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청년근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청년근위대는 1970년 9월에 창설된 북한의 학생 조직이다. 1·21 사태와 푸에블로호 피랍 사건으로 인한 긴장 속에서 김일성의 지시에 따라 조직되었으며, 주체사상의 첨병, 김정일의 친위대 예비대, 정규군 하급 간부 보충 요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학교 단위로 편성되어 100만 명 규모로 운영되며, 연간 160시간의 교내 훈련과 야영 훈련 등을 받는다. 주요 임무는 반혁명적 요소 제거, 최고사령관 결사옹위, 후방 지역 방어 및 군 하급 간부 보완 등이며, 2012년 김정은 시대에도 열병식에 참가하는 등 중요성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인민군의 예비군 - 로농적위군
로농적위군은 북한의 병력 부족을 해결하고 재건 사업에 동원하기 위해 1959년 창설된 준군사 조직으로, 전인민 무장화 정책에 따라 17세에서 60세의 남성과 미혼 여성으로 확대되었으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민방위부의 지휘 아래 운영된다. - 공산당의 청년 조직 -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 (쿠바)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쿠바)은 체 게바라가 주최한 창립대회를 통해 1962년 설립된 쿠바 사회주의 혁명연합당의 청년 조직으로, 호세 마르티 피오네르 조직을 소속 단체로 두고 쿠바 사회 건설 및 국제 청년 운동 연대 강화에 기여하는 세계민주청년연맹 회원 단체이다. - 공산당의 청년 조직 -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청년 조직으로, 조선로동당의 영향을 받아 청년들의 사상 통제와 조직 활동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기관지 청년전위를 발행하고 세계민주청년연맹에 가입되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통제를 받으며 군내 당 조직 및 근로 단체 활동 지도, 정치사상 교육, 선전, 선동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조직부가 군 간부 인사권을 행사하고 판문점대표부는 대남 정책 및 군사 전략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는 군사 지휘 기관으로서, 인민무력성과 별도로 13개 직속국과 각종 사령부를 지휘하며, 국방 정책 기획, 군사 작전, 대남 공작 등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붉은청년근위대 | |
---|---|
개요 | |
이름 | 붉은청년근위대 |
로마자 표기 | Bulgeuncheongnyeongeunwidae |
한자 표기 | 붉은靑年近衛隊 |
조직 | |
창설일 | 1970년 9월 12일 |
본부 | 평양직할시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모(母) 정당 | 조선로동당 |
역할 | 체제 옹호 및 반미 의식 고취 |
규모 | 야전군 |
종류 | 학생 정치 조직 |
지휘 | |
명령 체계 | 조선로동당 |
지휘관 명칭 | 근위대장 |
기타 | |
이념 | 주체사상 |
기념일 | 창립 기념일 (매년 9월 12일) |
2. 연혁
1968년 1·21 사태 및 푸에블로호 피랍 사건으로 한반도 내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창설 논의가 시작되었다. 북한 내 사회단체들의 결의를 김일성이 수용하는 형식으로 1969년 4월 편성을 지시하였고[2], 이에 따라 1970년 9월 정식으로 창설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68년 1·21 사태 및 푸에블로호 피랍 사건으로 인해 한반도 내부에 긴장이 고조된 상황을 배경으로 창설되었다. 당시 북한의 여러 사회단체들은 "당과 김일성의 명령 지시 관철에 근위대·결사대가 되자"는 구호를 내걸고 결의문을 채택하여 김일성에게 전달했다. 김일성은 이 결의문을 받은 뒤, 1969년 4월 각 단체의 결의를 수용하는 형식으로 학생 조직인 붉은청년근위대의 편성을 지시했다.[2] 이 지시에 따라 1970년 9월에 정식으로 창설되었다.2. 2. 창설 과정
1968년 1·21 사태 및 푸에블로호 피랍 사건으로 북한 내부의 긴장이 고조된 상황을 배경으로 붉은청년근위대의 창설 논의가 시작되었다. 당시 북한의 여러 사회단체는 "당과 김일성의 명령 지시 관철에 근위대·결사대가 되자"는 구호를 내걸고 결의문을 채택하여 김일성에게 전달했다. 김일성은 1969년 4월, 이 결의문들을 수락하는 형식으로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붉은청년근위대의 편성을 지시했다. 이 지시에 따라 1970년 9월 붉은청년근위대가 정식으로 창설되었다.북한 당국은 붉은청년근위대를 ‘항일혁명투쟁시기의 청년의용군과 소년선봉대의 영광스런 계승자’라고 선전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홍위병과 유사하게 젊은 세대의 사상을 통제하고 '반혁명적 요소'를 제거하여 주체사상의 선봉대로 삼으려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김정일의 권력 기반 강화와 연관된 3대혁명소조의 예비대 역할 및 유사시 정규군 하급 간부 보충 역할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3. 조직
붉은청년근위대는 학교 단위별로 중대 또는 대대급으로 편성되며, 대규모 학교의 경우 대대 아래에 중대 및 소대를 두기도 한다.[3][4] 총인원은 약 100만여 명으로 추산된다.[3][4]
지휘 통제는 과거 당 군사부가 맡았으나, 이후 당 민방위부가 담당하게 되었다.[6] 전시에는 국방성의 지휘 통제를 받으며,[6] 훈련 동원 시에는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과 내각 산하 교육위원회 예하로 편입된다.[6]
4. 훈련
붉은청년근위대의 훈련은 교내 군사교육, 비상소집훈련, 훈련소 입소훈련 등으로 구분되며, 연간 160시간의 교내훈련을 받는다. 교내 군사훈련은 매주 토요일 4시간씩 실시되며, 제식훈련, 각개전투 등 기본 군사훈련은 물론 장애물 극복, 수류탄 투척, 민방위 경보 시 대응 요령 등의 훈련을 받는다. 또한 재학 중 한 번 여름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7일간의 야영훈련소 입영훈련 및 비상소집훈련 등을 받는다.[5] 병영훈련 시에는 일부 대원에게 개인화기 및 공용화기가 지급되기도 한다.
5. 역할 및 임무
북한 당국은 붉은청년근위대를 ‘항일혁명투쟁시기의 청년의용군과 소년선봉대의 영광스런 계승자’라고 선전한다. 이 조직은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사상 교육을 강화하여 중국의 홍위병과 유사하게 '반혁명적 요소'를 제거하고 주체사상의 첨병으로 삼으려는 의도를 가진 전위부대로 평가된다.
붉은청년근위대의 주요 임무는 사회 내 '반혁명적 요소'를 제거하고, 최고사령관을 결사옹위하는 친위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투력 향상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구받는다. 또한, 김정일 시대의 친위 조직이었던 3대혁명소조의 예비대로서의 성격도 지닌다.
유사시에는 후방 지역 방어 임무를 수행하며, 조선인민군 (정규군)의 하급 간부(하사관)를 보충하는 후비대 및 결사대로서 동원될 수 있다. 북한은 붉은청년근위대를 정규군이 신뢰할 수 있는 예비 전력으로 간주하며, 대규모 동원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6. 김정은 시대
북한은 2012년 4월 15일 태양절에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를 진행하였다. 이 퍼레이드에는 붉은청년근위대가 참가하였는데, 이는 2010년 10월 조선로동당 창건 65주년 기념행사에 참가한 이후 1년 6개월 만이었다. 이러한 참가는 김정은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동시에 청년층의 지지를 대내외에 과시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참조
[1]
웹사이트
Anniversary of Founding of Young Red Guards Observed
http://www.kcna.co.j[...]
2022-09-23
[2]
웹사이트
Red Youth Guard",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
2022-09-23
[3]
서적
The Military Balance in the Koreas and Northeast Asia
[4]
간행물
Military Capabilities of South and North Korea: A comparative study
[5]
웹사이트
Red Youth Guard
https://www.gongsima[...]
2022-09-23
[6]
웹사이트
Child Soldiers Global Report 2004 -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 (North Korea)
https://www.refworld[...]
2022-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