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염 (해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염은 대부분의 어류 종에서 시야가 흐리거나 빛이 부족한 환경, 또는 탁한 물에서 먹이를 찾는 데 사용되는 감각 기관이다. 수염은 미각 수용체를 통해 먹이의 효소를 감지하거나, 포식자를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일부 어종은 섭이 상태, 환경 변화에 따라 수염의 발달 정도가 달라지며, 한국 연안 어종 중에는 메기, 쏨뱅이, 쏠종개 등이 수염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수염 (해부학) | |
---|---|
개요 | |
![]() | |
정의 | 일부 동물의 입 주위에 있는 촉각 기관 |
상세 정보 | |
기능 | 먹이 찾기 감각 인지 |
위치 | 입 주위 |
동물 종류 | 어류 갑각류 포유류 조류 |
어류의 수염 | |
역할 | 화학적 자극 감지 |
진화 | CCL33 유전자와 관련 |
형태 | 종에 따라 다양함 |
예시 | 메기 잉어 상어 망둑어 |
갑각류의 수염 | |
역할 | 먹이 조작 및 섭식 |
종류 | 턱다리 더듬이 |
다른 동물 | |
포유류 | 해마 물개 |
조류 | 키위 |
2. 기능
대부분의 어류 종에서 수염은 시야가 제한적인 환경에서 먹이를 찾는 데 중요한 감각 기관으로 활용된다.[4] 일부 어류는 수염을 통해 먹이와 포식자를 구별하고,[4] 해저 먹이를 탐색하거나,[7] 먹이 경쟁을 하기도 한다.[8] 또한, 특정 환경 조건에서 생존에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9]
2. 1. 먹이 탐지
대부분의 어류 종에서 수염은 시야가 흐리거나 빛이 잘 들지 않는 수역, 또는 탁한 물 환경에서 먹이를 찾는 데 쓰이는 감각기관이다. 미각 수용체는 물 속에서 효소를 탐지할 수 있고 어류는 이를 통해 효소가 먹이에서 온 것인지 또는 포식자로부터 온 것인지 알아낼 수 있다.[4] 심해에 사는 청소 물고기 중 하나인 코리파이노이데스 아르마투스(Coryphaenoides armatusla)의 경우 아래턱에 있는 하나의 작은 수염을 이용해 바다 밑에 썩어 있는 먹이들을 탐색한다.[7]프레클드 고트피시(Freckled Goatfish영어, Upeneus tragulala)는 섭이 상태에 따라 수염이 발달한다.[8] 실험실 환경 조건에서 이틀간 먹이를 먹지 못했을 경우 프레클드 고트피시는 먹이를 충분히 공급받은 대조군보다 훨씬 큰 수염이 발달된 것이 관찰되었다. 큰 수염은 다른 개체와 경쟁하여 먹이를 차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수염이 크게 발달한 개체들의 경우 이후 성장률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트리포르테우스 시그나투스(Triportheus signatusla)의 경우 늦은 단계에서 수염이 발달한다. 트리포르테우스 시그나투스는 우기로 인해 홍수가 난 이후에 생활 환경의 용존 산소량이 낮아지면서 수염이 발달하는데 이 수염의 구조는 다른 수염이 있는 어류 종보다 혈관이 많아 낮은 용존산소의 환경에서도 가스 교환이 쉽게 일어나고 아가미를 통해 흐르는 물의 양이 많아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9]
커먼 머스크 터틀(common musk turtle영어, Sternotherus odoratusla)은 부드러운 미늘과 같은 모양의 수염을 턱 아래와 목에 가지고 있다. 커먼 머스크 터틀은 이 수염을 통해 수역 바닥에 숨어있는 먹이를 감지한다.[10]
2. 2. 환경 적응
트리포르테우스 시그나투스(Triportheus signatusla)는 우기로 인해 홍수가 난 이후 생활 환경의 용존 산소량이 낮아지면서 수염이 발달하는데, 이 수염은 다른 수염이 있는 어류 종보다 혈관이 많아 낮은 용존 산소 환경에서도 가스 교환이 쉽게 일어나고 아가미를 통해 흐르는 물의 양이 많아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9]커먼 머스크 터틀(common musk turtle영어, Sternotherus odoratusla)은 턱 아래와 목에 부드러운 미늘과 같은 모양의 수염을 가지고 있다. 커먼 머스크 터틀은 이 수염을 통해 수역 바닥에 숨어있는 먹이를 감지한다.[10]
참조
[1]
웹인용
barbel
https://www.ahdictio[...]
2018-04-09
[2]
웹인용
FishBase Glossary
https://fishbase.se/[...]
2023-04-29
[3]
저널
Barbels and barbel-like tentacular structures in sub-mammalian vertebrates: a review
https://doi.org/10.1[...]
1999-05-01
[4]
서적
The Senses of Fish
https://link.springe[...]
[5]
저널
Chemokine C-C motif ligand 33 is a key regulator of teleost fish barbel development
https://pnas.org/doi[...]
2018-05-29
[6]
웹인용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ary origin of barbels in the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Siluriformes: Ictaluridae)
https://www.semantic[...]
2023-04-29
[7]
저널
A taste of the deep-sea: The roles of gustatory and tactile searching behaviour in the grenadier fish Coryphaenoides armatus
https://www.scienced[...]
2007-01-01
[8]
저널
Development and changes at settlement in the barbel structure of the reef fish, Upeneus tragula (Mullidae)
https://doi.org/10.1[...]
1993-07-01
[9]
저널
Barbel development associated to aquatic surface respiration in Triportheus signatus (Characiformes: Triportheidae) from the semiarid Caatinga rivers
https://doi.org/10.1[...]
2020-01-01
[10]
웹인용
Common Musk Turtle
https://portal.ct.go[...]
2023-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