍼포머 (득점)마야 무어포워드
2014올-WNBA 퍼스트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4올-WNBA 세컨드 팀세이몬 오거스터스가드
2014린제이 웰런가드
2014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5WNBA 파이널 MVP실비아 파울스센터
2015올-WNBA 퍼스트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6올해의 수비 선수실비아 파울스센터
2016올해의 코치체릴 리브
2016올-WNBA 퍼스트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6올-WNBA 세컨드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16올-디펜시브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최우수 선수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올-WNBA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마야 무어포워드
2017올-디펜시브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WNBA 파이널 MVP실비아 파울스센터
2017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7마야 무어포워드
2018올-WNBA 세컨드 팀마야 무어포워드
2018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레베카 브런슨포워드
2018실비아 파울스센터
2018피크 퍼포머 (리바운드)실비아 파울스센터
2019올해의 신인상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19올-WNBA 세컨드 팀오디세이 심스가드
2019올-루키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19올해의 임원체릴 리브
2020올해의 신인상크리스탈 댕거필드가드
2020올해의 코치체릴 리브
2020올-루키 팀크리스탈 댕거필드가드
2020올-WNBA 세컨드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0올-디펜시브 세컨드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1올해의 수비 선수실비아 파울스센터
2021올-디펜시브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21올-WNBA 세컨드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22피크 퍼포머 (리바운드)실비아 파울스센터
2022킴 페롯 스포츠맨십 상실비아 파울스센터
2022올-디펜시브 퍼스트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22올-WNBA 세컨드 팀실비아 파울스센터
2023올-루키 팀다이아몬드 밀러포워드
2023도르카 유하스포워드
2023올-WNBA 퍼스트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4올해의 수비 선수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4올-디펜시브 퍼스트 팀나피사 콜리어포워드
2024알라나 스미스포워드
2024올해의 코치체릴 리브
2024올해의 임원체릴 리브



미네소타 링크스는 1999년 확장 드래프트로 창단되어, 2003년 플레이오프에 처음 진출하였다. WNBA 파이널에서 역대 최다 타이인 총 4회(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 우승을 기록했다.

9. 7. 실비아 파울스 이타주의 상

연도선수
2023나피사 콜리어
2024브리지트 칼턴


참조

[1] 뉴스 Introducing The New Minnesota Lynx Logo http://lynx.wnba.com[...] NBA Media Ventures, LLC 2017-08-11
[2] 뉴스 Lynx New Icon Edition Uniforms, Court Design and App Revealed https://lynx.wnba.co[...] NBA Media Ventures, LLC 2018-04-12
[3] 웹사이트 Minnesota Lynx Reproduction and Usage Guideline Sheet https://mediacentral[...] WNBA Enterprises, LLC 2020-06-16
[4] 웹사이트 Lynx: Katie Smith's Milestone http://www.wnba.com/[...] Wnba.com 2013-03-22
[5] 웹사이트 Seimone Augustus Playerfile http://www.wnba.com/[...] WNBA.com 1984-04-30
[6] 웹사이트 Whalen propels Lynx past short-handed Sky – https://www.usatoday[...] Usatoday.com 2012-06-23
[7] 웹사이트 Maya Moore Playerfile http://www.wnba.com/[...] WNBA.com 1989-06-11
[8] 뉴스 Maya Moore making an impact on the Minnesota Lynx, WNBA https://www.washingt[...] 2018-06-18
[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sportspag[...] 2011-08-07
[10] 웹사이트 Lynx vs. Mercury WNBA Game Report http://www.wnba.com/[...] 2017-12-27
[11] 웹사이트 Lynx at Mercury Game Info – June 15, 2012 http://www.wnba.com/[...] WNBA.com 2013-03-22
[12] 웹사이트 2012 WNBA Finals Game 4 http://www.wnba.com/[...] WNBA.com 2013-03-22
[13] 웹사이트 http://www.wnba.com/[...]
[14] 웹사이트 Lynx sweep Dream, win second WNBA title in three seasons https://www.espn.com[...] 2014-03-07
[15] 웹사이트 2014 WNBA Standings http://www.wnba.com/[...] WNBA 2016-05-28
[16] 웹사이트 2014 WNBA Playoffs http://www.wnba.com/[...] 2016-05-28
[17] 뉴스 After Trade, Sylvia Fowles Helps Lynx Flourish https://www.nytimes.[...] 2016-05-28
[18] 웹사이트 Lynx race past Fever in Game 5 to capture 3rd title in 5 years https://www.espn.com[...] Associated Press 2016-05-28
[19] 웹사이트 Lynx to play 2017 home games at Xcel Energy Center http://www.startribu[...] 2017-12-27
[20] 웹사이트 Lynx Advance To Finals and Complete the Semi-Finals Sweep http://lynx.wnba.com[...] 2016-10-02
[21] 웹사이트 Lynx roar to WNBA history https://www.swishapp[...] 2017-12-27
[22] 뉴스 The Lynx's dynasty is over. So where does the team go from here? https://www.minnpost[...] MinnPost 2018-08-29
[23] 뉴스 Minnesota's Napheesa Collier Named 2019 WNBA Rookie of the Year https://www.wnba.com[...] NBA Media Ventures 2020-10-21
[24] 웹사이트 Crystal Dangerfield Named WNBA Rookie Of The Year https://www.wnba.com[...] 2020-10-21
[25] 웹사이트 Napheesa Collier's star keeps rising higher and higher https://www.thenexth[...] 2024-06-12
[26] 웹사이트 Napheesa Collier: The New Centerpiece of the Minnesota Lynx » Winsidr https://winsidr.com/[...] 2024-06-12
[27] 웹사이트 x.com https://twitter.com/[...] 2024-06-12
[28] 웹사이트 Carleton and Collier lead Minnesota to Commissioner's Cup title with 94-89 win over New York Liberty https://www.mprnews.[...] 2024-06-26
[29] AV media MVP Napheesa Collier Tries To Give Her Award To Teammate! {{!}} WNBA Commissioner's Cup, Minnesota Lynx https://www.youtube.[...] 2024-06-26
[30] 웹사이트 Lynx 90, Fever 80: Lynx Extend Streak, Clinch Playoff Berth on Maya Moore Night https://www.canishoo[...] 2024-08-25
[31] 뉴스 Nike Lands 8-Year Deal With NBA, WNBA, And D-League For On-Court Apparel https://www.forbes.c[...] 2018-06-18
[32] 뉴스 Nike's WNBA Uniforms are Built Specifically for the Game's Elite https://news.nike.co[...] Nike, Inc. 2018-05-02
[33] 뉴스 WNBA reveals Nike uniform designs in video https://www.swishapp[...] 2018-06-18
[34] 뉴스 Check Out the New WNBA Uniforms for the Landmark 20th Season http://www.wnba.com/[...] 2018-06-18
[35] 웹사이트 Minnesota Lynx Unveil New Uniforms https://lynx.wnba.co[...] 2024-05-27
[36] 웹사이트 Minnesota Lynx unveil jersey collection for 2021 WNBA season https://www.fox9.com[...] 2021-04-08
[37] 웹사이트 For the Lynx, 'Change Still Starts With Us" https://spokesman-re[...] 2023-06-22
[38] 웹사이트 Minnesota Lynx Unveil 2023 Rebel Edition Jerseys https://www.canishoo[...] 2023-06-01
[39] 웹사이트 Lynx: Community http://www.wnba.com/[...] Wnba.com 2013-03-22
[40] 웹사이트 4th annual Minnesota Lynx Catwalk for a Cure https://www.youtube.[...] Examiner.com 2012-08-26
[41] 웹사이트 Lynx: Community http://www.wnba.com/[...] Wnba.com 2013-10-09
[42] 웹사이트 Lynx Wear Pink For Breast Health Awareness http://www.wnba.com/[...] Wnba.com 2013-10-09
[43] 뉴스 Minnesota Lynx Announce 2021 Broadcast Schedule https://lynx.wnba.co[...] 2022-03-22
[44] 웹사이트 WNBA Fever Brings Minnesota Lynx Back To Radio https://radioink.com[...] 2024-10-12
[45] 뉴스 WNBA Extends TV Rights Deal with ESPN and ABC http://www.sportbusi[...] 2009-08-04
[46] 웹사이트 WNBA Announces Plan To Tip Off 2020 Season https://www.wnba.com[...] 2020-06-17
[47] 웹사이트 WNBA announces plans for 2020 season to start late July in Florida https://www.nbcsport[...] 2020-06-15
[48] 문서 시즌의 뒷 해로 표기. 2006-07 시즌의 경우 2007로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