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경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신경준 (申景濬, 1712년 5월 19일 (음력 4월 15일) ~ 1781년 6월 12일 (음력 5월 2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 지리학자이다. 자는 순민(舜民), 호는 여암(旅庵),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생애전라도 순창(현재의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태어났다. 신숙주의 아우인 신말주(申末舟)의 11대손으로, 아버지는 진사 신래(申淶)이며, 어머니는 한산 이씨로 이의홍(李儀鴻)의 딸이다.

1754년(영조 30년) 문과에 급제한 이후 전적(典籍), 정언(正言), 장령(掌令), 사간 등을 역임했다. 33세까지 여러 곳으로 옮겨 다니다가 33세부터 43세까지 고향에 묻혀 살면서 저술에 힘썼으며, 대부분의 저술은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1770년(영조 46년) 《문헌비고(文獻備考)》를 편찬할 때 〈여지고〉(輿地考)를 담당하여 《팔도지도(八道地圖)》,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를 완성하였다. 이후 여러 곳의 지방관을 지내다가 1779년(정조 3년) 고향 순창에 돌아가 살았다.
학문과 업적신경준은 문자학, 성운학, 지리학 등 다방면에 걸쳐 많은 업적을 남겼다. 특히 실학 사상에 근거한 고증학적 방법으로 지리학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지리학: 조선의 산맥 체계를 도표로 정리한 《산경표(山經表)》,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 등을 제작하여 조선 후기 지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언어학: 훈민정음을 한자어 음운으로 도표를 만들어 소개한 《훈민정음 운해(訓民正音韻解)》를 저술하여 한글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저서

  • 《훈민정음 운해(訓民正音韻解)》
  • 《강계지(疆界志)》
  • 《산수경(山水經)》
  • 《도로고(道路考)》
  •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
  • 《여암유고(旅菴遺稿)》
  • 《강역고(疆域考)》
  • 《사연고(四沿考)》
  • 《군현지제(郡縣之制)》
  • 《가람고(伽藍考)》

신경준의 고지도신경준이 군사적인 용도로 제작한 《북방강역도(北方疆域圖)》와 《강화도 이북 해역도(江華島 以北 海域圖)》 2점의 지도가 전해진다. 이 지도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