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취는 만이나 해안의 만입된 지역에서 모래가 튀어나와 형성된 반도로, 해류, 바람, 파랑의 영향으로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만구사주, 육계사주와 같은 특수한 형태도 존재하며, 해안류가 퇴적물을 운반하여 수면 위로 돌출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돌출부는 연안 표류가 곶 구간에 도달할 때 발생하며, 파도의 굴절과 퇴적물 공급에 따라 모양이 변화한다. 사취는 강과 절벽에서 유래하는 퇴적물에 영향을 받으며, 퇴적물 공급 중단 시 섬이 되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아라바트 사주, 롱 포인트, 페어웰 사주 등이 유명하며, 인류는 사취를 거주지 및 해양 자원 이용 지역으로 활용해 왔다.
해안선이 내륙으로 들어오거나 방향이 바뀌는 곳, 예를 들어 곶에서 해안류는 퍼지거나 소멸되며, 더 이상 운반할 수 없게 된 퇴적물이 퇴적된다. 이러한 퇴적 작용으로 형성되는 수중 퇴적대는 파도가 부서지는 방향으로 해안 표류 또는 연안 표류가 퇴적물을 계속 운반하여 수면 위에 돌출부를 형성하게 한다.[4]
2. 지형 형성
2. 1. 형성 과정
2. 2. 종류와 형태
대부분의 사취는 만이나 다른 해안의 만입된 지역으로 튀어나온 모래로 구성된 반도로 직선 형태를 보이지만 해류, 바람 그리고 파랑의 영향으로 다양한 종류가 나타난다. 어떤 경우에는 사취가 만의 입수를 가로질러 성장하여 다른 쪽의 육지와 연결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것을 '''만구사주'''라고 하며 이 사취에 의해 만은 석호로 바뀐다.[14] 일반적인 사취 형태의 변화는 만에서 해수의 흐름에 의해 야기되는데, 이러한 흐름은 육지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퇴적될 수 있으며, 사취의 바깥쪽 끝부분을 갈고리 모양으로 만든다.[14] 흔하지는 않지만 독특하게 발달하는 지형은 '''육계사주'''인데, 이것은 연안의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퇴적지형이다.[14] 일부 육계사주는 사취처럼 섬의 육지쪽 측면에 파랑이 퇴적물을 퇴적시켜 형성되는 반면, 다른 육계사주는 해수면 바로 아래나 해수면에 있는 기반암이 섬과 육지를 연결하고, 이것이 모래를 붙잡아 둘 수 있는 곳에서 발달한다.[14]
3. 수문학 및 지질학
돌출부는 연안 표류가 회전각이 30도 이상인 곶 구간에 도달할 때 발생한다. 돌출부는 모래가 퇴적될 수 없을 만큼 수압(예: 강에서)이 너무 커질 때까지 바다로 계속 뻗어나간다. 그러면 식물이 돌출부에서 자라기 시작할 수 있으며, 돌출부는 안정되고 종종 비옥해질 수 있다. 돌출부는 사주의 특수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돌출부가 성장함에 따라 그 뒤의 물은 바람과 파도로부터 보호되고 염습지가 발달할 가능성이 높다.
파도의 굴절은 돌출부 끝에서 발생하여 퇴적물을 끝으로 운반하여 갈고리 모양 또는 만곡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4] 여러 방향으로의 굴절은 복잡한 돌출부를 만들 수 있다. 비스듬히 돌출부를 따라 도착하는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도착하는 파도는 돌출부의 성장을 멈추게 하거나, 돌출부를 짧게 하거나, 결국 완전히 파괴할 것이다.[4]
돌출부를 구성하는 퇴적물은 강과 침식된 절벽을 포함한 다양한 출처에서 유래하며, 그곳의 변화는 돌출부 및 기타 해안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류의 벌목 및 농업과 같은 활동은 강의 퇴적물 부하를 증가시켜 섬세한 서식지를 덮어 숨 막히게 함으로써 돌출부 주변의 조간대 환경에 해를 끼칠 수 있다. 절벽을 따라 건설된 도로나 옹벽은 침식된 퇴적물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돌출부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재료가 밀려나지 않습니다.
퇴적물 공급이 중단되면 돌출부의 목(육지 쪽 끝)의 모래가 머리 쪽으로 이동하여 결국 섬이 될 수 있다. 퇴적물 공급이 중단되지 않고 돌출부가 바다에 의해 침범되지 않으면(또는, 만입을 가로지르는 경우 강에 의해 침범되지 않으면) 돌출부는 양쪽 끝이 육지에 연결된 사주가 되고 그 뒤에 석호를 형성할 수 있다. 해안의 방향이 바뀌는 곳 근처에 섬이 해안에서 떨어져 있고, 돌출부가 계속 자라서 섬을 본토와 연결하면 사주라고 합니다.
육지에 붙어 있는 돌출부의 끝을 근위부 끝이라고 하고, 물 속으로 돌출된 끝을 원위부 끝이라고 한다.
3. 1. 퇴적물 공급원
해안선이 내륙으로 들어오거나 방향이 바뀌는 곳, 예를 들어 곶에서 해안류는 퍼지거나 소멸되며, 더 이상 운반할 수 없게 된 퇴적물이 퇴적된다. 이러한 퇴적 작용으로 형성되는 수중 퇴적대는 파도가 부서지는 방향으로 해안 표류 또는 연안 표류가 퇴적물을 계속 운반하여 수면 위에 돌출부를 형성하게 한다.[4]
돌출부를 구성하는 퇴적물은 강과 침식된 절벽 등 다양한 출처에서 유래한다. 상류의 벌목 및 농업과 같은 활동은 강의 퇴적물 부하를 증가시켜 돌출부 주변의 조간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절벽을 따라 건설된 도로나 옹벽은 침식되는 퇴적물의 양을 줄여 돌출부 유지에 필요한 재료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2. 퇴적물 이동
해안선이 내륙으로 들어오거나 방향이 바뀌는 곶과 같은 곳에서 해안류는 퍼지거나 소멸되며, 더 이상 운반할 수 없게 된 퇴적물이 퇴적된다. 이러한 퇴적물 퇴적대는 연안 표류에 의해 퇴적물이 계속 운반되어 수면 위로 돌출부를 형성하게 된다.[4] 연안 표류가 회전각이 30도 이상인 곶 구간에 도달할 때 돌출부가 발생하며, 수압이 너무 커질 때까지 바다로 뻗어나간다. 돌출부에는 식물이 자라 안정되고 비옥해질 수 있으며, 사주의 특수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파도의 굴절은 돌출부 끝에서 발생하여 퇴적물을 끝으로 운반하여 갈고리 모양 또는 만곡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4] 여러 방향으로의 굴절은 복잡한 돌출부를 만들 수 있으며, 비스듬히 돌출부를 따라 도착하는 파도는 돌출부의 성장을 멈추게 하거나, 짧게 하거나, 파괴할 수 있다.[4]
돌출부를 구성하는 퇴적물은 강과 침식된 절벽 등 다양한 출처에서 유래하며, 상류의 벌목, 농업, 해안가 구조물 건설 등은 퇴적물 공급에 영향을 주어 돌출부 및 해안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퇴적물 공급이 중단되면 돌출부의 목(육지 쪽 끝)의 모래가 머리 쪽으로 이동하여 섬이 될 수 있다. 퇴적물 공급이 중단되지 않고 돌출부가 침범되지 않으면 양쪽 끝이 육지에 연결된 사주가 되고 그 뒤에 석호를 형성할 수 있다. 섬이 해안에서 떨어져 있고, 돌출부가 자라서 섬을 본토와 연결하면 사주라고 한다. 육지에 붙어 있는 돌출부의 끝을 근위부 끝, 물 속으로 돌출된 끝을 원위부 끝이라고 한다.
4. 세계의 주요 사취
세계에서 가장 긴 사주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는데, 아조프 해의 아라바트 사주와 남호주주의 영허스밴드 반도가 모두 약 110km 길이이다.[5][6][7] 또는 1811년 로아노크 해협이 자연적으로 폐쇄되면서,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보디 섬이 오리건 해협까지 반도의 종착점까지 약 70mi로 가장 긴 사주로 간주될 수 있다.[8]
민물에서 가장 긴 사주는 이리 호로 약 32km 뻗어나가는 온타리오주 롱 포인트이다.
뉴질랜드 남섬 북서쪽에 있는 페어웰 사주/Farewell Spit영어는 32km 길이로, 강한 우세풍과 해류가 남섬의 남알프스에서 침식된 모래를 가져와 골든 베이에 퇴적시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영국에서 잘 알려진 사주는 험버 강 어귀에 있는 스펀 포인트로, 약 4.8km 길이이다. 또 다른 사주는 영국의 체실 해변으로, 포틀랜드 섬을 본토에 연결한다.
쿠르슈 사주는 리투아니아 해안과 러시아의 칼리닌그라드주 연안에 있으며, 쿠르슈 석호와 발트해를 구분하며, 98km 길이이다. 비슷하게 비스툴라 사주는 폴란드 해안의 비스툴라 석호와 그단스크 만을 구분한다.
크로아티아의 브라치 섬에 있는 항구 마을 볼에서 남쪽으로 돌출된 인기 있는 자갈 해변인 즐라트니 랏은 아드리아해 해류가 섬 남쪽의 흐바르 해협을 통해 동서로 흐르면서 형성된다. 이 사주는 조수와 날씨에 따라 서쪽 또는 동쪽으로 약간 휘어지며 방향을 서서히 바꾼다.
그 외에 주요 사취로는 다음과 같다:
- 아라바트 사주 (우크라이나, 러시아) - 아조프해로 돌출된 세계에서 가장 긴 사주로, 약 110km에 달한다.
- 코드곶 (미국 매사추세츠주)
- 롱 포인트/Long Point, Ontario영어 (캐나다 온타리오주)
- 페어웰 사주/Farewell Spit영어 (뉴질랜드 남섬)
- 호머 사주/Homer Spit영어 (미국 알래스카주)
- 샌디 훅/Sandy Hook영어 (미국 뉴저지주)
- 던제니스 사주/Dungeness Spit영어 (미국 워싱턴주)
- 프레스크 아일/Presque Isle State Park영어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 바실리예프섬 스트렐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유명한 관광지
5. 한국의 주요 사취
뉴질랜드 남섬 북서쪽에 있는 페어웰 사주는 약 32km 길이로, 강한 우세풍과 해류가 남섬의 남알프스에서 침식된 모래를 가져와 골든 베이에 퇴적시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5][6][7]
세계에서 가장 긴 사주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는데, 아조프 해의 아라바트 사주와 남호주주의 영허스밴드 반도가 모두 약 110km 길이이다. 또는 1811년 로아노크 해협이 자연적으로 폐쇄되면서,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보디 섬이 오리건 해협까지 반도의 종착점까지 약 112km로 가장 긴 사주로 간주될 수 있다.[8]
민물에서 가장 긴 사주는 이리 호로 약 32km 뻗어나가는 온타리오주 롱 포인트이다.
영국에서 잘 알려진 사주는 험버 강 어귀에 있는 스펀 포인트로, 약 4.8km 길이이다. 또 다른 사주는 영국의 체실 해변으로, 포틀랜드 섬을 본토에 연결한다.
쿠르슈 사주는 리투아니아 해안과 러시아의 칼리닌그라드주 연안에 있으며, 쿠르슈 석호와 발트해를 구분하며, 98km 길이이다. 비슷하게 비스툴라 사주는 폴란드 해안의 비스툴라 석호와 그단스크 만을 구분한다.
크로아티아의 브라치 섬에 있는 항구 마을 볼에서 남쪽으로 돌출된 인기 있는 자갈 해변인 즐라트니 랏은 아드리아해 해류가 섬 남쪽의 흐바르 해협을 통해 동서로 흐르면서 형성된다. 이 사주는 조수와 날씨에 따라 서쪽 또는 동쪽으로 약간 휘어지며 방향을 서서히 바꾼다.
6. 인간과의 관계
선사 시대부터 인류는 특정 지형을 거주지로 선택해 왔다. 어떤 경우에는 해양 자원 이용에 근접한 지역을 선택하기도 했다. 모로 만(Morro Bay)에 있는 추마시족(Chumash people)의 선사 시대 유적지는 그러한 사례 중 하나이다.[9]
6. 1. 정주 패턴
선사 시대부터 인류는 특정 지형을 거주지로 선택해 왔다. 어떤 경우에는 해양 자원 이용에 근접한 지역을 선택하기도 했다. 모로 만(Morro Bay)에 있는 추마시족(Chumash people)의 선사 시대 유적지는 그러한 사례 중 하나이다.[9]6. 2. 환경 보전과 지속 가능한 개발
참조
[1]
논문
Littoral transport in the surf zone elucidated by an Eulerian sediment tracer experiment
[2]
서적
Beaches and Coastal Geology
https://link.springe[...]
[3]
서적
Encyclopedia of Coastal Science
https://link.springe[...]
[4]
논문
The origin of spits, bars and related structures
[5]
논문
An inventory of coastal spits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and Black seas
2022-09-01
[6]
논문
Evolution of the Younghusband Peninsula
[7]
논문
Chapter 5 - Ecological condition of the Lower Lakes and Coorong
2021-01-01
[8]
웹사이트
Currituck Banks Reserve
https://www.deq.nc.g[...]
North Carolin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2023-06-20
[9]
웹사이트
Morro Creek
http://www.megalithi[...]
2012-12
[10]
웹사이트
日本の典型地形#砂嘴
http://www.gsi.go.jp[...]
1990-05-04 # 추정 날짜, 平成30년5月4일을 1990년 5월 4일로 변환
[11]
웹사이트
サロマ湖
https://www.env.go.j[...]
1990-05-04 # 추정 날짜, 平成30年5月4일을 1990년 5월 4일로 변환
[12]
웹사이트
日本の典型地形#砂州
http://www.gsi.go.jp[...]
1990-05-04 # 추정 날짜, 平成30年5月4일을 1990년 5월 4일로 변환
[13]
서적
mcknight의 자연지리학
시그마프레스
2011-01-01 # 년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14]
서적
mcknight의 자연지리학
시그마프레스
2011-01-01 # 년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