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토크 로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토크 로켓은 소련의 인공위성 발사체로, 스푸트니크 로켓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루나, 보스토크, 제니트 위성 등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8K72, 8K72K, 8A92, 8A92M, 11A510 등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1단은 4개의 로켓, 2단은 중앙부, 3단은 트러스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1991년까지 사용된 8A92M이 총 94회로 가장 많이 발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우주 개발 - 요우코우
요우코우는 미일 국제 협력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관측 장비를 통해 태양 플레어와 코로나 연구에 기여한 인공위성이며, 기술적 문제로 임무는 종료되었지만 태양 물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1991년 우주 개발 - 케네스 D. 캐머런
케네스 D. 캐머런에 대한 정보가 현재 제공되지 않아 그의 배경, 교육, 개인 활동에 대한 설명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토크 1호
보스토크 1호는 1961년 유리 가가린이 탑승하여 발사된 세계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소련의 우주 기술력을 과시하고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준 사건이다.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토크 6호
보스토크 6호는 소련의 유인 우주선으로, 세계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인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를 태워 여성의 신체가 우주 비행에 반응하는 방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보스토크 계획의 마지막 비행이었다. - 1958년 우주 개발 - 뱅가드 1호
1958년 발사된 미국의 첫 지구 궤도 위성인 뱅가드 1호는 알루미늄 구체 형태로, 태양 전지 등으로 구동되는 송신기를 통해 궤도 정보와 상층 대기 데이터를 전송했으며 현재는 우주 쓰레기로 분류되지만 가장 오래 우주에 머물러 있는 물체이다. - 1958년 우주 개발 - 익스플로러 2호
익스플로러 2호는 미국이 1958년에 주노 I 로켓으로 발사하려 했으나 로켓 엔진 점화 실패로 궤도 진입에 실패한 인공위성으로, 우주선과 유성진 감지, 상층 대기 밀도 측정 등의 과학 장비들을 탑재할 계획이었다.
| 보스토크 로켓 | |
|---|---|
| 기본 정보 | |
![]() | |
| 기능 | 운반 로켓 |
| 제조사 | RKK 에네르기아 |
| 원산지 | 소련 |
| 상태 | 퇴역 |
| 가족 | R-7 |
| 비교 대상 | 아틀라스 타이탄 |
| 제원 | |
| 단수 | 3단 |
| 질량 | 280,000-290,000 kg |
| 탑재 용량 (저궤도) | 4725 kg |
| 연료 | 케로신/액체 산소 |
| 발사 기록 | |
| 발사 장소 |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LC-1/5, 31/6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LC-41/1, 43/3, 43/4 |
| 발사 횟수 | 보스토크-L: 4 보스토크-K: 13 보스토크-2: 45 보스토크-2M: 94 소유스/보스토크: 2 |
| 성공 횟수 | 보스토크-L: 3 보스토크-K: 11 보스토크-2: 40 보스토크-2M: 92 소유스/보스토크: 2 |
| 실패 횟수 | 보스토크-L: 1 보스토크-K: 2 보스토크-2: 5 보스토크-2M: 2 |
| 최초 발사 | 1960년 5월 15일 (보스토크-L) |
| 최종 발사 | 1991년 8월 29일 (보스토크-2M) |
| 탑재체 | |
| 1단 | |
| 구분 | 블록 B, V, G, D |
| 엔진 | 1 × RD-107-8D74-1959 |
| 추력 | 970.86 kN |
| 총 추력 | 3,883.4 kN |
| 연소 시간 | 118초 |
| 연료 | 등유/액체 산소 |
| 2단 | |
| 구분 | 블록 A |
| 엔진 | 1 × RD-108-8D75-1959 |
| 추력 | 912 kN |
| 연소 시간 | 301초 |
| 연료 | RP-1/액체 산소 |
| 3단 | |
| 구분 | 블록 E |
| 엔진 | 1 × RD-0109 |
| 추력 | 54.5 kN |
| 연소 시간 | 365초 |
| 연료 | 등유/액체 산소 |
2. 파생형
보스토크 로켓은 여러 파생형으로 세분화되었다. 주요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 루나 8K72: 초기 루나 우주선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1]
- 보스토크-L 8K72: 루나의 파생형으로, 보스토크 우주선 프로토타입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1]
- 보스토크-K 8K72K: 8K72의 개량형으로 유인 우주 비행에 사용된 버전이다.[2]
- 보스토크-2 8A92: 제니트 정찰위성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3]
- 보스토크-2M 8A92M: 메테오 기상 위성을 더 높은 궤도로 발사하기 위해 수정된 버전이다.[4]
- 소유즈/보스토크 11A510: 소유즈와 보스토크 로켓의 하이브리드로, 두 번의 발사에 임시로 사용되었다.[5]
각 파생형에 대한 개요는 아래 표와 같다.
| 형식 | 용도 | 발사 횟수 | 운용 기간 | 비고 |
|---|---|---|---|---|
| 8K72 | 달 탐사선, 보스토크 우주선 무인 시험기 발사 | 12회 | 스푸트니크 로켓 개량형, 새로운 3단 추가 | |
| 8K72K | 유인 우주선, 제니트 위성, 일렉트론 위성 발사 | 13회 (11회 성공) | 1964년까지 | 8K72 개량형 |
| 8A92 | 제니트 2 정찰 위성 발사 | 45기 이상 | 1962년~1967년 | 보스호트 로켓으로 대체 |
| 8A92M | 메테오르 등 기상 위성 발사 | 94회 (92회 성공) | 1991년까지 | 고고도/태양 동기 궤도 위성 발사 |
| 11A510 | RORSAT 해양 정찰 위성 발사 | 2회 | 소유즈/보스토크 하이브리드 |
2. 1. 8K72 (루나)
8K72는 스푸트니크 로켓의 후계기로 설계된 로켓이다. 1단과 2단은 스푸트니크에서 그대로 계승하고, 그 위에 새로운 3단을 추가했다.[1] 초기 8K72는 달 탐사선 발사에 사용되었다. 3번의 실패 후 1959년 1월 2일 루나 1호 발사에 성공했고, 루나 2호, 루나 3호 발사에도 사용되었다.[1] 이 외에 보스토크 우주선의 무인 시험기(코라블-스푸트니크)를 3기 발사했다. 8K72의 발사 횟수는 12회였다.[1]2. 2. 8K72K (보스토크-K)
8K72K는 8K72의 개량형이다.[2] 코라블-스푸트니크 발사에 두 번, 보스토크 1호부터 보스토크 6호까지 발사, 제니트 위성 2기와 일렉트론 위성 4기 발사에 사용되었다.[2] 1964년에 운용이 종료되었으며, 총 13번의 발사 중 11번 성공했다.[2]2. 3. 8A92 (보스토크-2)
8A92는 1962년부터 운용이 시작되어 제니트 2 정찰 위성 발사에만 사용되었다.[3] 45기 이상이 발사되었지만, 1967년 발사를 마지막으로 보스호트 로켓에 그 역할을 넘겨주었다.[3]2. 4. 8A92M (보스토크-2M)
8A92M은 비교적 고고도의 궤도나 태양 동기 궤도에 위성을 투입하기 위해 설계된 타입으로, 소련 최초의 기상 위성 메테오르 등의 발사에 이용되었다.[4] 다른 타입들이 모두 1960년대에 운용을 종료한 데 반해, 8A92M은 1991년까지 사용되었다. 발사 횟수는 보스토크 로켓의 전체 형식 중 가장 많은 94회였으며, 신뢰성도 높아 실패는 2번뿐이었다.2. 5. 11A510 (소유즈/보스토크)
11A510은 소유즈와 보스토크 로켓의 하이브리드로, RORSAT 해양 정찰 위성 발사에 두 번 사용되었다.[5]3. 구조
바깥쪽에 4기의 로켓이 1단, 중앙부가 2단이며, 1단과 2단은 발사대에서 점화를 확인한 후 발사된다. 3단과 2단의 단간부는 트러스 구조로 되어 있으며, 2단의 점화가 종료되기 전에 점화한 후 분리된다. 분리 전에 3단에 점화하기 때문에 트러스 사이로 가스가 빠져나가 분리 시 2단의 잔여 추력에 의한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Vostok-L 8K72
http://www.astronaut[...]
2023-07-30
[2]
웹사이트
Vostok 8K72K
http://www.astronaut[...]
2023-07-30
[3]
웹사이트
Vostok 8A92
http://www.astronaut[...]
2023-07-30
[4]
웹사이트
Vostok 8A92M
http://www.astronaut[...]
2023-07-30
[5]
웹사이트
Soyuz 11A510
http://www.astronaut[...]
2023-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