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젤 S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젤 S반은 스위스, 독일, 프랑스 3개국에 걸쳐 운행되는 광역 철도 시스템이다. 총 357km의 철도 네트워크에 108개의 역과 정류장이 있으며, S1, S3, S9 노선은 스위스 연방 철도(SBB)에서, S5, S6 노선은 SBB의 독일 자회사에서, RB27, RB30 노선은 도이치반(DB)에서, TER 노선은 SNCF에서 운영한다. S1선과 S3선은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그 외 노선들은 운행 빈도가 다르다. 바젤 S반은 TriRegio, twn, RVL, RVF, TER 그랑 에스트 등의 통합 운임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바젤 시내를 관통하는 터널 건설을 포함하는 헤르츠슈튀크 바젤 프로젝트가 계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S반 - 레만 익스프레스
    레만 익스프레스는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 간 지역 철도 네트워크로, 레만 호수 주변 도시들을 연결하는 6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요금 체계를 적용하고, CEVA 철도 건설 등을 통해 2019년 현재의 네트워크를 완성하여 향후 네트워크 확장이 예상된다.
  • 스위스의 S반 - 취리히 S반
    취리히 S반은 스위스 취리히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 1990년 개통 이후 여러 차례의 확장을 거쳐 380km의 철도 네트워크를 갖추고 다양한 노선을 운행한다.
  • 독일의 S반 - 뮌헨 S반
    뮌헨 S반은 뮌헨 시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 S1부터 S8, S20까지 9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72년 뮌헨 올림픽을 계기로 개통되어 현재 제2 S반 터널 건설 등 미래 확장을 위한 계획이 진행 중이다.
  • 독일의 S반 - 뉘른베르크 S반
    뉘른베르크 S반은 뉘른베르크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 6개의 노선이 뉘른베르크 도시권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지역 대중교통 시스템과의 환승을 용이하게 한다.
바젤 S반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trireno 로고
trireno 로고
원어 명칭독일어: Trinationale S-Bahn Basel (트리나치오날레 에스반 바젤)
프랑스어: RER trinational de Bâle (RER 트리나치오날 드 발)
관할 지역바젤 광역권
운송 유형S반
운영 개시일1997년
웹사이트www.trireno.org
서비스 지역스위스 바젤 시, 바젤 도시, 아르가우주, 졸로투른주, 쥐라주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프랑스 그랑테스트
운영
운영자스위스 연방 철도, DB 레기오, TER 그랑테스트
역 수108
연간 수송량4,700만 명 (2019년)
노선 길이357 km
기술
노선도
바젤 S반 노선도
바젤 S반 노선도
기타

2. 운행

바젤 S반은 스위스, 독일, 프랑스 3개국에 걸쳐 운행되는 독특한 교외 철도 시스템이다. 이러한 국제적인 특성으로 인해 운행 패턴은 단순히 승객 수요뿐만 아니라 관련된 여러 국가 및 지방 정부의 정책과 결정에도 영향을 받는다. 노선별, 시간대별 운행 빈도는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이용객 수에 따라 조정된다. 일부 주요 구간에서는 여러 노선이 중첩 운행되어 열차 이용이 더 편리하며, 출퇴근 시간대 등 피크 타임에는 추가 열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2. 1. 운행 빈도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5개의 교외 철도 노선의 운행 빈도는 동일하지 않다. 바젤 S반은 스위스, 독일, 프랑스 3개국에 걸쳐 운행되기 때문에, 운행 패턴은 수요뿐만 아니라 관련된 다양한 국가 및 지방 정부의 결정에 영향을 받는다.

승객 수에 따른 노선별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구분노선운행 빈도 (일반)운행 빈도 (피크)비고
승객 많음S1 (바젤 SBB ↔ 슈타인-재킹겐)
S3 (올텐 ↔ 라우펜)
30분 간격30분 간격
승객 보통TER, RB30, RB27, S5, S61시간 간격30분 간격비피크 시간대와 주말에는 1시간 간격
승객 적음S1 (슈타인-재킹겐 ↔ 라우펜부르크/프리크)
S3 (라우펜 ↔ 포렌트루이)
S9
1시간 간격1시간 간격



일부 구간에서는 더 높은 빈도로 열차가 운행된다. 바젤 SBB와 프라텔른 사이, 그리고 뢰라흐-슈테텐과 슈타이넨 사이의 각 노선에서는 2개의 S반 서비스가 운행되어 15분 간격으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피크 시간대에는 추가 서비스가 운행되기도 한다.

2. 2. 노선

바젤 S반 노선도


2023년 12월 시간표 변경 기준으로, 바젤 S반은 다음과 같은 노선으로 운행된다.[2][5]

노선경로운행 국가운영 주체
S1바젤 SBB – 라인펠덴 – 슈타인-제킹엔 – 프리크 / 라우펜부르크스위스SBB
S3포랑트뤼들레몽라우펜바젤 SBB리슈탈 – 지사흐 – 올텐스위스SBB
S5바일 암 라인 – 뢰라흐 Hbf – 슈타이넨 (– 쇼프하임 – 첼 (비젠탈))독일SBB GmbH
S6바젤 SBB바젤 바트 Bf – 리헨 – 뢰라흐 Hbf – 슈타이넨 – 쇼프하임 – 첼 (비젠탈)스위스, 독일SBB GmbH
S9지사흐 – 로이펠핑겐 – 올텐스위스SBB
TER뮐루즈 – 바젤 SBB프랑스, 스위스SNCF Voyageurs (TER 그랑테스트)
RB27바젤 SBB – 뮐하임 (바덴) – 프라이부르크 (브라이스가우) Hbf스위스, 독일DB 레기오
RB30바젤 바트 Bf – 라인펠덴 (바덴) – 바트 제킹엔 – 라우펜부르크 (바덴) – 발트슈트 – 라우흐링겐 (– 에르칭겐 (바덴))스위스, 독일DB 레기오


  • S1, S3, S9 노선: 스위스 연방 철도(SBB)가 운영하며 스위스 내에서만 운행한다.
  • S5, S6 노선: SBB의 독일 자회사인 SBB GmbH가 운영한다. S5는 독일 내에서만, S6는 스위스와 독일 간을 운행한다.
  • RB27, RB30 노선: 도이치반(DB)의 통근 열차 부문인 DB 레기오가 운영하며, 스위스와 독일에서 운행한다. (RB는 독일어로 '지역 철도'를 의미하는 Regionalbahn|레기오날반de의 약자이다.)
  • TER 노선: 프랑스 국영 철도 회사 SNCF의 지역 철도 부문인 SNCF Voyageurs가 운영하며, TER 그랑테스트 네트워크의 일부로 스위스와 프랑스 간을 운행한다. (TER는 프랑스어로 '지역 고속 교통'을 의미하는 Transport express régional|트랑스포르 익스프레스 레지오날프랑스어의 약자이다.)


총 길이 357km의 철도 네트워크는 현재 108개의 역과 정류장을 포함하며, 이 중 47개는 스위스, 54개는 독일, 7개는 프랑스에 위치한다. 노선 중 가장 짧은 것은 S5(14km)이고, 가장 긴 것은 S3(106km)이다.

노선별 운행 빈도는 이용객 수 및 관련 국가/지방 정부의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다.

  • 30분 간격: 이용객이 많은 S1(바젤 SBB - 슈타인-제킹엔 구간)과 S3(올텐 - 라우펜 구간) 노선.
  • 피크 타임 30분 / 비 피크 및 주말 1시간 간격: 중간 정도의 이용객을 가진 TER, RB30, RB27, S5, S6 노선.
  • 1시간 간격: 이용객이 적은 S1(슈타인-제킹엔 - 라우펜부르크/프리크 구간), S3(라우펜 - 포랑트뤼 구간), S9 노선.


바젤 SBB와 프라텔른 사이, 그리고 뢰라흐-슈테텐과 슈타이넨 사이 구간에서는 각각 2개의 S반 노선이 운행되어 15분 간격으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추가 열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2. 3. 운영 주체

S1, S3, S9 노선은 스위스 연방 철도(SBB)가 운영하며 스위스 내에서만 운행한다.[2]

S5, S6 노선은 SBB의 독일 자회사인 SBB GmbH가 운영한다. S5는 독일 내에서만 운행하고, S6는 스위스와 독일 간을 운행한다.[2]

RB27, RB30 노선은 도이치반(Deutsche Bahn)의 통근 철도 부서인 DB 레기오(DB Regio)가 운영하며, 스위스와 독일 양국에서 운행된다. RB는 독일어로 '지역 철도'를 의미하는 Regionalbahn|레기오날반de의 약자이다.[2]

TER 노선은 프랑스 국영 철도 회사 SNCF의 지역 철도 부서인 SNCF Voyageurs가 운영하며, TER 그랑 에스트 네트워크의 일부로 스위스와 프랑스 간을 운행한다. TER는 Transport express régional|트랑스포르 엑스프레스 레지오날프랑스어의 약자이다.[2]

3. 노선 특징

2023년 12월 시간표 변경 기준, 다음 노선들이 운행된다.[2]

노선주요 경유지운행 국가운영 주체
S1바젤 SBB – 라인펠덴 – 슈타인-제킹엔 – 프리크 / 라우펜부르크스위스SBB
S3포랑트뤼들레몽라우펜바젤 SBB리슈탈 – 지사흐 – 올텐스위스SBB
S5바일 암 라인 – 뢰라흐 중앙역 – 슈타이넨 (– 쇼프하임 – 첼 (비젠탈))독일SBB GmbH
S6바젤 SBB바젤 바트 Bf – 리헨 – 뢰라흐 중앙역 – 슈타이넨 – 쇼프하임 – 첼 (비젠탈)스위스, 독일SBB GmbH
S9지사흐 – 로이펠핑겐 – 올텐스위스SBB
TER뮐루즈 – 바젤 SBB프랑스, 스위스SNCF Voyageurs (TER 그랑데스트)
RB27바젤 SBB – 뮐하임 (바덴) – 프라이부르크 (브라이스가우) Hbf스위스, 독일DB 레기오
RB30바젤 바트 Bf – 라인펠덴 (바덴) – 바트 제킹겐 – 라우펜부르크 (바덴) – 발트슈트 – 라우흐링겐 (– 에르칭겐 (바덴))스위스, 독일DB 레기오



S1, S3, S9 노선은 스위스 연방 철도(SBB)에서 운영하며 스위스 내에서만 운행한다.

S5, S6 노선은 SBB의 독일 자회사인 SBB GmbH에서 운영한다. S5는 독일 내에서만 운행하고, S6는 스위스와 독일 간을 운행한다.

RB27, RB30 노선은 도이치반(Deutsche Bahn)의 통근 철도 부서인 DB 레기오(DB Regio)에서 운영하며, 스위스와 독일 양국에서 운행된다. (RB는 독일어로 '지역 철도'를 의미하는 Regionalbahn|레기오날반de의 약자이다.)

TER 노선은 프랑스 국영 철도 회사 SNCF의 지역 철도 부서인 SNCF Voyageurs에서 운영하며, TER 그랑데스트 네트워크의 일부로 스위스와 프랑스 간을 운행한다. (TER는 프랑스어로 Transport express régional|트랑스포르 익스프레스 레지오날프랑스어의 약자이다.)

전체 철도 네트워크의 길이는 357km이며, 현재 108개의 역과 정류장을 포함한다. 이 중 47개는 스위스, 54개는 독일, 7개는 프랑스에 위치한다. 가장 짧은 노선은 S5(14km)이고, 가장 긴 노선은 S3(106km)이다.[5]

4. 요금 체계

트리레노는 통합 운임 네트워크인 TriRegio(twn, RVL, distribus, SNCF TER), twn, 레기오-베르케르스베르분트 프라이부르크(RVF), 레기오 베르케르스베르분트 뢰라흐(RVL), 그리고 TER 그랑 에스트에서 운행된다.

5. 향후 계획

Herzstück Basel|헤르츠슈튀크 바젤de 프로젝트는 바젤 시내를 관통하는 터널의 계획 및 건설을 포함하며, 두 개의 새로운 지하역인 "바젤 미테"와 "바젤 클리벡"을 통해 바젤 바디셔 반호프와 바젤 SBB 간의 더욱 직접적인 연결을 제공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trireno - Trireno - Trinationale S-Bahn Basel https://web.archive.[...] 2019-03-14
[2] 웹사이트 Angebot heute - Trireno - Trinationale S-Bahn Basel https://www.trireno.[...] 2023-11-07
[3] 웹사이트 "Bahn-\"Herzstück\" Basel nicht im STEP 2035 - beide Basel unzufrieden" https://www.bluewin.[...] 2018-10-31
[4] 웹인용 trireno - Trireno - Trinationale S-Bahn Basel http://www.trireno.o[...] 2019-03-14
[5] 웹인용 On the go in northwestern Switzerland with Tri-national S-Bahn Basel. https://web.archive.[...] 스위스 연방 철도 2017-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