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림밭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림밭쥐는 몸길이 83~121mm, 꼬리 길이 13~38mm의 작은 설치류이다. 미국 동부 지역의 숲, 건조한 들, 과수원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땅을 파기 적합한 촉촉하고 부드러운 흙을 선호한다. 삼림밭쥐는 뿌리, 줄기, 잎, 열매, 씨앗, 나무껍질, 곰팡이, 곤충 등을 먹으며, 땅속 굴에서 가족 집단을 이루어 생활한다. 번식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암컷은 연간 1~4번, 한 번에 1~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사과 과수원에 피해를 주어 농부들에게 해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0년 기재된 포유류 - 쿼카
    쿼카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이라는 별명을 가진 캥거루과 동물로, 서호주 남서부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고, 웃는 모습의 사진들이 인기를 얻어 '쿼카 셀카' 열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 1830년 기재된 포유류 - 벌거숭이궁둥이무덤박쥐
    벌거숭이궁둥이무덤박쥐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걸쳐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분포하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사회적인 행동을 보이는 야행성 동물로, 서식지 파괴와 살충제 사용으로 인해 IUCN에 의해 멸종 위기 근접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 물밭쥐아과 - 밭쥐속
    밭쥐속(Microtus)은 밭쥐에 속하는 포유류 속으로, 아메리카 대륙, 유라시아 대륙, 한국 등지에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갈밭쥐와 일본밭쥐가 발견된다.
  • 물밭쥐아과 - 발칸눈밭쥐
    발칸눈밭쥐는 5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삼림밭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삼림밭쥐
삼림밭쥐
학명Microtus pinetorum
명명자(Le Conte, 1830)
밭쥐속Microtus (Pitymys)
삼림밭쥐 분포 지도
삼림밭쥐의 분포 지역
보존 상태최소 관심
동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쥐아목
상과쥐상과
비단털쥐과
아과물밭쥐아과
물밭쥐족
밭쥐속
삼림밭쥐 (M. pinetorum)

2. 특징

삼림밭쥐는 몸길이가 83~121mm이고, 꼬리 길이는 13~38mm로 짧다. 몸무게는 14g~37g이다. 등 쪽 털은 갈색이고 배 쪽은 희끄무레한 색 또는 은색을 띤다. 눈, 귓바퀴, 꼬리는 부분적으로 지하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작게 축소되었다.

3. 생태

삼림밭쥐는 미국 동부 전역(네브라스카 주, 캔자스 주, 오클라호마 주, 텍사스 주 포함)에서 발견된다.[12] 탈락성 숲과 건조한 들, 사과 과수원에서 서식한다. 키가 큰 식물 식생의 삼림 지대를 좋아하지만 상록 관목과 지표 식물, 오래되어 쓰러진 나무 사이에서도 서식한다.[13] 활엽수림의 땅을 파기 적합한 촉촉하고 무른 흙에서 서식하며, 삼림밭쥐는 이와 같은 서식지에 가장 풍부하다. 그러나 건조한 들판이나 해안가 만 가장자리와 같은 다른 서식지에서도 발견된다.[14] 사과 과수원도 좋아하는 서식지인데, 나무 뿌리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무 간격이 삼림밭쥐 개체수 밀도에 영향을 미친다.[14]

삼림밭쥐는 부식토와 이탄층, 이끼가 섞인 흙부터 자갈이나 돌이 섞인 흙까지 좋아하지만 아주 건조한 흙은 싫어한다.[14] 알피졸과 얼티졸 토양도 굴을 파기에 좋기 때문에 삼림밭쥐가 특히 좋아한다.[12] 뿌리와 줄기, 잎 뿐만아니라 열매와 씨앗, 나무껍질, 땅속 곰팡이, 곤충도 먹는다.[14] 뿌리와 덩이줄기를 먹기 때문에 물을 많이 마실 필요가 없다.[13] 주로 겨울 동안에 먹이를 저장한다.[15] 대부분의 시간을 땅 아래 굴 속에서 보내며 땅 위로 나오는 모험은 거의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매와 올빼미로부터 안전하다.[14] 다른 포식자로는 뱀이 포함된다. 이, 벼룩, 진드기, 털진드기와 같은 외부 기생충에 감염되기도 쉽다.[14]

4. 무리 습성 및 번식

삼림밭쥐는 40cm~45cm 영역의 굴 속에서 가족 단위로 생활한다.[14] 굴은 가족 집단이 독점적으로 사용하며, 다른 밭쥐가 침입하지 않으므로 방어할 필요는 없다.[16] 생활권 크기와 위치, 집단 분산은 인근 가족 집단에 의해 제한된다.[16] 삼림밭쥐 가족 집단은 번식 가능한 암컷 한 마리와 수컷 한 마리, 새끼 1~4마리로 이루어지며, 돕는 역할을 하는 밭쥐가 몇 마리 추가되기도 한다.[14][16][17] 돕는 밭쥐는 다른 집단에서 이주해 온 경우인데, 집단 이주는 드물며 다른 집단에 자리가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16] 굴을 만드는 것은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제한된 자원이기 때문에 번식하지 않는 개체는 집단에 머무르는 것이 유리하다.[16]

북부 지역 번식기는 3월부터 11월과 1월 사이까지 지속된다. 남부 지역에서는 번식기가 연중 계속된다.[4] 암컷이 발정기에 들어가려면 수컷의 화학 신호를 감지하고 신체 접촉을 해야 한다.[8] 암컷은 서로 겹치는 부분 없이 흩어져 살기 때문에 밭쥐 사이에서는 일부다처제가 드물다. 또한, 가족 집단 내 번식 암컷은 암컷 조력자의 번식을 억제한다.[9] 암컷은 배우자에게 헌신적이며 낯선 수컷에게 매우 공격적이다.[7] 어린 암컷 밭쥐는 보통 105일 정도에 처음 임신하지만, 77일 정도에도 임신할 수 있다. 암컷은 교미 후 3일 동안 지속되는 질 마개를 형성한다.[4] 임신 기간은 20~24일이며, 연간 1~4번 출산하고, 각 출산에서 1~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4] 밭쥐 배우자가 죽으면, 혈연관계가 없는 개체가 그 자리를 대체한다. 이는 생존한 부모와 같은 성별의 새끼 사이에 짝짓기 기회를 두고 갈등을 초래한다.[9] 집단 내 새로운 수컷은 비번식 암컷에게 번식 기회를 제공하지만, 기존 번식 암컷은 여전히 장애물이 된다.[9]

5. 사람과의 관계

삼림밭쥐는 사과 과수원에 피해를 주어 높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17] 밭쥐가 사과를 먹기 때문에 사과 경작자들에게 연간 상당한 손실을 준다.[16] 밭쥐의 섭식으로 인해 사과 재배업자들은 연간 거의 5000만달러의 손실을 입는다.[6] 따라서 농부들은 삼림밭쥐를 해충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도시에서는 밭쥐의 서식지 선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3]

참조

[1] 간행물 "''Microtus pinetorum''" 2016
[2] 논문 Range extensions of the woodland vole (''Microtus pinetorum'') and two other species in Northwestern Oklahoma
[3] 논문 Habitat selection by small mammals in an Urban Woodlot
[4] 서적 Mammals of the Eastern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Comstock Publishing Associates 1998
[5] 논문 Factors affecting caching in the pine vole, ''Microtus pinetorum''
[6] 논문 Pine vole (''Microtus pinetorum'') movement toward areas in apple orchards with reduced populations
[7] 논문 Social behavior of pine voles, ''Microtus pinetorum'': Effects of gender, familiarity, and isolation
[8] 논문 Chemical cues are necessary but insufficient for reproductive activation of female pine voles (''Microtus pinetorum'')
[9] 논문 Behavioral suppression of female pine voles after replacement of the breeding male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논문 Range extensions of the woodland vole (''Microtus pinetorum'') and two other species in Northwestern Oklahoma
[13] 논문 Habitat selection by small mammals in an Urban Woodlot
[14] 서적 Mammals of the Eastern United States Comstock Publishing Associates 1998
[15] 논문 Factors affecting caching in the pine vole, ''Microtus pinetorum''
[16] 논문 Pine vole (''Microtus pinetorum'') movement toward areas in apple orchards with reduced populations
[17] 논문 Social behavior of pine voles, ''Microtus pinetorum'': Effects of gender, familiarity, and isol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