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남 박태현 전국 창작동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남 박태현 전국 창작동요제는 2000년부터 개최된 대한민국의 창작동요제이다. 매년 대상 수상곡을 선정하며, 200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다양한 곡들이 대상을 수상했다. 이 동요제는 동요 발전에 기여하고 어린이들의 정서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등 사회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의 문화 - 성남아트센터
    성남아트센터는 2005년 개관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다양한 공연, 전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성남문화재단이 위탁 운영한다.
  • 성남시의 문화 - 에이틴 (드라마)
    2018년 방영된 웹드라마 에이틴은 십 대들의 고민인 학업, 우정, 사랑을 현실적으로 그려내 큰 인기를 얻었으며 도하나, 김하나, 남시우, 하민, 여보람, 차기현 여섯 명의 고등학생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 한국의 동요 - 새야새야 파랑새야
    '새야 새야 파랑새야'는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민요로, 파랑새, 녹두꽃 등의 상징적 표현을 통해 당시 사회의 혼란과 억압, 희망과 절망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어린이 동요이며, 녹두밭에 앉지 말라는 경고와 파랑새의 비행을 촉구하는 가사로 구성되어 있다.
  • 한국의 동요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동요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동요 - KBS 창작동요대회
    KBS 창작동요대회는 1989년 시작되어 중단과 재개를 거쳐 일반인 참여, 노랫말 공모 등의 변화를 겪으며 '가을 들길' 등 히트곡을 배출, 한국 동요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창작 경연대회이다.
성남 박태현 전국 창작동요제
기본 정보
개최 년도2000년 ~ 현재
장르음악(동요)
웹사이트성남 박태현 전국 창작동요제 공식 웹사이트

2. 역대 대상 수상곡

wikitable

회차연도곡명작사작곡노래
제1회2000년비 오다 개인 날 아침최갑규문원자안수진 외 10명(중창)
제2회2001년솔새이슬기류정식신소연 외 5명(중창)
제3회2002년사랑의 마음으로한예찬류정식사공빈, 손장병, 임수빈, 임윤지, 이다정, 김재원, 사공민(중창)
제4회2003년꼭꼭 숨어라류동일류동일최고은, 차정은, 김예슬, 조다혜, 정다울, 장현정, 이예은, 소신아, 최수지(중창)
제5회2004년새들의 합창소리한혜원한혜원작은평화예술단
제6회2005년가을여행이다경윤영신임그리나, 박태영, 박주연, 김이재, 이유진(중창)
제7회2006년다람쥐 한 마리硏宇/연우중국어 김명희손정우장오은, 안재경, 이슬기, 최은지, 성시원, 함승현, 문인주, 조다은, 안희성(중창)
제8회2007년겨울눈꽃 천사마음김에녹손정아이유진, 박정선, 김성윤, 김수연, 조아란, 오연수, 송채영, 박미령, 박정수(서울 봉현초등학교)
제9회2008년벚꽃 팝콘김기연정보형한지민, 소담, 소은, 전진우, 권민철, 손예림(중창)
제10회2009년빨랫줄에는김기연송진영주세은, 조현아, 임라윤, 이선빈, 곽민주, 한유정, 송민지, 남궁수진, 이새연, 킴벌리, 주다솜(중창)
제11회2010년진흙 블랙홀박은경박은경김석찬 외 9명(중창)
제12회2011년꼬꼬댁 꼬꼬김정녀김정녀구윤찬
제13회2012년동동 얼음동동 냉면이요채정미김세은음악 친구들(중창)
제14회2013년오선지 음악나라김영민김영민키즈 솔라레(중창)
제15회2014년옹기가 뚝딱염경아염경아늘해랑 중창단(수원)
제16회2015년꿈바람김재한김재한해피멜로디 중창단(서연지,성채원,이은빈,이정현,차현령,서진영,김태윤,박선진,이슬빈,서예은,정은재,유혜인)
제17회2016년포구락김정녀김정녀태양의 아이들
제18회2017년신명나는 지신밟기배인숙배인숙꿈이 크는 아이들
제19회2018년천하대장군박주만박주만또래또래 친구들
제20회2019년바다 미용실김재한김재한꿈나무 중창단(정아인,허나윤,김보경,김라엘,하은담,하연제,김예소,윤이섭,김은우,김보윤)
제21회2020년괜찮아 잘 할 수 있어박주만박주만이주원
제22회2021년달을 사랑하는 꽃이수영문은정장예린


2. 1. 2000년대

2000년대에는 총 10회에 걸쳐 성남 박태현 전국 창작동요제가 개최되었다. 각 회차별 대상 수상곡은 다음과 같다.

회차연도곡명작사작곡노래
제1회2000년비 오다 개인 날 아침최갑규문원자안수진 외 10명(중창)
제2회2001년솔새이슬기류정식신소연 외 5명(중창)
제3회2002년사랑의 마음으로한예찬류정식사공빈, 손장병, 임수빈, 임윤지, 이다정, 김재원, 사공민(중창)
제4회2003년꼭꼭 숨어라류동일류동일최고은, 차정은, 김예슬, 조다혜, 정다울, 장현정, 이예은, 소신아, 최수지(중창)
제5회2004년새들의 합창소리한혜원한혜원작은평화예술단
제6회2005년가을여행이다경윤영신임그리나, 박태영, 박주연, 김이재, 이유진(중창)
제7회2006년다람쥐 한 마리硏宇/연우중국어 김명희손정우장오은, 안재경, 이슬기, 최은지, 성시원, 함승현, 문인주, 조다은, 안희성(중창)
제8회2007년겨울눈꽃 천사마음김에녹손정아이유진, 박정선, 김성윤, 김수연, 조아란, 오연수, 송채영, 박미령, 박정수(서울 봉현초등학교)
제9회2008년벚꽃 팝콘김기연정보형한지민, 소담, 소은, 전진우, 권민철, 손예림(중창)
제10회2009년빨랫줄에는김기연송진영주세은, 조현아, 임라윤, 이선빈, 곽민주, 한유정, 송민지, 남궁수진, 이새연, 킴벌리, 주다솜(중창)


2. 2. 2010년대

2010년 제11회 대회에서는 박은경이 작사, 작곡한 '진흙 블랙홀'이 대상을 수상했다. 김석찬 외 9명이 중창으로 불렀다. 2011년 제12회 대회에서는 김정녀가 작사, 작곡한 '꼬꼬댁 꼬꼬'가 대상을 받았으며, 구윤찬이 불렀다. 2012년 제13회 대회에서는 채정미 작사, 김세은 작곡의 '동동 얼음동동 냉면이요'가 대상을 수상했고, 음악 친구들이 중창했다. 2013년 제14회 대회에서는 김영민이 작사, 작곡한 '오선지 음악나라'가 대상을 받았고, 키즈 솔라레가 중창했다. 2014년 제15회 대회에서는 염경아가 작사, 작곡한 '옹기가 뚝딱'이 대상을 수상했고, 늘해랑 중창단이 불렀다.

2015년 제16회 대회에서는 김재한이 작사, 작곡한 '꿈바람'이 대상을 수상했으며, 해피멜로디 중창단이 불렀다. 2016년 제17회 대회에서는 김정녀가 작사, 작곡한 '포구락'이 대상을 받았고, 태양의 아이들이 불렀다. 2017년 제18회 대회에서는 배인숙이 작사, 작곡한 '신명나는 지신밟기'가 대상을 수상했고, 꿈이 크는 아이들이 불렀다. 2018년 제19회 대회에서는 박주만이 작사, 작곡한 '천하대장군'이 대상을 받았고, 또래또래 친구들이 불렀다. 2019년 제20회 대회에서는 김재한이 작사, 작곡한 '바다 미용실'이 대상을 수상했으며, 꿈나무 중창단이 불렀다.

2. 3. 2020년대

2020년 제21회 성남 박태현 전국 창작동요제에서는 박주만 작사, 작곡의 '괜찮아 잘 할 수 있어'가 대상을 수상했으며, 이주원 어린이가 노래를 불렀다. 2021년 제22회 대회에서는 이수영 작사, 문은정 작곡의 '달을 사랑하는 꽃'이 대상을 받았고, 장예린 어린이가 노래를 불렀다.

회차연도곡명작사작곡노래
제21회2020년괜찮아 잘 할 수 있어박주만박주만이주원
제22회2021년달을 사랑하는 꽃이수영문은정장예린


3. 대회 역사

3. 1. 초기 (1980년대 ~ 1990년대)

3. 2. 발전기 (2000년대 ~ 2010년대)

3. 3. 현재 (2020년대 ~)

4. 의의 및 영향

4. 1. 동요 발전 기여

4. 2. 어린이 정서 함양

4. 3. 사회 문화적 영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