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덕출 창작동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 1. 개요
- 2. 역대 서덕출 창작동요제
- 2.1. 제1회 (2006년)
- 2.2. 제2회 (2007년)
- 2.3. 제3회 (2008년)
- 2.4. 제4회 (2009년)
- 2.5. 제5회 (2010년)
- 2.6. 제6회 (2011년)
- 2.7. 제7회 (2012년)
- 2.8. 제8회 (2013년)
- 2.9. 제9회 (2014년)
- 2.10. 제10회 (2015년)
- 2.11. 제11회 (2016년)
- 2.12. 제12회 (2017년)
- 2.13. 제13회 (2018년)
- 2.14. 제14회 (2019년)
- 2.15. 제15회 (2020년)
- 2.16. 제16회 (2021년)
- 2.17. 제17회 (2022년)
- 2.18. 제18회 (2023년)
- 2.19. 제19회 (2024년)
- 3. 역대 대상 수상곡
- 4. 심사 및 시상
- 5. 특징
- 참조
1. 개요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서덕출 선생의 업적을 기리고 어린이들의 정서 함양을 위해 개최되는 동요제이다. 2006년부터 매년 개최되었으며, 역대 대상 수상곡 목록과 함께 심사 및 시상 내역, 특징 등을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방송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뽀뽀뽀 아이 조아
《뽀뽀뽀 아이 조아》는 1981년부터 2013년까지 MBC TV에서 방송된 대한민국의 어린이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출연진과 캐릭터로 인기를 얻었으나 시청률 하락으로 2013년에 종영되었다. - 문화방송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데스크는 1970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저녁 뉴스 프로그램으로, 앵커 시스템 도입 등 새로운 형식을 제시하며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시청률 하락과 공정성 논란을 겪기도 했으며 현재 평일 저녁 7시 40분, 주말 저녁 7시 55분에 방송된다. -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100분 토론
MBC 100분 토론은 1987년 일요토론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과 방송 시간 변경을 거쳐 1999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방송되고 있으며, 대담한 주제 선정과 토론을 지향하는 MBC의 토론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 한국의 동요 - 새야새야 파랑새야
'새야 새야 파랑새야'는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민요로, 파랑새, 녹두꽃 등의 상징적 표현을 통해 당시 사회의 혼란과 억압, 희망과 절망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어린이 동요이며, 녹두밭에 앉지 말라는 경고와 파랑새의 비행을 촉구하는 가사로 구성되어 있다. - 한국의 동요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서덕출 창작동요제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책임 프로듀서 | |
연출 | |
조연출 | |
2. 역대 서덕출 창작동요제
회차 | 연도 | 곡명 | 작사 | 작곡 | 노래 |
---|---|---|---|---|---|
제1회 | 2006년 | 뚱보새 | 신천희 | 정재원 | 김수진(부산 동성초 6학년) |
제2회 | 2007년 | 댕글댕글 비뚤비뚤 | 채정미 | 류정식 | 서수민, 김소진, 서정민, 권주아, 백지원, 배경민, 강승엽, 이지행, 장인서(중창) |
제3회 | 2008년 | AM 7시 | 박용진 | 박용진 | 박지우, 김세현, 방재원, 이령희, 이하영, 이예지, 최소진(중창) |
제4회 | 2009년 | 늘푸름이 아자아자 | 김하나 | 김남삼 | 이유정(서울 창도초 6학년) |
제5회 | 2010년 | 예쁜 꽃씨야 예쁜 새싹아 예쁜 꽃잎아 | 황베드로 | 정희선 | 장정윤(서울 한양초 5학년) |
제6회 | 2011년 | 착한 사람들이 지구를 지켜요 | 김지원 | 김지원 | 조현주, 이대규, 이호룡, 황수영, 곽민석, 정지원, 서지우, 김건, 정은수(울산 명촌초등학교) |
제7회 | 2012년 | 엄마의 향기 | 정수은 | 윤학준 | 이고은(서울 예일초 3학년) |
제8회 | 2013년 | 선물이 되어줄게 | 임미옥 | 송세라 | 조정빈, 고영광(부산 맹학교 5,6학년) |
제9회 | 2014년 | 노래하는 바다 | 손민정 | 손민정 | 손아리(서울 경기초 4학년) |
제10회 | 2015년 | 신나는 꿈여행 | 조혜진 | 조혜진 | 행복한 친구들(울산, 부산) |
제11회 | 2016년 | 하늘 친구 바다 친구 | 한초롱 | 윤학준 | 은가비 중창단(부산) |
제12회 | 2017년 | 피아노 속 뮤지컬 | 정진영 | 임수연 | 좋은소리 중창단(공미지. 이채원. 김지안. 김아인. 정주연. 강유진. 김예린. 이영서. 진서현) |
제13회 | 2018년 | 별 빛을 쫓는 고양이 | 김지원 | 심태한 | 은가비 중창단(부산) |
제14회 | 2019년 | 떡!떡!떡! | 배인숙 | 배인숙 | 쁘띠 앙상블(대구) |
제15회 | 2020년 | 바람 꽃 향기 | 정수은 | 조오령 | 이윤서(용인 한빛초 5) |
제16회 | 2021년 | 슬라임 가족 | 이호석 | 이호석 | 도란도란 중창단(제주) |
제17회 | 2022년 | 아낌없이 꿈을 꾸는 별 | 박윤희 | 문은정 | 육예서(서울 을지초 5) |
제18회 | 2023년 | 팔도 비빔밥 | 하빈 | 문은정 | 늘해랑 리틀 싱어즈(서울 · 경기) 황유진(성남 낙생초 5) · 강려원(화성 한율초 5) · 윤희준(서울 충암초 5) · 박성하(용인 석성초 4) · 배재희(용인 석현초 4) · 표서연(시흥 배곧라온초 4) · 고해나(용인 흥덕초 3) · 원아연(수원 산의초 3) · 이다은(화성 늘봄초 3) · 박서은(인천 송도 존스국제크리스찬스쿨 2) |
제19회 | 2024년 | 이야기 좀 들어줄래 | 심진하 | 김푸른 | 노래하는 햇살들(부산·경남) 김효빈, 배은유(부산 용수초 6) · 임채린(김해 봉명초 6) · 최소윤(김해 진영대흥초 6) · 이소원(김해 석봉초 5) · 김예나(김해 덕정초 4) · 정하율(부산 명워초 4) · 황해봄(부산 정관초 4) · 홍예랑(김해 봉명초 3) · 장시우(김해 구지초 2) |
2. 1. 제1회 (2006년)
2006년 4월 22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1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김수진(부산 동성초 6학년)이 부른 '뚱보새'(신천희 작사, 정재원 작곡)가 대상을 받았다.```wikitable
회차 | 연도 | 곡명 | 작사 | 작곡 | 노래 |
---|---|---|---|---|---|
제1회 | 2006년 | 뚱보새 | 신천희 | 정재원 | 김수진(부산 동성초 6학년) |
2. 2. 제2회 (2007년)
2007년 4월 21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2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채정미 작사, 류정식 작곡의 '댕글댕글 비뚤비뚤'을 서수민, 김소진 외 중창단이 불러 대상을 수상했다.2. 3. 제3회 (2008년)
제3회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2008년 4월 27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개최되었다. 대상은 박지우 외(중창)가 부른 'AM 7시'가 수상했다.곡명 | 작사 | 작곡 | 노래 |
---|---|---|---|
AM 7시 | 박용진 | 박용진 | 박지우, 김세현, 방재원, 이령희, 이하영, 이예지, 최소진(중창) |
2. 4. 제4회 (2009년)
제4회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2009년 4월 12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이유정(서울 창도초 6학년)이 부른 '늘푸름이 아자아자'(김하나 작사, 김남삼 작곡)가 대상을 받았다.2. 5. 제5회 (2010년)
2010년 5월 1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5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황베드로 작사, 정희선 작곡, 장정윤(서울 한양초등학교 5학년)이 부른 '예쁜 꽃씨야 예쁜 새싹아 예쁜 꽃잎아'가 대상을 수상했다.2. 6. 제6회 (2011년)
제6회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2011년 4월 23일 울산 현대예술관 대공연장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김지원이 작사, 작곡하고 조현주 외 9명(울산 명촌초등학교)이 부른 '착한 사람들이 지구를 지켜요'가 대상을 수상하였다.2. 7. 제7회 (2012년)
2012년 4월 28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7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이고은(서울 예일초 3학년)이 부른 '엄마의 향기'(정수은 작사, 윤학준 작곡)가 대상을 차지했다.2. 8. 제8회 (2013년)
제8회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2013년 4월 28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개최되었다. 대상은 조정빈, 고영광(부산 맹학교 5,6학년)이 부른 '선물이 되어줄게'(임미옥 작사, 송세라 작곡)가 수상했다.2. 9. 제9회 (2014년)
2014년 4월 19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9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대상은 손아리(서울 경기초 4학년)가 부른 '노래하는 바다'가 수상했다.2. 10. 제10회 (2015년)
2015년 4월 26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10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대상은 행복한 친구들(울산, 부산)이 부른 '신나는 꿈여행'(조혜진 작사/작곡)이 수상했다.2. 11. 제11회 (2016년)
2016년 5월 1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11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은가비 중창단(부산)이 부른 '하늘 친구 바다 친구'(한초롱 작사, 윤학준 작곡)가 대상을 수상하였다.2. 12. 제12회 (2017년)
제12회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2017년 5월 13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좋은소리 중창단이 부른 '피아노 속 뮤지컬'(정진영 작사, 임수연 작곡)이 대상을 수상했다. 좋은소리 중창단은 공미지, 이채원, 김지안, 김아인, 정주연, 강유진, 김예린, 이영서, 진서현으로 구성되었다.2. 13. 제13회 (2018년)
2018년 5월 6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13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은가비 중창단(부산)이 부른 '별 빛을 쫓는 고양이'가 대상을 수상하였다.2. 14. 제14회 (2019년)
2019년 4월 28일 울산 중구 문화의전당 함월홀에서 제14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쁘띠 앙상블(대구)이 부른 '떡!떡!떡!'(배인숙 작사/작곡)이 대상을 수상했다.2. 15. 제15회 (2020년)
2020년 10월 14일, 제15회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뮤직비디오(비대면)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 해에는 이윤서(용인 한빛초 5)가 부른 '바람 꽃 향기'(정수은 작사, 조오령 작곡)가 대상을 받았다.2. 16. 제16회 (2021년)
2021년 9월 11일 울산 MBC 공개홀에서 비대면으로 진행되었다. 대상은 도란도란 중창단(제주)의 '슬라임 가족'이 수상하였다.2. 17. 제17회 (2022년)
2022년 10월 2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17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박윤희 작사, 문은정 작곡, 육예서(서울 을지초 5)가 부른 '아낌없이 꿈을 꾸는 별'이 대상을 수상하였다.2. 18. 제18회 (2023년)
2023년 5월 20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18회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하빈 작사, 문은정 작곡, 늘해랑 리틀 싱어즈(서울·경기)가 부른 '팔도 비빔밥'이 대상을 수상하였다.'팔도 비빔밥'을 부른 늘해랑 리틀 싱어즈는 황유진(성남 낙생초 5) · 강려원(화성 한율초 5) · 윤희준(서울 충암초 5) · 박성하(용인 석성초 4) · 배재희(용인 석현초 4) · 표서연(시흥 배곧라온초 4) · 고해나(용인 흥덕초 3) · 원아연(수원 산의초 3) · 이다은(화성 늘봄초 3) · 박서은(인천 송도 존스국제크리스찬스쿨 2)로 구성되어 있다.
2. 19. 제19회 (2024년)
제19회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2024년 5월 19일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개최되었다. 대상은 부산·경남 지역의 '노래하는 햇살들'이 부른 '이야기 좀 들어줄래'(심진하 작사, 김푸른 작곡)가 수상하였다. 노래하는 햇살들은 김효빈, 배은유(부산 용수초 6) · 임채린(김해 봉명초 6) · 최소윤(김해 진영대흥초 6) · 이소원(김해 석봉초 5) · 김예나(김해 덕정초 4) · 정하율(부산 명워초 4) · 황해봄(부산 정관초 4) · 홍예랑(김해 봉명초 3) · 장시우(김해 구지초 2)로 구성되어있다.3. 역대 대상 수상곡
회차 | 연도 | 곡명 | 작사 | 작곡 | 노래 |
---|---|---|---|---|---|
제1회 | 2006년 | 뚱보새 | 신천희 | 정재원 | 김수진(부산 동성초 6학년) |
제2회 | 2007년 | 댕글댕글 비뚤비뚤 | 채정미 | 류정식 | 서수민, 김소진, 서정민, 권주아, 백지원, 배경민, 강승엽, 이지행, 장인서(중창) |
제3회 | 2008년 | AM 7시 | 박용진 | 박용진 | 박지우, 김세현, 방재원, 이령희, 이하영, 이예지, 최소진(중창) |
제4회 | 2009년 | 늘푸름이 아자아자 | 김하나 | 김남삼 | 이유정(서울 창도초 6학년) |
제5회 | 2010년 | 예쁜 꽃씨야 예쁜 새싹아 예쁜 꽃잎아 | 황베드로 | 정희선 | 장정윤(서울 한양초 5학년) |
제6회 | 2011년 | 착한 사람들이 지구를 지켜요 | 김지원 | 김지원 | 조현주, 이대규, 이호룡, 황수영, 곽민석, 정지원, 서지우, 김건, 정은수(울산 명촌초등학교) |
제7회 | 2012년 | 엄마의 향기 | 정수은 | 윤학준 | 이고은(서울 예일초 3학년) |
제8회 | 2013년 | 선물이 되어줄게 | 임미옥 | 송세라 | 조정빈, 고영광(부산 맹학교 5,6학년) |
제9회 | 2014년 | 노래하는 바다 | 손민정 | 손민정 | 손아리(서울 경기초 4학년) |
제10회 | 2015년 | 신나는 꿈여행 | 조혜진 | 조혜진 | 행복한 친구들(울산, 부산) |
제11회 | 2016년 | 하늘 친구 바다 친구 | 한초롱 | 윤학준 | 은가비 중창단(부산) |
제12회 | 2017년 | 피아노 속 뮤지컬 | 정진영 | 임수연 | 좋은소리 중창단(공미지. 이채원. 김지안. 김아인. 정주연. 강유진. 김예린. 이영서. 진서현) |
제13회 | 2018년 | 별 빛을 쫓는 고양이 | 김지원 | 심태한 | 은가비 중창단(부산) |
제14회 | 2019년 | 떡!떡!떡! | 배인숙 | 배인숙 | 쁘띠 앙상블(대구) |
제15회 | 2020년 | 바람 꽃 향기 | 정수은 | 조오령 | 이윤서(용인 한빛초 5) |
제16회 | 2021년 | 슬라임 가족 | 이호석 | 이호석 | 도란도란 중창단(제주) |
제17회 | 2022년 | 아낌없이 꿈을 꾸는 별 | 박윤희 | 문은정 | 육예서(서울 을지초 5) |
제18회 | 2023년 | 팔도 비빔밥 | 하빈 | 문은정 | 늘해랑 리틀 싱어즈(서울 · 경기) 황유진(성남 낙생초 5) · 강려원(화성 한율초 5) · 윤희준(서울 충암초 5) · 박성하(용인 석성초 4) · 배재희(용인 석현초 4) · 표서연(시흥 배곧라온초 4) · 고해나(용인 흥덕초 3) · 원아연(수원 산의초 3) · 이다은(화성 늘봄초 3) · 박서은(인천 송도 존스국제크리스찬스쿨 2) |
제19회 | 2024년 | 이야기 좀 들어줄래 | 심진하 | 김푸른 | 노래하는 햇살들(부산·경남) 김효빈, 배은유(부산 용수초 6) · 임채린(김해 봉명초 6) · 최소윤(김해 진영대흥초 6) · 이소원(김해 석봉초 5) · 김예나(김해 덕정초 4) · 정하율(부산 명워초 4) · 황해봄(부산 정관초 4) · 홍예랑(김해 봉명초 3) · 장시우(김해 구지초 2) |
4. 심사 및 시상
4. 1. 심사위원
4. 2. 시상 내역
5. 특징
5. 1. 비대면 진행
5. 2. 전국 방송
참조
[1]
text
[2]
text
[3]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