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는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북두칠성, 해와 달 등을 그린 불화이다. 1868년 관허당 의관이 수화승으로 제작했으며, 가로 113cm, 세로 93.5cm 크기로, 원래 취정산 내원암에 봉안되었다. 서울 지역에서 연대가 오래된 치성광여래삼존도 중 하나로, 19세기 후반 경상도 지역 불화의 특징과 의관의 초기 화풍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8년 작품 - 서울 선학원 신중도
    서울 선학원 신중도는 1868년 서운암에 봉안되었던 불화로, 19세기 후반 경상도 지역 신중도 중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19세기 신중도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 및 관리된다.
  • 1868년 작품 - 영광 매간당 종택
    영광 매간당 종택은 1868년에 건립된 연안 김씨 직강공파의 종택으로, 삼효문과 여러 채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유품을 소장하고 있는 전라남도 영광군의 문화재이다.
  • 삼존불 -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은 군위군에 있는 석굴 사원으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로 이루어진 삼존불을 모시고 있으며, 여러 나라의 불상 양식 영향을 받은 조형 기법이 나타난다.
  • 삼존불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1606년에 제작된 석가여래삼불좌상과 복장유물로, 조선 중·후기 불교 조각 양식을 보여주며, 17세기 불교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될 가치가 있다.
  • 조선의 불화 -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진영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진영은 1780년에 제작된 보조국사 지눌을 포함한 송광사 중심의 고려 후기 고승 16명의 초상화 16점으로, 조선 중기 불교 초상화 기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조선의 불화 - 봉은사 칠성도
    봉은사 칠성도는 1895년에 조성된 불화로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여러 불교적 존재들이 묘사되었으며, 19세기 후반 서울·경기 지역 칠성도상의 특징을 계승하고 예술적,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서울 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
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
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
일반 정보
이름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
원어道峰寺 熾盛光如來三尊圖
국가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도봉구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349
지정일2013년 9월 26일
시대조선시대
수량1

2. 도상 및 특징

2. 1. 구도 및 배치

2. 2. 색채 및 묘사

3. 화풍 및 화승

관허당(寬虛堂) 의관(宜官)은 19세기 후반 해인사를 비롯한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화승이다. 1863년에 수화승 경담당 성규와 함께 청련사 석가모니불도를 제작한 것을 시작으로 1882년까지 금암당 천여, 하은당 응상, 수룡당 기전 등 전라남도 및 경상북도 사불산 지역의 수화승들과 함께 작업하였다. 구도와 화풍에서 특히 천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불화에 보이는 치성광여래의 균형잡힌 체구와 갸름한 얼굴, 작은 이목구비, 뾰족한 육계, 짙은 붉은색의 대의 표현 등은 사불산화파(四佛山畵派)인 하은당(霞隱堂) 응상(應祥)과 그의 영향을 받은 해인사 화승 수용당(水龍堂) 기전(琪銓)의 영향이 엿보인다. 이 불화의 전체적인 구도와 특징은 의관이 1880년에 수화승이 되어 제작한 만어사 아미타후불도와 유사하여 이와 같은 구도를 즐겨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의관1879년 동축사 신중도 제작 이후 수화승으로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 불화를 통해 그보다 앞선 1868년에 이미 수화승으로 불화를 제작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1882년 부산 범어사의 석가모니불도 및 삼장보살도, 신중도, 관음보살도 등 약 20여 년에 걸쳐 많은 작품을 남겼다.

3. 1. 사불산화파의 영향

4. 제작 배경 및 봉안처

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는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북두칠성, 해와 달 등을 그린 불화로, 산신도, 독성도와 함께 삼성각이나 칠성각에 봉안된다. 관허당(寬虛堂) 의관(宜官)이 수화승(首畵僧)으로 참여하여 제작하였으며, 가로 113cm, 세로 93.5cm 크기이다.

화면에 따르면 이 불화는 원래 "취정산(取頂山) □□사내원암(□□寺內院庵)"에 봉안되었다. 취정산은 대구 가창댐에서 헐티재로 가는 곳에 있어, 이 불화가 경상북도 지역에서 제작, 봉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원암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 알 수 없다.

수화승인 관허당 의관은 19세기 후반 해인사를 비롯한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이다. 1863년 청련사 석가모니불도 제작을 시작으로, 1882년까지 금암당 천여, 하은당 응상, 수룡당 기전 등과 함께 작업하였다. 구도와 화풍은 천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의관은 1879년 동축사 신중도 제작 이후 수화승으로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불화를 통해 1868년에 이미 수화승으로 불화를 제작했음이 확인되었다. 1882년 부산 범어사의 불화 제작 등 약 20여 년간 많은 작품을 남겼다.

5. 의의 및 가치

서울 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는 서울 지역에서 연대가 오래된 치성광여래삼존도 중 하나이다. 형태, 필선 등 세부 묘사가 뛰어나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제작 연대(1868년), 봉안처, 화승(관허당 의관)의 이름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어 불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 불화는 1868년 관허당(寬虛堂) 의관(宜官)이 수화승으로 제작하였으며, 원래 "취정산(取頂山) □□사내원암(□□寺內院庵)"에 봉안되었다. 취정산은 대구 가창댐에서 헐티재로 가는 곳에 위치한 산으로, 이 불화가 경상북도 지역에서 제작, 봉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앙에 치성광여래 ․ 일광보살 ․ 월광보살을 화면 가득 배치한 삼존 형식의 구도 및 적, 녹, 청을 주조색으로 지물인 여의에 금이 장식된 이 치성광여래삼존도는 서울시에서 연대가 올라가는 치성광여래삼존도에 속하며 형태, 필선 등 각 세부묘사 등이 당시 불화와 비교하여 완성도가 높은 편이다.

의관1879년 동축사 신중도 제작 이후 수화승으로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 불화를 통해 그보다 앞선 1868년에 이미 수화승으로 불화를 제작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 불화는 19세기 후반 경상도 지역 불화의 특징과 화승 의관의 초기 화풍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며, 치성광여래의 균형잡힌 체구와 갸름한 얼굴, 작은 이목구비, 뾰족한 육계, 짙은 붉은색의 대의 표현 등은 사불산화파(四佛山畵派) 하은당(霞隱堂) 응상(應祥)과 그의 영향을 받은 해인사 화승 수용당(水龍堂) 기전(琪銓)의 영향이 엿보인다. 전체적인 구도와 특징은 의관이 1880년에 수화승이 되어 제작한 만어사 아미타후불도와 유사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