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청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청삼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1964년 도쿄 올림픽 유도 경량급 5위, 1967년 세계 선수권 대회 경중량급 3위를 기록했다. 1967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경중량급 2위, 단체전 2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이노쿠마 이사오
이노쿠마 이사오는 일본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 경영인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은퇴 후 유도 발전에 기여하다가 경영 부진으로 자결했다. - 1964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오카노 이사오
오카노 이사오는 1964년 도쿄 올림픽 미들급 금메달과 196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우승, 전일본 유도 선수권 대회 2회 우승을 차지한 일본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은퇴 후 쇼키주쿠를 설립하여 유도 선수들을 육성하고 브라질 유술 발전에도 기여했다. - 196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무로후시 시게노부
무로후시 시게노부는 "아시아의 철인"으로 불리며 아시안 게임 5연패와 일본 육상 선수권 대회 10연패 등의 업적을 남긴 일본의 해머던지기 선수이자 지도자로, 은퇴 후 주쿄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아들 무로후시 고지를 비롯한 후진을 양성하고 "쓰러짐" 투척폼 개발로 올림픽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196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신동파
신동파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 해설가로서, 국가대표 선수 활동 후 여자농구단 단장 및 감독, SBS 남자 농구팀 단장, 스포츠 해설가, 대한농구협회 임원 등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유도 선수 - 이봉걸
이봉걸은 경상북도 안동 출신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씨름계를 대표하는 선수로 활약한 씨름 선수이자 현재 에너라이프 타이거즈 씨름단 감독이며, 은퇴 후 씨름 발전 기여, 사회 활동 참여, 배우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유도 선수 - 송대남
송대남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출신으로, 2012년 런던 올림픽 90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유도 종목 최고령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으며, 은퇴 후 유도 국가대표팀 코치 및 감독으로 활동했다.
박청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청삼 |
국적 | 대한민국 |
종목 | 유도 |
출생일 | 1946년 11월 9일 |
메달 정보 | |
메달 |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동메달 (1967, 솔트레이크시티, 경중량급) |
메달 | 유니버시아드 은메달 (1967, 도쿄, 경중량급) |
2. 주요 경기 실적
박청삼은 1964년 도쿄 올림픽 경량급에서 5위, 세계 선수권 대회 경중량급에서 동메달, 1967년 유니버시아드 경중량급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2]
2. 1. 올림픽
1964년 도쿄 올림픽 유도 경량급에 참가했으나 준준결승에서 패하여 5위에 그쳤다.[2]2. 2. 세계 선수권 대회
1967년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 경중량급에서 미나토야 히로시에게 업어치기로 졌지만 동메달을 획득했다.[3][4]2. 3. 유니버시아드
1967년 유니버시아드에서 야마자키 유지로와의 결승전에서 배대뒤치기로 두 번의 유효를 빼앗겨 패하면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대회 단체전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5][6]3. 선수 경력
1964년 도쿄 올림픽 경량급에서는 준준결승에서 패하여 5위에 그쳤다.[2] 1967년 솔트레이크시티에서 개최된 세계 선수권 경중량급에서는 미나토야 히로시에게 업어치기로 패했지만 동메달을 획득했다.[3][4] 일본 호세이 대학 유학 경험이 있으며,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야마자키 유지로와 결승에서 맞붙었으나 배대뒤치기로 두 번의 유효를 빼앗겨 패했다. 유니버시아드 단체전에서도 2위에 머물렀다.[5][6]
3. 1. 일본 유학
호세이 대학에 유학한 경험으로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결승에서 야마자키 유지로와 대결했다. 배대뒤치기가 주특기인 두 선수의 대결로 주목받았지만, 야마자키에게 배대뒤치기로 두 번의 유효를 빼앗겨 패했다. 단체전에서도 2위에 머물렀다.[5][6]3. 2. 주요 기술
호세이 대학에서 유학했으며, 배대뒤치기를 주특기로 사용했다. 1967년 유니버시아드 결승에서는 야마자키 유지로와 대결했으나, 배대뒤치기로 두 번의 유효를 빼앗겨 패했다.[5][6]3. 3. 주요 대결
196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결승에서 야마자키 유지로와 대결했다. 배대뒤치기를 주특기로 하는 두 선수 간의 대결로 주목받았으나, 야마자키에게 배대뒤치기로 두 번의 유효를 빼앗겨 패했다.[5]참조
[1]
Sports-Reference
Park Cheong-sam Olympic Results
https://web.archive.[...]
2018-05-07
[2]
웹사이트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http://www.sports-re[...]
[3]
서적
「激動の昭和スポーツ史⑯ 柔道 青葉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89
[4]
서적
「大会記録 国際大会」『柔道大事典』
아테네書房
[5]
간행물
「戦後大学柔道の軌跡 vol.10」[[近代柔道]]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1-03
[6]
웹사이트
유도에 대한 모든것 리포트 - 해피캠퍼스
http://www.happycamp[...]
[7]
sports-reference
Park Cheong-sam Olympic Results
https://www.sports-r[...]
2018-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