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상돈은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병인박해 당시 삼촌의 옥살이를 목격한 후 자선과 구휼 사업에 힘썼으며, 독립협회에서 활동하며 외세 침탈에 맞섰다. 1907년에는 대구 광문사 부사장으로서 국채보상운동을 발의하여 1,300만 환의 국채를 갚아 국권을 회복하려 했다. 서상돈은 경북국채보상도총회 총무장으로 활동하며 운동의 전국적 확산을 위해 노력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국채보상운동은 와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로마 가톨릭교도 - 이상재
이상재는 조선 말기 개화파 관료이자 일제강점기 교육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독립협회, YMCA, 조선일보, 신간회 등에서 활동하며 민족운동을 이끌고 청년 교육과 계몽에 헌신한 월남 이색의 후손이다. - 일제강점기의 로마 가톨릭교도 - 안준생
안준생은 안중근의 차남으로,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을 보이다 해방 후 한국전쟁 중 사망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으며 그의 행적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엇갈린다. - 한국의 기업인 - 김갑순
김갑순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걸쳐 활동하며 관노 출신으로 군수를 역임, 재산을 축적하고 친일 행위를 통해 막대한 부를 쌓았으나 해방 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었다가 석방,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된 인물이다. - 한국의 기업인 - 조수호
조수호는 한진그룹 창업주 조중훈의 3남으로, 대한항공 입사 후 2003년부터 한진해운 회장을 역임하며 해운 산업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대구 서씨 - 서명원
서명원은 독립운동가 서재필의 종손으로, 교육학자이자 대학교수, 교육행정 관료로서 서울대학교 교수, 문교부 차관, 여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문교부 장관, 학술회 회원, 교육개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인물이다. - 대구 서씨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서상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상돈 |
원래 이름 | 서상돈 (徐相敦) |
![]() | |
출생일 | 1850년 10월 17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북도 김천시 마잠 |
사망일 | 1913년 6월 30일 |
사망지 | 일본 제국령 조선 경상북도 |
본관 | 대구 서씨 |
국적 | 조선 일본 제국령 조선 |
종교 | 천주교 |
가족 관계 | |
부 | 서철순 |
모 | 김아가다 |
배우자 | 수안 김씨 |
자녀 | 서병옥 서병조 서병주 서병민 |
형제 | 서상정(동생) |
친인척 | 서광수(고조할아버지) 김후상(외할아버지) 서인순(큰아버지) 서익순(삼촌) 서태순(삼촌) 서유형(친척) 박순용(손자) |
경력 | |
직책 | 前 대한제국 탁지부 세무시찰관 광문사 부사장 대구국채담보회 재무위원 경북국채보상도총회 총무장 |
기타 | 독립운동가, 언론인, 보부상, 자선가 |
서훈 | |
서훈 | 건국훈장 애족장 |
2. 업적
병인박해 때 대구감영 옥에 갇힌 삼촌 서인순[5]의 참상을 목격한 것을 계기로, 평생 가난한 이들을 위해 헌신하였다. 거상이 된 후에도 쌀밥을 먹지 않고, 봄가을 곡식 창고를 열어 어려운 이웃에게 곡식을 나눠주는 등 자선과 구휼 사업에 앞장섰다.[6]
2. 1. 독립협회 활동
서상돈은 외세의 국권 침탈에 맞서 독립협회의 주요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그는 제4기 민중 투쟁기에 만민공동회에서 재무부 과장 및 부장급 일원으로 활동하며 민족의 독립을 위해 힘썼다.[7]2. 2. 국채보상운동 주도
1904년 제1차 한일 협약 이후, 일본의 재정고문 메가타 다네타로는 차관 공세를 통해 대한제국의 재정을 일본에 예속시키려 했다.[8] 이에 서상돈은 1907년 1월 29일, 대구 광문사 부사장으로서 국채보상운동을 발의하여 국권 회복을 위한 국민적 모금 운동을 시작했다. 그는 "2천만 국민이 3개월 동안 흡연을 하지 않고 20전씩 거둔다면 1300만 환을 모을 수 있다"는 취지문을 발표하고, 800원의 거금을 의연하여 모금 운동에 앞장섰다.[8]1907년 2월 21일, 대한매일신보에 대구에서의 구국운동 기사가 게재되고, 다음 날 서울에서 국채보상기성회가 설립되면서 국채보상운동은 전국적인 운동으로 발전했다. 대구의 여성들은 전국 최초로 남일동 패물폐지부인회를 결성하고 은패물을 의연하는 등 여성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서상돈은 경북국채보상도총회를 결성하고 총무장으로 실무를 지휘하며, 대한매일신보에 광고를 내는 등 국채보상운동의 전국적 확산을 위해 노력했다. 국채보상운동은 고종황제를 비롯한 각계각층의 참여를 이끌어냈고, 해외 한인들에게까지 전파되며 거족적인 민족 운동으로 발전했다.[9]
3. 일제의 탄압과 방해 공작
일제는 국채보상운동을 와해하기 위해 '신문지법'과 '보안법'을 만들어 일본을 비판하는 모든 언론 활동을 봉쇄하는 등 민족 언론 탄압을 합법화하였다. 이로 인해 국채보상운동의 핵심 단체 중 하나였던 대한자강회가 동우회와 함께 강제 해산되었고, 신문 기사 삭제, 언론인 감금 및 추방 등이 강행되었다. 대구 지역의 국채보상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대한 매일신보사 또한 일제의 방해 공작을 받았다.[9]
참조
[1]
웹인용
마잠공소
http://gimcheon.gran[...]
2021-11-10
[2]
뉴스
일제하 민종운동 큰 업적, 신앙인 서상돈은 더 숭고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3]
뉴스
2월의 독립운동가 김광제(金光濟)·서상돈(徐相敦) 선생
http://m.gjnews.com/[...]
경주신문
[4]
뉴스
'[국채보상운동112주년 ①] 국채보상운동 의의와 서상돈 아우구스티노'
http://www.cpbc.co.k[...]
가톨릭평화방송
2019-08-02
[5]
웹인용
여우목 성지 서치보 요셉과 서인순 시몬 묘역
https://maria.cathol[...]
2021-11-10
[6]
웹인용
'[신앙의 명가를 찾아서] (3) 서상돈(아우구스티노) 가문'
https://m.catholicti[...]
2021-11-09
[7]
웹사이트
역사적인물
http://www.gukchae.c[...]
[8]
웹인용
광문사(廣文社)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11-09
[9]
웹인용
민족운동가 서상돈[徐相敦,1850~1913]
http://www.daegucity[...]
2021-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