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족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향족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는 방향족 아미노산:2-옥소글루타르산 아미노기전이효소라고도 불리며, 방향족 아미노산 트랜스아미네이스, 방향족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ArAT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2007년 기준으로 단백질 정보 은행에 13가지 구조(PDB 접근 코드 1AY4, 1AY5, 1AY8, 2AY1, 2AY2, 2AY3, 2AY4, 2AY5, 2AY6, 2AY7, 2AY8, 2AY9, 3TAT)가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2.6.1 - 아스파르트산 아미노기전이효소
아스파르트산 아미노기전이효소(AST)는 L-아스파르트산과 α-케토글루타르산의 상호 전환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피리독살 인산을 보조 인자로 사용하며, 사람에게는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 동질효소가 존재하고, 임상적으로 간 기능 및 심근 경색 진단에 활용된다. - EC 2.6.1 - 가지사슬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
가지사슬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BCAT)는 L-아미노산의 α-아미노기를 α-케토산으로 전달하는 반응을 촉매하며, BCAA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 구조가 알려진 효소 - 젖산 탈수소효소
젖산 탈수소효소(LDH)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또는 그 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해당 과정과 코리 회로에서 작용하며, 5가지 동질효소 형태로 존재하고, 혈청 내 수치는 조직 손상 지표로 사용되며, 암세포 에너지 대사 및 유전 질환과도 관련되어 그 기능과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구조가 알려진 효소 - 유비퀴논:사이토크롬 c 산화환원효소
유비퀴놀:사이토크롬 c 산화환원효소는 유비퀴놀 산화와 시토크롬 c 환원을 촉매하는 효소로, 척추동물에서는 11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전자 전달을 통해 ATP 생산과 양성자 기울기 형성에 기여한다.
방향족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 | |
---|---|
효소 정보 | |
이름 | 방향족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 |
EC 번호 | 2.6.1.57 |
CAS 번호 | 37332-38-0 |
GO 코드 | 0008793 |
기타 | |
영어 이름 | aromatic-amino-acid transaminase |
2. 명명법
(내용 없음)
2. 1. 다른 이름
방향족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의 계통명은 방향족 아미노산:2-옥소글루타르산 아미노기전이효소(aromatic-amino-acid:2-oxoglutarate aminotransferase영어)이다.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들이다.
- 방향족 아미노산 트랜스아미네이스(aromatic amino acid aminotransferase영어)
- 방향족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aromatic aminotransferase영어)
- ArAT
3. 구조 연구
방향족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의 3차원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 단백질 정보 은행(PDB)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여러 구조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2007년을 기준으로 이미 10개가 넘는 구조가 밝혀져 등록되었다.
3. 1. 단백질 구조 데이터
2007년을 기준으로 이 효소 부류에 대해 PDB에 등록된 구조는 13가지이다. 해당 접근 코드는 1AY4, 1AY5, 1AY8, 2AY1, 2AY2, 2AY3, 2AY4, 2AY5, 2AY6, 2AY7, 2AY8, 2AY9, 3TAT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