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합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합강은 외떡잎식물을 분류하는 강의 하나이다. 타흐타잔, 크론퀴스트, 리빌의 분류 체계에 따라 백합강은 여러 아강으로 분류된다. 타흐타잔 체계에서는 백합아강, 닭의장풀아강, 종려아강, 택사아강, 트리우리스아강, 천남성아강으로, 크론퀴스트 체계에서는 택사아강, 닭의장풀아강, 생강아강, 백합아강으로, 리빌 체계에서는 택사아강, 파나물아강, 천남성아강, 백합아강, 종려아강, 닭의장풀아강, 생강아강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떡잎식물 - 히아신스
    히아신스는 가을에 심는 구근 식물로, 짙은 향기와 다양한 색상의 꽃이 특징이며 향료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옥살산이 함유된 구근은 독성을 지니며, 봄, 부활, 노루즈와 관련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외떡잎식물 - 병아리난초
    병아리난초는 6~7월에 자주색 꽃이 피고 숲속 바위에 붙어 자라는 높이 8~20cm의 난초과 여러해살이풀로, 대한민국과 일본에 분포하며 분자 계통학 연구를 통해 현재는 *Hemipilia*속으로 분류된다.
백합강
기본 정보
백합강의 그림
백합강의 그림
학명Liliopsida
식물계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상강단자엽식물상강 (Liliopsida)
통용 명칭단자엽식물
하위 분류택사 참고
학문적 분류
식물계
미분류 (계통군)속씨식물
단자엽식물군

2. 타흐따잔 체계의 백합강 분류

타흐따잔 분류 체계에서 백합강(Liliopsida)은 외떡잎식물군(monocotyledons)으로 불리며, 아강(Subclass)과 상목(Superorder)으로 분류된다.

아강상목
백합아강
닭의장풀아강
종려아강종려상목
택사아강택사상목
트리우리스아강트리우리스상목
천남성아강


2. 1. 백합아강 (Liliidae)

타흐따잔 분류 체계에서 백합아강은 백합강에 속하는 아강 중 하나이다. 타흐따잔 분류 체계에서 백합아강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아강상목
백합아강


2. 2. 닭의장풀아강 (Commelinidae)

타흐따잔 분류 체계에서 닭의장풀아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아강상목
닭의장풀아강


2. 3. 종려아강 (Arecidae)

타흐따잔 분류 체계와 탁타잔 분류 체계에서 백합강에 속하는 종려아강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종려아강 (Arecidae)
  • : 종려상목 (Arecanae)

2. 4. 택사아강 (Alismatidae)

타흐따잔 분류 체계에서 택사아강은 백합강에 속하며,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택사아강
  • 택사상목

2. 5. 트리우리스아강 (Triurididae)

타흐타잔 분류 체계에서 백합강 아래의 아강(Subclass)으로 분류된다.

  • 트리우리스상목 (Triuridanae)

2. 6. 천남성아강 (Aridae)

타흐타잔 분류 체계와 탁타잔 분류 체계에서 천남성아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천남성상목 (Aranae)
  • 시클란투스상목 (Cyclanthanae)
  • 판다누스상목 (Pandananae)
  • 부들상목 (Typhanae)

3. 크론퀴스트 체계의 백합강 분류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백합강(외떡잎식물)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아강(Subclass)목(Order)
택사아강파나마목, 천남성목
닭의장풀아강닭의장풀목, 곡정초목, 레스티오목, 골풀목, 사초목, 히다텔라목, 부들목, 나도고사리삼목
생강아강파인애플목, 생강목
백합아강백합목, 난초목


3. 1. 택사아강 (Alismatidae)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백합강에 속하는 아강(Subclass)이다. 크론퀴스트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파나마목
천남성목


3. 2. 닭의장풀아강 (Commelinidae)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닭의장풀아강은 백합강(외떡잎식물군)에 속하며, 다음과 같은 목(Order)들을 포함한다.

목(Order)
닭의장풀목
곡정초목
레스티오목
골풀목
사초목
히다텔라목
부들목
나도고사리삼목


3. 3. 생강아강 (Zingiberidae)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생강아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생강아강 (Zingiberidae)
  • 파인애플목 (Bromeliales)
  • 생강목 (Zingiberales)

3. 4. 백합아강 (Liliidae)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백합아강은 다음과 같이 하위 분류된다.

4. 리빌 체계의 백합강 분류

리빌 분류 체계에서 백합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아강상목
택사아강
파나물아강
천남성아강
백합아강
종려아강
닭의장풀아강
생강아강


4. 1. 택사아강 (Alismatidae)

리빌 분류 체계에서 백합강 아래에 위치한 아강이다. 개연꽃아목과 택사아목의 2개 상목을 포함한다.

  • 개연꽃아목 (Butomanae)
  • 택사아목 (Alismatanae)

4. 2. 트리우리스아강 (Triurididae)

리빌 분류 체계에서 백합강 하위 분류로 택사아강, 파나물아강(트리우리스아강), 천남성아강, 백합아강, 종려아강, 닭의장풀아강, 생강아강과 함께 제시되었다.

4. 3. 천남성아강 (Aridae)

리빌 분류 체계에서 백합강 아래의 아강은 다음과 같다.

  • 창포아목 (Acoranae)
  • 천남성아목 (Aranaea)
  • 파나마부채야자아목 (Cyclanthanae)
  • 판다누스아목 (Pandananae)

4. 4. 백합아강 (Liliidae)

리빌 분류 체계에서 백합아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백합아강 (Liliidae)

4. 5. 종려아강 (Arecidae)

리빌 분류 체계에서 종려아강은 종려상목을 포함한다.

4. 6. 닭의장풀아강 (Commelinidae)

리빌 분류 체계에서 닭의장풀아강(Commelinidae)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파인애플상목 (Bromelianae)
  • 물옥잠상목 (Pontederianae)
  • 닭의장풀상목 (Commelinanae)
  • 히다텔라상목 (Hydatellanae)
  • 부들상목 (Typhanae)
  • 골풀상목 (Juncanae)

4. 7. 생강아강 (Zingiberidae)

리빌 분류 체계에서 생강아강은 백합강에 속하며, 생강상목(Zingiberanae)을 포함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