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종합운동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종합운동장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스포츠 시설 단지이다. 1975년 건설 계획이 시작되어 1980년대 초반 완공되었으며,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잠실야구장, 잠실실내체육관, 잠실학생체육관, 잠실실내수영장 등 다양한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08년부터 마룬 5, 에미넴 등 해외 유명 가수의 공연이 열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스포츠 시설 단지 - 강릉올림픽파크
    강릉올림픽파크는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위해 강릉시에 조성된 공원으로, 올림픽 기간 동안 경기 및 지원 시설이 운영되었으며 현재는 문화 및 체육 시설을 갖춘 시민 공간으로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스포츠 시설 단지 - 평창알펜시아리조트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는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강원도가 건설한 리조트이며, 스키 점프 경기장, 바이애슬론 센터 등 스포츠 시설과 호텔, 카지노 등을 갖추고 있으며 2012년부터 재정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건축물 - 위례성
    위례성은 백제의 초기 수도로, 하남 위례성과 하북 위례성으로 나뉘며, 하남 위례성은 현재의 서울 지역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하고,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서울특별시의 건축물 - 문화비축기지
    문화비축기지는 1976년 석유 파동에 대비해 건설된 석유 저장 시설이었다가 폐쇄된 후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친환경 문화 복합 공간으로 조성되어 전시, 공연 등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한다.
  • 1984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스테이트 스포츠 센터
    스테이트 스포츠 센터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의 탁구, 태권도 경기 개최지이자 풋살 리그 결승전 개최, 농구, 넷볼 경기장, 종교 단체 앨범 녹음 장소로 활용되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 1984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는 프랑스 낭트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FC 낭트의 홈구장이며, UEFA 유로 1984, 1998년 FIFA 월드컵, 2024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와 럭비 경기, 콘서트 등을 개최했다.
서울종합운동장
지도
기본 정보
이름서울종합운동장
원어 이름서울종합운동장
잠실종합운동장
Seoul Sports Complex
로마자 표기Seoul Jonghap Undongjang
로마자 표기 (다른 표기)Seoul Chonghap Undongjang
위치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5 ( 잠실동 10번지)
주소25 Olympic-ro, Songpa-gu, Seoul Sports Complex
국가대한민국
도시서울특별시 송파구
유형스포츠 시설 단지
소유서울특별시청
운영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웹사이트서울종합운동장 공식 웹사이트
시설 개요
총 건설 비용132억 원
주요 시설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올림픽야구장
잠실실내체육관
잠실수영장
역사
개장1984년 9월 26일
주요 행사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
기타
서울종합운동장
서울종합운동장 전경 (2020)

2. 역사

1975년 10월 16일 잠실 지역에 종합운동장 건립 계획이 시작되었고,[5] 1976년 9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주경기장, 보조경기장, 실내체육관 2개, 야구장, 정구장을 주요 시설로 하는 종합운동장을 건설하도록 지시하여 잠실종합운동장 기본계획이 마련되었다.[6] 1976년 10월 5일 박정희 대통령이 잠실종합운동장 기본계획을 승인하였고, 1976년 11월 1일 종합운동장 건설본부가 설치되었다.[7]

그 후 대한탁구협회가 건설할 계획이었던 사라예보 세계탁구제패 기념관을 흡수하여 종합운동장 내 잠실실내체육관으로 확장 건설하기로 결정, 1976년 12월 1일에 착공하면서 본격적인 시설물 공사가 시작되었다. 1977년 11월 28일 서울올림픽주경기장 및 실내수영장 착공을 하였고,[8][9] 12월 20일에는 구자춘 당시 서울시장 등이 참석한 기공식을 가졌다.[10][11] 잠실실내체육관은 1979년 4월에 준공·개관하였고, 실내수영장도 1980년 12월에 완공하였다.

1981년 9월과 11월에 제24회 올림픽경기대회 및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의 서울 개최가 확정되면서, 서울종합운동장 건설사업은 박차가 가해졌다. 1982년 7월 잠실야구장이 준공되었고, 서울올림픽주경기장도 1984년 9월 29일 개장하였다.

잠실학생체육관은 서울종합운동장 건설계획과 무관하게 1972년 11월 착공하여 1977년 4월에 개관한 체육 시설이다.

2. 1. 건설

1975년 10월 16일 잠실 지역에 종합운동장 건립 계획이 시작되었고,[5] 1976년 9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주경기장, 보조경기장, 실내체육관 2개, 야구장, 정구장을 주요 시설로 하는 종합운동장을 건설하도록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잠실종합운동장 기본계획이 마련되었다.[6] 1976년 10월 5일 박정희 대통령이 잠실종합운동장 기본계획을 승인하였고, 1976년 11월 1일부로 종합운동장 건설본부가 설치되었다.[7]

그 후 대한탁구협회가 건설할 계획이었던 사라예보 세계탁구제패 기념관을 흡수하여 이를 종합운동장 내의 잠실실내체육관으로 확장 건설하기로 결정, 1976년 12월 1일에 착공하면서 본격적인 시설물 공사가 시작되었다.

서울올림픽주경기장 등 제반 시설의 건설계획도 종합 확정되었으며, 1977년 11월 28일 주경기장 및 실내수영장 착공을 하였다.[8][9] 12월 20일에는 구자춘 당시 서울시장 등이 참석한 기공식을 가졌다.[10][11] 잠실실내체육관(7,098)은 1979년 4월에 준공·개관하였고, 실내수영장(8,073)도 1980년 12월에 완공하였다.

1981년 9월과 11월에 제24회 올림픽경기대회 및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의 서울 개최가 확정되면서, 필요시설로서 서울종합운동장 건설사업은 박차가 가해졌다. 1982년 7월 잠실야구장(26,331)이 준공되었고, 시설면적 4만 평에 수용인원 10만 명, 2층 구조 관람석을 갖춘 서울올림픽주경기장도 1984년 9월 29일 개장하였다.

참고로 서울종합운동장 내 잠실학생체육관은 종합운동장 건설계획과 무관하게 1972년 11월 착공하여 1977년 4월에 개관한 체육 시설이다.

3. 시설

1975년 10월 16일 잠실 지역에 종합운동장 건립 계획이 시작되었고,[5] 1976년 9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주경기장, 보조경기장, 실내체육관 2개, 야구장, 정구장을 주요 시설로 하는 종합운동장을 건설하도록 지시하면서 잠실종합운동장 기본계획이 마련되었다.[6] 1976년 10월 5일 박정희 대통령은 잠실종합운동장 기본계획을 승인했고, 1976년 11월 1일 종합운동장 건설본부가 설치되었다.[7]

이후 대한탁구협회가 건설할 예정이었던 사라예보 세계탁구제패 기념관을 흡수, 종합운동장 내 실내체육관으로 확장 건설하기로 결정하면서 1976년 12월 1일 착공에 들어가 본격적인 시설물 공사가 시작되었다.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비롯한 제반 시설 건설계획도 종합 확정되었으며, 1977년 11월 28일 주경기장 및 실내수영장 착공에 들어갔고,[8][9] 12월 20일 구자춘 당시 서울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공식이 열렸다.[10][11] 1979년 4월에는 잠실실내체육관(7,098m2, 수용능력 2만 명)이 준공·개관하였고, 실내수영장(8,073m2, 8,000명 관람)도 1980년 12월에 완공되었다.

1981년 9월과 11월, 제24회 올림픽경기대회 및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의 서울 개최가 확정됨에 따라 서울종합운동장 건설사업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1982년 7월 야구장(26,331m2, 5만 명 수용능력)이 준공되었고, 시설면적 4만 평, 수용인원 10만 명, 2층 구조 관람석을 갖춘 주경기장도 1984년 9월 29일 개장하였다.

한편, 서울종합운동장 내 잠실학생체육관은 종합운동장 건설계획과는 별개로 1972년 11월 착공하여 1977년 4월 개관한 체육 시설이다.

서울종합운동장 내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4. 교통

2호선 종합운동장역[1]

5. 주요 행사


  • 2008년: 미국 팝록 밴드 마룬 5의 첫 번째 한국 투어 및 콘서트 (It Won't Be Soon Before Long Tour의 일환)
  • 2011년: 미국 팝록 밴드 마룬 5의 두 번째 한국 투어 첫 번째 콘서트 (Hands All Over Tour의 일환)
  • 2012년: 미국 팝록 밴드 마룬 5의 세 번째 한국 투어 두 번째 콘서트 (Overexposed Tour의 일환)
  • 2012년 8월 19일: 미국 래퍼 에미넴 콘서트 (관객 2만 명)[1]
  • 서울 이프리

6. 비판 및 논란

(결과물 없음 - 이전 단계에서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빈칸으로 출력됨)

참조

[1] 뉴스 Eminem in Seoul http://english.hani.[...] 2012-08-21
[2] 뉴스 잠실에 종합경기장 총1백32억원 들여 http://newslibrary.n[...] 毎日経済新聞 1974-10-16
[3] 뉴스인용 자기형의 아주 최대 메인스타디움 잠실종합경기장 위용을 본다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84-09-26
[4] 뉴스인용 리모델링 설계로 재탄생하는 2025 잠실운동장 http://urbanreader.t[...] 2018-02-04
[5] 뉴스인용 잠실에 종합경기장 총1백32억원 들여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74-10-16
[6] 뉴스인용 박대통령 지시 잠실에 대규모종합운동장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6-09-23
[7] 뉴스인용 본부장에 도지훈씨 종합운동장 건설본부 설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6-11-02
[8] 뉴스인용 10만 환성 담을 아시아 최대 주경기장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8-08-26
[9] 뉴스인용 서울올림픽 투입,산출의 백서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88-09-19
[10] 뉴스인용 남서울운동장 주경기장 착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7-12-20
[11] 뉴스인용 남서울대운동장 기공 http://www.ehistory.[...] 대한뉴스 1977-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