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빈카 피터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카 피터슨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나 런던에서 활동한 사진 작가이다. 17세에 런던으로 이주하여 불법 점거지에서 생활하며 모델 활동을 시작했고,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유럽 전역을 여행하며 레이브 파티를 열고 사진 작업을 진행했다. 그녀는 레이브 문화를 담은 사진집 "No System"과 16세부터 24세까지의 삶을 담은 사진 모음집 "Future Fantasy"를 통해 이름을 알렸다. 또한, 1999년에는 코린 데이 등과 함께 미국 로드 트립을 떠나 "Deuce and a Quarter"를 기록했다. 피터슨의 작품은 테이트 모던, 터너 컨템포러리 등에서 전시되었으며, 런던 국립 초상화 미술관과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에서 영국으로 이민간 사람 - 신용철 (경제학자)
    신용철은 계량경제학, 거시경제학, 자산 가격 결정 및 실증 금융 분야를 연구하는 경제학자로, 요크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ARDL 모형 발전에 기여했고 계량경제학 리뷰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에서 영국으로 이민간 사람 - 엘리엇 홍
    엘리엇 홍은 《킬 더 골든 거스》, 《서울에서 온 영혼》, 《부처의 눈물》, 《샤론의 장미》 등의 영화에 출연한 배우이다.
  • 영국의 사진가 - 펠리체 베아토
    펠리체 베아토는 19세기 주요 역사적 사건과 에도 시대 일본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록한 영국 국적의 사진작가로서, 그의 사진들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 영국의 사진가 - 에드워드 마이브리지
    에드워드 마이브리지는 영국의 사진작가로, 동물의 움직임을 연속 촬영하는 기술을 개척하여 영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릴랜드 스탠퍼드의 의뢰로 말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네 발굽이 모두 공중에 뜨는 순간을 사진으로 증명하고 주프락시스코프를 개발하여 연속 사진 영사 기술을 선보였다.
  • 한국계 영국인 - 샤넌 (가수)
    샤넌(김아름)은 영국 웨일스 출신으로 영국과 한국 국적을 가진 가수로, 솔로 가수로 데뷔하여 음반 발매와 방송 출연 등 활동 후 MBK엔터테인먼트 계약 종료 후에는 발로란트 스트리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한국계 영국인 - 뉴몰든
    뉴몰든은 런던 남서부 킹스턴어폰템스 왕립 자치구에 있는 도시로, 철도 개통과 함께 발전하여 유럽 내 한인 교민 최대 거주 지역 중 하나가 되었으며, 코리아타운 또는 리틀 코리아로도 불린다.
빈카 피터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화상
직업사진작가
국적영국
출생서울특별시 (1973년경)
기타 정보
활동 시기1990년대 이후
영향1990년대 레이브 문화 기록
소장처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국립 초상화 미술관 (영국)
영국 예술 위원회 컬렉션

2. 생애와 작품

17세에 런던으로 건너간 빈카 피터슨은 처음에는 런던의 불법 점거지에서 생활하며 모델로 활동했다. 1994년부터 2004년까지는 유럽 전역을 여행하며 자유 파티를 열고 사진 작업을 진행했다. 이 시기 피터슨은 다양한 도시와 문화를 경험하며, 사진을 통해 자신의 시각을 기록했다. 코린 데이의 권유로 시작된 그의 일기 형식 사진 작업은 피터슨의 예술적 여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데이는 피터슨에게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솔직하게 담아낼 것을 조언했고, 피터슨은 그 조언을 따라 자신의 삶과 주변의 모습을 진솔하게 담아냈다. 이러한 사진들은 피터슨의 예술 세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자리 잡았다.

1990년대 빈카 피터슨(Vinca Petersen)은 레이브 문화의 생생한 현장을 포착한 사진집 "No System"을 통해 이름을 알렸다. 당시 레이브는 공식적인 허가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빈번한 경찰 단속으로 인해 사진 촬영 자체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피터슨의 사진은 그 시대의 에너지와 열정을 기록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No System"은 불법적인 레이브 파티의 모습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개성을 담아냈다. 그녀의 사진은 억압적인 사회 시스템에 저항하고, 자신들만의 문화를 만들어가려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보여주며, 레이브 문화를 단순한 유행을 넘어 사회적 현상으로 이해하게 했다. 피터슨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진보적인 젊은 세대의 자율성과 저항 정신을 대변하는 예술가로 평가받았다. 레이브 문화는 1990년대 젊은이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16세부터 24세까지의 빈카 피터슨의 삶을 담은 사진 모음집인 "Future Fantasy"는 전단, 연애 편지, 그리고 코린 데이, 벤 프리먼의 작품을 포함하는 방대한 자료를 담고 있다. 이 사진 모음집은 피터슨의 청소년기와 젊은 시절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며, 그녀의 개인적인 경험과 예술적 감성을 엿볼 수 있게 한다. "Future Fantasy"는 단순한 사진 모음집을 넘어, 한 예술가의 성장 과정과 그 시대의 문화적 분위기를 담아낸 소중한 기록이다.

1999년, 빈카 피터슨은 코린 데이, 로즈마리 퍼거슨, 수지 바브칙과 함께 미국 로드 트립을 떠났다. 이 여행은 "Deuce and a Quarter"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여행에 사용된 1970년대 뷰익 일렉트라 225의 별칭을 따온 것이다.

"Deuce and a Quarter"는 단순한 여행 기록을 넘어, 동시대 여성들의 우정과 자유, 그리고 미국 문화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다. 뷰익 일렉트라 225는 1970년대 미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대형차로,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상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 로드 트립은 여성들이 주체가 되어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특히 당시 사회적 제약 속에서 여성들이 겪는 갈등과 성장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람스게이트에 거주하며 사회 예술 자선 단체인 Future Youth Project (FYP)를 공동 설립했다. 현재는 스카이 섬에 거주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빈카 피터슨은 1964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어린 시절을 서울에서 보냈고, 그 후 유럽 여러 지역을 거쳐 영국으로 이주했다. 피터슨은 10대 시절 처음으로 사진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사진 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2. 2. 런던 불법 점거 생활과 모델 활동

17세에 런던으로 건너간 빈카 피터슨은 처음에는 런던의 불법 점거지에서 생활했다. 이 시기, 그는 모델로 활동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2. 3. 자유 파티와 사진 작업

1994년부터 2004년까지, 빈카 피터슨은 유럽 전역을 여행하며 자유 파티를 열고 사진 작업을 진행했다. 이 시기 피터슨은 다양한 도시와 문화를 경험하며, 사진을 통해 자신의 시각을 기록했다. 코린 데이의 권유로 시작된 그의 일기 형식 사진 작업은 피터슨의 예술적 여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데이는 피터슨에게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솔직하게 담아낼 것을 조언했고, 피터슨은 그 조언을 따라 자신의 삶과 주변의 모습을 진솔하게 담아냈다. 이러한 사진들은 피터슨의 예술 세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자리 잡았다.

2. 4. "No System"

1990년대 빈카 피터슨(Vinca Petersen)은 레이브 문화의 생생한 현장을 포착한 사진집 "No System"을 통해 이름을 알렸다. 당시 레이브는 공식적인 허가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빈번한 경찰 단속으로 인해 사진 촬영 자체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피터슨의 사진은 그 시대의 에너지와 열정을 기록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No System"은 불법적인 레이브 파티의 모습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개성을 담아냈다. 그녀의 사진은 억압적인 사회 시스템에 저항하고, 자신들만의 문화를 만들어가려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보여주며, 레이브 문화를 단순한 유행을 넘어 사회적 현상으로 이해하게 했다. 피터슨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진보적인 젊은 세대의 자율성과 저항 정신을 대변하는 예술가로 평가받았다. 레이브 문화는 1990년대 젊은이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2. 5. "Future Fantasy"

16세부터 24세까지의 빈카 피터슨의 삶을 담은 사진 모음집인 "Future Fantasy"는 전단, 연애 편지, 그리고 코린 데이, 벤 프리먼의 작품을 포함하는 방대한 자료를 담고 있다. 이 사진 모음집은 피터슨의 청소년기와 젊은 시절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며, 그녀의 개인적인 경험과 예술적 감성을 엿볼 수 있게 한다. "Future Fantasy"는 단순한 사진 모음집을 넘어, 한 예술가의 성장 과정과 그 시대의 문화적 분위기를 담아낸 소중한 기록이다.

2. 6. "Deuce and a Quarter"

1999년, 빈카 피터슨은 코린 데이, 로즈마리 퍼거슨, 수지 바브칙과 함께 미국 로드 트립을 떠났다. 이 여행은 "Deuce and a Quarter"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여행에 사용된 1970년대 뷰익 일렉트라 225의 별칭을 따온 것이다. 이들은 이 차를 타고 여러 지역을 방문하며 다양한 경험을 했다.

"Deuce and a Quarter"는 단순한 여행 기록을 넘어, 동시대 여성들의 우정과 자유, 그리고 미국 문화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다. 뷰익 일렉트라 225는 1970년대 미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대형차로,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상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 로드 트립은 여성들이 주체가 되어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특히 당시 사회적 제약 속에서 여성들이 겪는 갈등과 성장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2. 7. 최근 활동

람스게이트에 거주하며 사회 예술 자선 단체인 Future Youth Project (FYP)를 공동 설립했다. 현재는 스카이 섬에 거주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 출판물

빈카 피터슨은 여러 사진집을 출판했다.

2005년에는 사진집 "Future Fantasy"가 Steidl에서 출판되었다. 이 사진집에는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 피터슨의 작품이 수록되었으며, 당시 베를린의 언더그라운드 문화를 담아냈다. 특히, 볼프강 틸만스, 지젤라 뵘, 얀 보르스텐 등 동시대 예술가들의 사진도 함께 수록되었다. 이 사진집은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 베를린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예술적 실험정신을 보여주며, 젊은 예술가들이 추구했던 새로운 가치관과 미적 감각을 담아냈다. 2005년 5월 12일부터 6월 25일까지 런던의 갤러리 마이클 슐츠에서 전시되었고, 2005년 11월 5일부터 2006년 1월 29일까지 뒤셀도르프의 쿤스트할레에서 전시되었다.

2011년에는 사진집 《Deuce and a Quarter》가 출판되었다. 이 사진집은 앤 드루가 발행했으며, 빈카 피터슨의 주요 작품을 담고 있다. 2011년 10월 14일부터 16일까지 뉴욕에서 열린 포토 페스티벌에서 책이 공개되었다. 이 사진집은 표준판과 100부 한정판으로 제작되었으며, 한정판에는 빈카 피터슨의 친필 서명이 담긴 사진이 포함되었다.

3. 1. No System

빈카 피터슨의 사진집 "No System"은 2018년 Hatje Cantz Verlag에서 출판되었다. 편집자는 빈카 피터슨이며, ISBN은 978-3-7757-4459-2이다. 이 사진집은 2017년 11월 17일부터 2018년 1월 28일까지 쾰른에서 열린 동명의 전시회를 기념하여 출판되었다.

3. 2. Future Fantasy

빈카 피터슨의 사진집 "Future Fantasy"는 2005년 Steidl에서 출판되었다. 이 사진집에는 피터슨의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 작품이 수록되었으며, 당시 베를린의 언더그라운드 문화를 담아냈다. 특히, 동시대 예술가인 볼프강 틸만스, 지젤라 뵘, 얀 보르스텐 등의 사진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Future Fantasy"는 2005년 5월 12일부터 6월 25일까지 런던의 갤러리 마이클 슐츠에서 전시되었으며, 2005년 11월 5일부터 2006년 1월 29일까지 뒤셀도르프의 쿤스트할레에서 전시되었다.

사진집 "Future Fantasy"는 빈카 피터슨의 사진들을 통해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의 베를린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예술적 실험정신*을 보여준다. 당시 베를린은 분단된 도시였지만, 동시에 다양한 문화와 예술이 융합하는 *역동적인 공간*이었다. 사진집에 수록된 작품들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젊은 예술가들이 추구했던 *새로운 가치관*과 *미적 감각*을 담아내고 있다. 또한, 사진집에 함께 수록된 볼프강 틸만스, 지젤라 뵘, 얀 보르스텐 등의 작품들은 빈카 피터슨의 작품과 함께 당시 베를린 예술계의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런던과 뒤셀도르프에서 열린 전시회를 통해 "Future Fantasy"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되었고, 피터슨의 작품 세계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3. 3. Deuce and a Quarter

사진집 《Deuce and a Quarter》는 2011년에 출판되었으며, 빈카 피터슨의 주요 작품을 담고 있다. 이 사진집은 앤 드루가 발행했다. 2011년 10월 14일부터 16일까지 뉴욕에서 열린 포토 페스티벌에서 책이 공개되었다. 사진집은 두 가지 판본으로 제작되었다. 표준판과 한정판으로 구성되었으며, 한정판은 100부로 제작되었다. 한정판에는 빈카 피터슨의 친필 서명이 담긴 사진 한 점이 포함되어 있다.

4. 그룹 전시

빈카 피터슨은 2023년 런던의 테이트 모던에서 열린 "다이어리 사진과 포토북" 전시에 참여했다. 또한 2024년 5월 25일부터 9월 8일까지 영국 마게이트의 터너 컨템포러리에서 열린 "해변 사진" 전시에 참여했다. 이 전시는 사진 속 해변을 탐구하며, 해변이 우리 사회와 개인의 기억 속에서 갖는 복잡한 의미를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참여 작가들은 해변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사진들을 선보였으며, 빈카 피터슨의 작품 또한 이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공개되었다.

4. 1. 스위트 하모니: 레이브 | 투데이

사치 갤러리에서 열린 "스위트 하모니: 레이브 | 투데이" 전시에 빈카 피터슨이 참여했다.

4. 2. 해변 사진

빈카 피터슨은 2024년 5월 25일부터 9월 8일까지 영국 마게이트의 터너 컨템포러리에서 열린 "해변 사진" 전시에 참여했다. 이 전시는 사진 속 해변을 탐구하며, 해변이 우리 사회와 개인의 기억 속에서 갖는 복잡한 의미를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참여 작가들은 해변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사진들을 선보였으며, 빈카 피터슨의 작품 또한 이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공개되었다.

4. 3. 다이어리 사진과 포토북

빈카 피터슨은 2023년 런던의 테이트 모던에서 열린 "다이어리 사진과 포토북" 전시에 참여했다. 이 전시는 피터슨의 사진과 포토북을 선보이는 자리였다.

5. 소장 정보

빈카 피터슨의 작품은 런던 국립 초상화 미술관과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V&A)에 소장되어 있다.

5. 1. 영국 예술 위원회 컬렉션

영국 예술 위원회 컬렉션은 빈카 피터슨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5. 2. 런던 국립 초상화 미술관

빈카 피터슨은 런던 국립 초상화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작품이 있다.

5. 3. 런던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

빈카 피터슨의 작품은 런던의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Victoria and Albert Museum, V&A)에 소장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 candid look at the '90s rave scene through the eyes of a female photographer https://www.vogue.in[...] 2019-07-06
[2] 웹사이트 witness the unseen side of 90s rave culture https://i-d.vice.com[...] 2019-07-15
[3] 문서 https://edelassanti.[...]
[4] 웹사이트 Search the Collections http://collections.v[...]
[5] 웹사이트 Vinca Petersen - National Portrait Gallery https://www.npg.org.[...] 2022-12-30
[6] 웹사이트 Announcing Our New Acquisitions 2021-22 - Arts Council Collection https://artscouncilc[...] 2022-12-30
[7] 웹사이트 The Story of Vinca Petersen's Cult (and Now Re-Published) Book, No System https://www.anotherm[...] 2020-05-14
[8] 웹사이트 Meet the photographer who chronicled the raves of '90s-era Europe https://aperture.org[...] 2016-09-08
[9] 뉴스 The big picture: a pre-millennium party animal https://www.theguard[...] 2020-07-26
[10] 웹사이트 Capturing ten years of Europe's illegal raves https://www.dazeddig[...] 2015-08-04
[11] 웹사이트 Unseen, unreal moments from the diaries of a 90s raver https://www.dazeddig[...] 2017-12-07
[12] 웹사이트 Vinca Petersen reminisces about good times with Corinne Day in 90s London https://hero-magazin[...]
[13] 웹사이트 Modelling, Raving and Squatting: Vinca Petersen's Diary of the 1990s https://www.anotherm[...] 2019-06-03
[14] 웹사이트 Four Women and a 'Deuce and a Quarter': A 1999 Roadtrip, in Photographs https://www.anotherm[...] 2018-10-01
[15] 웹사이트 Glass reviews Deuce and a Quarter by Vinca Petersen – The Glass Magazine https://www.theglass[...] 2018-11-19
[16] 웹사이트 Vinca Petersen: the roads that made me https://www.ft.com/c[...]
[17] 웹사이트 Future Fantasy https://shop.ditto-l[...]
[18] 웹사이트 Vinca Petersen Deuce and a Quarter https://www.ideanow.[...]
[19] 웹사이트 "You Were Really Part of Something": Vinca Petersen Remembers the Rave Days https://www.anotherm[...] 2019-07-12
[20] 웹인용 A candid look at the '90s rave scene through the eyes of a female photographer https://www.vogue.in[...] 2019-07-06
[21] 웹인용 witness the unseen side of 90s rave culture https://i-d.vice.com[...] 2019-07-15
[22] 웹인용 Announcing Our New Acquisitions 2021-22 - Arts Council Collection https://artscouncilc[...] 2022-12-30
[23] 웹인용 Vinca Petersen - National Portrait Gallery https://www.npg.org.[...] 2022-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