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하민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2007년 제7회 대한생명배 세계 어린이 국수전 유단자부에서 우승했으며, 2014년 입단했다. 2019년 크라운 해태배에서 우승하며 5단으로 승단했고,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왕중왕전 우승으로 7단으로 승단했다. 2020년 대통령배 전국바둑대회 전문기사부에서 우승하여 8단으로 승단했고, 2022년 9단으로 승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바둑리그 - 김수장 (바둑 기사)
김수장은 1974년 입단하여 1993년 9단으로 승단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며, 2013년 미추홀배 바둑최강전에서 우승했고, 저서로 《묘수풀이 1, 2》 등이 있다. - 한국바둑리그 - 강훈 (1957년 바둑 기사)
강훈은 1974년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하여 1996년 9단으로 승단한 한국의 바둑 기사로서, 박카스배 우승 등 국내 기전에서 활약했고, 한국바둑리그 팀 감독을 역임하며 지도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 충암고등학교 동문 - 김용현 (군인)
김용현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통령경호처장과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12월 10일 내란 혐의로 구속되었다. - 충암고등학교 동문 - 이상민 (법조인)
이상민은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재직했지만,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해 탄핵 소추 및 계엄령 선포 후 사퇴했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 권갑용
권갑용은 1975년 프로에 입단하여 이세돌, 최철한, 박정환 등 세계적인 기사를 배출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였으며, 1993년 바둑문화상 특별공로상을 수상하고 2023년 사망했다.
| 박하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박하민 |
| 로마자 표기 | Park Ha-min |
| 한자 이름 | 朴河旼 |
| 별명 | 박하사탕(민트사탕) |
| 출생일 | 1998년 2월 14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
| 국적 | 대한민국 |
| 소속 | 한국기원 |
| 바둑 정보 | |
| 사범 | 김대용 |
| 프로 입단 | 2014년 |
| 단위 | 9단 |
2. 약력
박하민은 충암도장 출신으로, 여러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빠르게 승단한 바둑 기사이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내용 |
|---|---|
| 2007년 | 제7회 대한생명배 세계 어린이 국수전 유단자부 우승[1] |
| 2014년 | 제134회 입단대회 입단[1] |
| 2015년 | 렛츠런파크배 본선, 퓨처스리그 출전[1] |
| 2016년 | 제4기 메지온배 오픈 신인왕전 준우승, 2단 승단[1], 제35회 KBS바둑왕전 본선 진출, KB국민은행 퓨처스리그 및 바둑리그 출전[1] |
| 2017년 | 제2회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준우승, 3단 승단[1], KB국민은행 퓨처스리그, 제5회 메지온배 오픈신인왕전 본선 진출[1] |
| 2018년 | 제3회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본선 4강, 4단 승단[1], 한국바둑리그 신인상 수상 |
| 2019년 | 크라운 해태배 우승, 5단 승단[1],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왕중왕전 우승, 6단 승단[1], 11월 7단 승단[1], 중국 갑조 리그 하문팀 출전[2] |
| 2020년 | 제2회 대통령배 전국바둑대회 전문기사부 우승, 8단 승단[1] |
| 2022년 | 9단 승단[1] |
2. 1. 입단 및 초기 활동 (2007년 ~ 2015년)
충암도장 출신으로 2007년 제7회 대한생명배 세계 어린이 국수전 유단자부에서 우승했다.[1] 2014년 134회 입단대회를 통해 프로에 입단했다.[1] 2015년 렛츠런파크배 본선과 퓨처스리그에 출전했다.[1]2. 2. 신인왕전 준우승 및 2단 승단 (2016년)
2016년 제4기 메지온배 오픈 신인왕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2단으로 승단했다.[1] 같은 해 제35회 KBS바둑왕전 본선에 진출했고, KB국민은행 퓨처스리그와 KB국민은행 바둑리그에 각각 출전했다.[1]2. 3.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준우승 및 3단 승단 (2017년)
2017년 제2회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에서 준우승하여 3단으로 승단했고, KB국민은행 퓨처스리그와 제5회 메지온배 오픈신인왕전 본선에 진출했다.[1]2. 4. 4단 승단 및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4강 (2018년)
2018년 제3회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본선 4강에 진출했고, 4단으로 승단했다.[1] 같은 해 한국바둑리그에서 한국물가정보팀 소속으로 출전, 7승 7패의 성적을 거두며 신인상을 받았다.2. 5. 크라운 해태배 우승 및 5~7단 승단 (2019년)
2019년 크라운 해태배에서 박정환, 나현을 꺾고 우승하며 5단으로 승단했다.[1] 같은 해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왕중왕전에서 우승하여 6단으로 승단했고, 11월에는 7단으로 승단했다.[1] 중국 갑조 리그에 하문팀 소속으로 출전했다.[2]2. 6. 대통령배 우승 및 8단 승단 (2020년)
2020년 제2회 대통령배 전국바둑대회 전문기사부 결승에서 송지훈을 꺾고 우승하며 8단으로 승단했다.[1]2. 7. 9단 승단 (2022년)
2022년에 9단으로 승단했다.3. 타이틀 획득 기록
| 대회 | 연도 | 비고 |
|---|---|---|
| 크라운 해태배 | 2019년 | 우승 |
| 미래의 별 신예 최강전 | 2019년 | 2차, 왕중왕전 우승 |
| 대통령배 | 2020년 | 전문기사부 우승 |
3. 1. 국내 대회
朴河旼|박하민중국어은 충암도장 출신으로, 2007년 제7회 대한생명배 세계 어린이 국수전 유단자부에서 우승했다. 2019년 크라운 해태배와 미래의 별 신예 최강전 2차 대회 및 왕중왕전에서 우승했다. 2020년 제2회 대통령배 전국바둑대회 전문기사부 결승에서 송지훈을 꺾고 우승했다.[1]4. 주요 수상 기록
(포스트시즌 1승 2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