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릉 (신정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수릉(綏陵)은 조선의 추존왕 문조(효명세자)와 신정왕후 조씨의 합장릉입니다.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0년 5월 26일 사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수릉의 역사


  • 1830년: 효명세자(문조)가 세상을 떠나자 처음에는 연경묘로 조성되었습니다.
  • 1834년: 헌종 즉위 후 효명세자가 익종으로 추존되면서 수릉으로 봉릉되었습니다.
  • 1846년, 1855년: 두 차례 천릉(능을 옮김)을 거쳤습니다.
  • 1890년: 신정왕후가 세상을 떠나면서 문조와 합장되었습니다. 신정왕후는 승하 후 홍릉(洪陵)이라는 능호가 정해졌으나, 익종과의 합장이 결정되어 수릉이라는 능호를 함께 쓰게 되었습니다.

수릉의 특징

  • 합장릉: 하나의 봉분 안에 왕과 왕비를 함께 모신 형태입니다.
  • 특이한 배치: 일반적인 왕릉은 왕을 오른쪽에, 왕비를 왼쪽에 모시는 우상좌하(右上左下)의 형태이지만, 수릉은 반대로 익종이 왼쪽에, 신정왕후가 오른쪽에 모셔져 있습니다. 이는 익종은 세자의 신분으로, 신정왕후는 왕비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 다양한 석물: 난간석, 양석, 호석, 곡담, 상돌, 장명등, 문석인, 무석인, 석마 등의 석물이 갖춰져 있습니다. 특히 장명등과 문석인은 1830년에, 무석인은 1846년에 제작되는 등 단계적으로 추가 건립되었습니다.

신정왕후 (1808-1890)

  • 조선 추존왕 익종(문조)의 왕비이자 헌종의 어머니, 고종의 양모입니다.
  • 본관은 풍양 조씨이며, 아버지는 풍은부원군 조만영입니다.
  • 1819년 익종과 혼인하여 왕세자빈이 되었고, 1827년 헌종을 낳았습니다.
  • 1863년 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왕실 최고 어른으로서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고종)을 즉위시키고 수렴청정을 하였습니다.
  • 1866년 수렴청정을 거두고 흥선대원군에게 정사를 맡겼습니다.
  • 1890년 경복궁 흥복전에서 83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참고 자료

  • 수릉은 두 차례의 천릉과 왕후 합장 등을 거치면서 단계적으로 돌거리들을 추가 건립했습니다.
  • 비각에는 1890년에 건립한 익종과 신정왕후 합봉비와 1902년 건립한 문조익황제, 신정익황후의 표석이 있습니다.
  • 1890년 신정왕후의 능을 조영하는 과정을 기록한 『신정왕후수릉산릉도감의궤』가 있습니다.
  • 조선 왕비 중 가장 긴 시호(56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식 시호는 효유헌성선경정인자혜홍덕순화문광원성숙렬명수협천융목수령희강현정휘안흠륜홍경태운창복희상의모예헌돈장계지경훈철범신정익황후(孝裕獻聖宣敬正仁慈惠弘德純化文光元成肅烈明粹協天隆穆壽寧禧康顯定徽安欽倫洪慶泰運昌福熙祥懿謨睿憲敦章啓祉景勳哲範神貞翼皇后)입니다.

참고: 고려 태조의 제4비 신정왕후 황보씨의 능 또한 '수릉(壽陵)'이라고 불리지만, 현재 위치는 알 수 없습니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 한자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릉 (신정왕후)
능묘 정보
능호수릉 (綏陵)
능 위치경기도 개풍군 서면에 위치
좌표좌표는 제공되지 않음
능 주인 정보
능 주인신정왕후
생몰년1808년 ~ 1890년
배우자익종
자녀헌종
기타 정보
비고고종에 의해 추존된 왕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