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딜 입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딜 입센은 덴마크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으로, 1909년 왕립 덴마크 극장에서 데뷔하여 연극, 영화, 라디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20년 영화 《라비넨》으로 영화에 데뷔하여, 코미디 영화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1942년에는 영화 감독으로 데뷔하여 덴마크 최초의 필름 누아르로 평가받는 《탈선》을 연출했다. 그녀는 《붉은 목초지》로 칸 영화제 그랑프리를 수상하고, 《파라디 카페》와 《진실한 얼굴》로 보딜상을 수상하는 등 덴마크 영화 발전에 기여했다. 1960년 보딜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은퇴했으며, 196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덴마크의 여자 - 아스타 닐센
아스타 닐센은 덴마크 출신의 배우로, 무성 영화 시대에 활동하며 자연스러운 연기 스타일과 파격적인 역할 소화로 명성을 얻었으며, 영화 제작에도 참여하다가 유성 영화 시대에 은퇴했다. - 20세기 덴마크의 여자 - 카렌 블릭센
카렌 블릭센은 1885년 덴마크에서 태어나 아프리카에서의 삶을 다룬 《아프리카에서》와 《바베트의 만찬》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며, 1930년대부터 작가 활동을 시작하여 1959년 미국 학술원 평생 공로상을 받았으나 1962년 영양실조로 사망했다. - 덴마크의 영화 감독 - 라르스 폰 트리어
라르스 폰 트리어는 1956년 덴마크 출생으로, 논쟁적이고 실험적인 작품들을 연출하며 칸 영화제 수상 경력이 있는 영화 감독이자 도그마 95 운동을 주도했으며,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다. - 덴마크의 영화 감독 - 비고 모텐슨
비고 모텐슨은 미국과 덴마크 국적의 배우이자 작가, 사진작가, 화가, 시인으로, 영화 《반지의 제왕》의 아라곤 역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다양한 작품에서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아 아카데미상 후보에 세 차례 올랐고, 독립 출판사 운영 및 시각 예술 활동, 진보적인 정치 성향과 사회 문제에 대한 발언으로도 알려져 있다. - 코펜하겐 출신 배우 - 디피카 파두콘
인도 배우이자 모델인 디피카 파두콘은 배드민턴 선수에서 모델로 데뷔 후 2006년 배우로 데뷔, 《옴 샨티 옴》의 성공을 통해 인도 영화계 최고 여배우로 자리매김했으며, 할리우드 영화 출연 및 제작사 설립, 사회 활동 참여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 코펜하겐 출신 배우 - 스테파니 코르넬리우센
스테파니 코르넬리우센은 덴마크 출신의 배우이자 모델이며, 그래픽 디자인 학위를 받은 후 모델 활동을 시작하여 배우로 전향,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했고, 양성애자이자 동물 권리 옹호자이다.
보딜 입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보딜 입센 |
출생일 | 1889년 8월 30일 |
출생지 | 덴마크 코펜하겐 |
사망일 | 1964년 11월 26일 (75세) |
사망지 | 덴마크 코펜하겐 |
직업 | 배우, 영화 감독 |
활동 기간 | 1909년–1960년 |
수상 | |
칸 영화제 대상 | 1946년 (《De Røde Enge》) |
보딜상 | 1951년 (《Cafe Paradis》) |
보딜상 | 1953년 (《De Sande Ansigt》) |
보딜 여우주연상 | 1960년 (《Tro, Håb og Trolddom》) |
2. 배우 경력
덴마크 배우 보딜 입센은 1908년 고등학교 졸업 후 왕립 덴마크 극장(Det Kongelige Teater)에서 연기를 공부하며 배우 경력을 시작했다. 1년 뒤 무대에 데뷔하여, 특히 폴 레우메르트와의 공연으로 빠르게 주목받았다.[3][4] 왕립 덴마크 극장 외에도 다그마 극장, 폴케테아테르, 베티 낸슨 극장 등에서 공연했으며,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도 활동했다.
입센은 극장에서 약 200개의 배역을 맡았으며, 대부분 주연이었다. 또한 150개의 라디오 연극과 4개의 텔레비전 배역을 소화했다.[4] 1920년 세 번째 남편인 에마누엘 그레거스가 감독한 영화 ''라비넨''(Lavinen)으로 영화계에 데뷔하여, 이후에도 그레거스와 여러 작품을 함께 했다.
입센은 ''볼레테스의 신부행렬''(Bollettes Brudefærd)에서 독신 여성 볼레테, ''쇠렌센과 라스무센''(Sørensen og Rasmussen)에서 다네르 백작부인 역을 맡는 등 코미디 영화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42년부터는 영화감독으로도 활동하여 10년 동안 10편의 영화를 연출했다. 그녀는 로맨틱 코미디뿐만 아니라 어두운 드라마와 미스터리 장르에서도 재능을 발휘했다.[5]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한 데뷔작 ''탈선''(Afsporet) (''탈선'')은 덴마크 최초의 본격적인 필름 누아르로 평가받는다.[6] 이후 ''살인의 멜로디''(Mordets Melodi), ''소유''(Besættelse) (''소유'') 등 누아르 영화를 연출했다.
''붉은 목초지''(De røde enge) (''붉은 목초지'')는 칸 영화제에서 1946년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1950년에는 영화 ''파라디 카페''(Café Paradis) (''파라다이스 카페'')로 보딜상을 수상했으며, 2년 후 ''진실한 얼굴''(Det Sande Ansigt)으로 다시 보딜상 최우수 덴마크 영화상을 수상했다.[7] 1960년에는 ''믿음, 희망, 마법''(Tro, håb og trolddom)으로 보딜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후 은퇴했다.
2. 1. 주요 출연작
연도 | 원제 | 영제 | 역할 | 비고 |
---|---|---|---|---|
1913 | 스케넨스 뵈른 | 무대 아이들 | ||
1920 | 라비넨 | 마리아 막달레네 | 마리아, 폴의 아내 | 연출 에마누엘 그레거스 |
1922 | 프리에 푸글레 | 예술과 여자 | 나오미, 선장의 아내 | 연출 에마누엘 그레거스 |
1923 | 마드살룬 | 망명 속의 사랑 | 예카테리나 2세 여제 | 연출 에마누엘 그레거스 |
1932 | 파우스티안의 시계 | 파우스티안의 시계 | 빅 마리 | |
1935 | 데트 귈데 스밀 | 황금 미소 | 엘사 브룬 | |
1938 | 볼레테스 브루데페르 | 볼레테의 신부 샤워 | 볼레테 옌센 | 연출 에마누엘 그레거스 |
1940 | 쇠렌센 오흐 라스무센 | 쇠렌센과 라스무센 | 다너 백작 부인 | 연출 에마누엘 그레거스 |
1941 | 고 메드 미 흐jem | 나와 함께 집에 가요 | 변호사 헬렌 한쇠 | 연출 벤자민 크리스텐센 |
1942 | 포렐렌 | 송어 | 클라라 뮬러 | 연출 에마누엘 그레거스 |
1957 | 잉겐 티드 틸 케르테그 | 내게 소중히 해줘 | 휠체어 탄 여자 | |
1960 | 트로, 호브 오흐 트롤돔 | 신념 희망 그리고 마법 | 건힐드 할머니 | 보딜상 여우주연상 수상 |
보딜 입센은 1942년부터 1951년까지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함께 여러 영화를 공동 연출하며 감독으로 활동했다. 특히 1945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붉은 목초지''와 보딜상 덴마크 영화상을 수상한 ''덴마크 선원의 바이킹 감시''(1948), ''카페 파라디''(1950), ''진실의 얼굴''(1951) 등이 대표작이다.
3. 감독 경력
3. 1. 주요 연출작
연도 | 원제 | 영제 | 비고 |
---|---|---|---|
1942 | Afsporet | 탈선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
1942 | En Herre i kjole og hvidt | 턱시도와 테일 코트를 입은 신사 | |
1943 | Drama på slottet | 성에서의 드라마 | |
1944 | Mordets Melodi | 살인의 멜로디 | |
1944 | Besættelse | 소유 | |
1945 | De røde enge | 붉은 목초지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
1947 | Bröllopsnatten | 결혼의 밤 | 스웨덴에서 제작 |
1948 | Støt står den danske sømand | 덴마크 선원의 바이킹 감시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보딜상 덴마크 영화상 수상 |
1950 | Café Paradis | 카페 파라디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보딜상 덴마크 영화상 수상 |
1951 | Det Sande Ansigt | 진실의 얼굴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보딜상 덴마크 영화상 수상 |
4. 영화사적 의의와 평가
입센은 1942년에 감독으로 변신하여 10년 동안 10편의 영화를 연출했다. 큰 로맨틱 코미디에서 뛰어난 연기 재능을 보여주었지만, 감독으로서는 덴마크 고전 어두운 드라마와 미스터리 장르를 발전시켰다.[5] 그녀가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한 데뷔작은 1942년 어두운 심리 스릴러 《탈선》(Afsporet)이었는데, 이는 최초의 진정한 덴마크 영화 누아르로 평가받는다.[6] 2년 후, 입센은 연쇄 살인 혐의를 받는 가수에 대한 《살인의 멜로디》(Mordets Melodi)와 젊은 여성에 대한 남자의 에로틱한 집착을 그린 긴장감 넘치는 스릴러 《소유》(Besættelse)라는 두 편의 더욱 극단적인 누아르 영화를 연출했다.
《탈선》 이후 입센은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함께 4편의 영화를 더 제작했다. 그들의 두 번째 영화인 2차 세계 대전 중 덴마크의 나치 점령에 대한 《붉은 목초지》(De røde enge)는 칸 영화제에서 1946년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1950년, 입센과 로리첸은 알코올 중독에 대한 가혹한 이야기를 다룬 영화 《파라디 카페(Café Paradis)》로 다시 찬사를 받았다. 이 영화는 덴마크 영화의 걸작으로 여겨지며, 입센은 그녀와 동료 배우 보딜 키에르의 이름을 딴 보딜상을 수상했다. 2년 후, 입센과 로리첸은 영화 《진실한 얼굴(Det Sande Ansigt)》로 다시 보딜상 최우수 덴마크 영화상을 수상했다.[7]
입센이 감독한 영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원제 | 영제 | 비고 |
---|---|---|---|
1942 | Afsporet | 탈선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
1942 | En Herre i kjole og hvidt | 턱시도와 테일 코트를 입은 신사 | |
1943 | Drama på slottet | 성에서의 드라마 | |
1944 | Mordets Melodi | 살인의 멜로디 | |
1944 | Besættelse | 소유 | |
1945 | De røde enge | 붉은 목초지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
1947 | Bröllopsnatten | 결혼의 밤 | 스웨덴에서 제작 |
1948 | Støt står den danske sømand | 덴마크 선원의 바이킹 감시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보딜상 덴마크 영화상 수상 |
1950 | Café Paradis | 카페 파라디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보딜상 덴마크 영화상 수상 |
1951 | Det Sande Ansigt | 진실의 얼굴 | 라우 로리첸 주니어와 공동 연출 보딜상 덴마크 영화상 수상 |
5. 사생활
입센의 안정적인 무대 경력은 불안정한 사생활과 상반되었다. 그녀는 네 번 결혼했다. 1910년 배우 야콥 텍시에르와 처음 결혼했지만, 그 해 안에 결혼 생활은 끝났다. 1914년 토목 기사 H.H.O. 몰트케와 결혼했으나 3년 만에 이혼했다. 1919년 영화 감독 에마누엘 그레게르와의 결혼은 4년 동안 지속되었다. 1932년 저널리스트 에이나르 블랙과 네 번째 결혼을 했으며, 블랙이 1949년에 사망할 때까지 17년 동안 함께 했다.[8] 블랙의 사망 후, 입센은 작품 외에는 고립된 생활을 했으며, 그녀의 조수이자 가정부인 스텔라 옌센과 함께 있는 것을 선호했다.[8]
Jeg har levet sammen med (Bodil Ipsen) de sidste ti år af hendes liv og opdaget et menneske med en grænseløs begavelse. Ikke blot en grænseløs gavmildhed, men også en påfaldende, mærkelig mistillid til mennesker, som ellers stod hende nær.|나는 그녀의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 (보딜 입센)과 함께 살면서 무한한 재능을 가진 사람을 발견했습니다. 정말 한계가 없는 관대함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았다면 가까웠을 사람들에 대한 두드러지고 이상한 불신감도 있었습니다.da
— 스텔라 옌센, 1964년 보딜 입센 사망 후 그녀에 대해 묘사[8]
6. 보딜상
Bodilprisenda은 덴마크 영화 비평가 협회(Filmmedarbejderforeningenda)가 주관하는 덴마크 영화상이다. 1948년에 제정되었으며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영화상 중 하나이다. 시상식은 매년 코펜하겐에서 열린다. 이 상은 덴마크 영화에 큰 공헌을 한 여배우 보딜 입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입센은 1948년 영화 ''파라디 카페''(Café Paradis)로 보딜상 최우수 덴마크 영화상을 수상했는데, 이 영화는 알코올 중독에 대한 가혹한 이야기를 다루며 덴마크 영화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7] 그녀는 동료 배우 보딜 키에르와 함께 이 상을 수상했다. 1960년, 입센은 71세의 나이로 영화 ''믿음, 희망, 마법''(Tro, håb og trolddom)에 출연하여 보딜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50년에는 영화 ''진실한 얼굴''(Det Sande Ansigt)로 보딜상 최우수 덴마크 영화상을 수상했다.[7]
참조
[1]
서적
Danske Filmskuespillere
Gyldendal
2001
[2]
서적
100 Års Dansk Film
Rosinante
2001
[3]
웹사이트
Bodil Ipsen
http://www.gravsted.[...]
Grave Site
2008-05-08
[4]
기타
[5]
기타
[6]
기타
[7]
웹사이트
Bodil Ipsen
https://akas.imdb.co[...]
IMDb
2008-05-08
[8]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