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의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박의중(朴宜中, 1337년 ~ 140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는 자허(子虛), 호는 정재(貞齋)입니다. 초명은 박실(朴實)이었습니다.
주요 활동:
- 고려 시대:
- 1362년(공민왕 11) 문과에 장원 급제했습니다.
- 전의직장(典儀直長), 헌납(獻納),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 대사성,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역임했습니다.
- 성균관(成均館) 개창 후 정몽주(鄭夢周), 김구용(金九容),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태학교관(太學敎官)으로 활동했습니다.
- 1388년(우왕 14)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철령위(鐵嶺衛) 설치의 부당함을 주장하고, 철령 이북 지역이 고려의 영토임을 강조했습니다.
- 조선 시대:
- 검교참찬의정부사(檢校參贊議政府事)를 지냈습니다.
- 정도전 등과 함께 『고려사(高麗史)』 수찬에 참여했습니다.
- 은퇴 후 김제 지역에서 만년을 보냈습니다.
학문 및 사상:
- 이색(李穡)의 문인입니다.
- 공양왕 때 서운관(書雲觀)에서 개경의 지운(地運)이 다했다는 이유로 한양 천도를 주장하자, 음양설의 허황됨을 들어 반대했습니다.
저술:
- 『정재일고(貞齋逸稿)』
기타:
- 창왕 때 추성보조공신(推誠補祚功臣)이 되었습니다.
- 아들은 박경빈(朴景贇), 박경무(朴景武), 박경문(朴景文)입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